목차
31 처지: 도승지, 갑오개혁, 경연, 검열, 고려, 고려 공민왕, 고려 공양왕, 고려 충숙왕, 봉교, 부제학, 대교, 대제학, 대한민국 방송통신위원회, 대한민국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대한제국 고종, 승정원, 제학, 조선, 조선 태종, 조선 성종, 조선 세종, 집현전, 춘추관, 영의정, 영사, 예조, 사초과, 한림원, 실록, 홍문관, 1894년.
도승지
승지(都承旨)는 조선의 정3품 당상관직으로 도령(都令)으로도 불리었.
보다 예문관와 도승지
갑오개혁
군국기무처 갑오개혁(甲午改革)은 1894년 7월 27일(음력 6월 25일)부터 1895년 7월 6일(음력 윤5월 14일)까지 조선 정부에서 전개한 제도 개혁을 말. 10년 전 갑신정변의 실패 후 망명했던 개화파들이 청일전쟁에 승리한 일본의 위세를 업고 돌아와 추진한 일본식 개혁으로서 갑오경장(甲午更張)이라고도 불.
보다 예문관와 갑오개혁
경연
명 신종 경연 경연(經筵)은 왕에게 유학의 경서(經書)와 사서(史書)를 진강(進講)해 드리고 논의(論議)를 받는 학술제도이.
보다 예문관와 경연
검열
열(檢閱) 또는 센서십()은 공권력이 어떤 내용의 표현이나 공개를 통제하는 것을 말. 검열은 신문·잡지·서적·라디오·텔레비전·영화 등 여러 매체가 대상이 될 수 있. 보통 검열은 심사 등을 통해 내용 발표 자체를 막는 사전 검열에 해당하며, 내용의 발표 후에 공권력이 이것을 심사하여 위법성이 있다고 인정할 때 법원에 고발하는 것, 즉 사회의 제재(制裁)라는 형식에 의한 제약은 사후 검열이라고 할 수 있.검열, 《글로벌 세계 대백과》.
보다 예문관와 검열
고려
(高麗, 918년~1392년)는 918년 태봉의 궁예를 축출하고 왕건이 즉위한 이후, 이성계에 의해 멸망하기까지 한반도 대부분을 지배하였던 국가이.
보다 예문관와 고려
고려 공민왕
공민왕(恭愍王, 1330년 5월 23일 (음력 5월 6일) ~ 1374년 10월 27일 (음력 9월 22일), 재위: 1351년 ~ 1374년)은 고려의 제31대 국왕이.
보다 예문관와 고려 공민왕
고려 공양왕
공양왕(恭讓王, 1345년 3월 9일 (음력 2월 5일) ~ 1394년 5월 17일 (음력 4월 17일), 재위: 1389년 ~ 1392년)은 고려의 제34대 국왕이자 마지막 임금이.
보다 예문관와 고려 공양왕
고려 충숙왕
충숙왕(忠肅王, 1294년 7월 30일 (음력 7월 7일) ~ 1339년 5월 3일 (음력 3월 24일)은 고려 제27대 국왕(재위: 1313년~1330년, 복위 1332년~1339년)이다. 초명은 도(燾), 휘는 만(卍), 자는 의효(宜孝), 몽골 이름은 아라트나슈리(). 원에서 내린 시호는 충숙왕(忠肅王)이며, 공민왕이 올린 시호는 의효대왕(懿孝大王)이다.
보다 예문관와 고려 충숙왕
봉교
봉교 봉교 봉교(蜂膠, 프로폴리스)는 꿀벌이 나무의 싹이나 수액과 같은 식물로부터 수집하는 수지질(樹脂質)의 혼합물이.
보다 예문관와 봉교
부제학
부제학(副提學)은 조선시대 정3품 당상관직이.
보다 예문관와 부제학
대교
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보다 예문관와 대교
대제학
제학(大提學)은 고려와 조선의 관직이.
보다 예문관와 대제학
대한민국 방송통신위원회
방송통신위원회(放送通信委員會,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약칭: 방통위, KCC)는 방송과 통신에 관한 규제와 이용자 보호 등의 업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
대한민국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방송통신심의위원회(放送通信審議委員會, Korea Communications Standards Commission, 약칭: KCSC) 또는 방통심의위 혹은 단순히 방심위는 방송의 공공성, 정보 통신의 건전한 문화를 창달하며 올바른 이용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설립된 대한민국의 기관으로, 독립적으로 업무를 수행하는 민간독립기구이.
대한제국 고종
종(高宗, 1852년 9월 8일 ~ 1919년 1월 21일)은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 (재위: 1897년 ~ 1907년)이자, 조선의 제26대 마지막 왕(재위: 1863년 ~ 1897년)이.
보다 예문관와 대한제국 고종
승정원
승정원(承政院)은 정삼품아문으로, 조선과 대한제국(승선원으로 개칭)에서 왕명의 출납을 담당하던 행정기관이.
보다 예문관와 승정원
제학
제학(提學)은 고려시대 예문춘추관(藝文春秋館) ·예문관(藝文館) ·보문관(寶文館) ·우문관(右文館) ·진현관(進賢館)의 대제학(大提學) 아래 정3품 벼슬로, 1311년(충선왕 복위 3년) 사백(詞伯)을 고친 이름이.
보다 예문관와 제학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보다 예문관와 조선
조선 태종
종(太宗, 1367년 6월 13일 (음력 5월 16일) ~ 1422년 5월 30일 (음력 5월 10일) 재위 1400년 ~ 1418년)은 고려, 조선의 문신이자 조선의 제3대 임금이.
보다 예문관와 조선 태종
조선 성종
조선 성종(成宗, 1457년 8월 19일 (음력 7월 30일) ~ 1495년 1월 19일 (음력 1494년 12월 24일), 재위 1469년 ~ 1494년)은 조선의 제9대 왕이며 시인, 유학자이.
보다 예문관와 조선 성종
조선 세종
조선 세종(朝鮮 世宗, 1397년 5월 15일 (음력 4월 10일) ~ 1450년 3월 30일 (음력 2월 17일), 재위 1418년 ~ 1450년)은 조선의 제4대 군주이며 언어학자이.
보다 예문관와 조선 세종
집현전
집현전(集賢殿)은 정이품아문으로, 고려 말 조선 초의 학문 연구 및 국왕의 자문 기관이자, 왕실 연구기관이.
보다 예문관와 집현전
춘추관
(春秋館)은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관청이.
보다 예문관와 춘추관
영의정
영의정(領議政)은 의정부 3정승 가운데 하나로 정1품에 해당하는 조선 최고의 중앙관직이었.
보다 예문관와 영의정
영사
주재 대한민국 총영사관 영사(領事)는 외국에 주재하여 자국의 통상을 촉진하고 또 자국민의 보호를 임무로 하는 공무원이.
보다 예문관와 영사
예조
예조(禮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보다 예문관와 예조
사초과
사초과(Cyperaceae)는 벼목의 과이.
보다 예문관와 사초과
한림원
림원(翰林院)은 당나라 때 처음 생긴 이후, 주로 황실과 나라의 문화·예술 사업과 황실의 실록 등 학술 활동을 총괄하는 기관이.
보다 예문관와 한림원
실록
실록(實錄)은 주로 동아시아의 왕조 국가에서 편찬한 역사서이.
보다 예문관와 실록
홍문관
홍문관(弘文館)은 조선의 행정기관이자 연구기관으로, 예조의 속아문이.
보다 예문관와 홍문관
1894년
1894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보다 예문관와 189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