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옌볜 조선족 자치주

색인 옌볜 조선족 자치주

연변조선족자치주()는 중화인민공화국 동북 지역 지린 성(吉林省)의 자치주이.

68 처지: 러시아, 량강도, 라즈돌나야강, 룽징 시, 룽터우산 고분군, 만주족, 먀오족, 몽골족, 무단강, 무단장 시, 백두산, 백두산정계비, 발해, 바이산 시, 간도, 고대사, 고구려, 북옥저, 부여, 김해국제공항, 두만강, 둔화 시, 넓이, 자치주, 인구, 인천국제공항, 제주국제공항, 정효공주묘, 조중 변계 조약, 조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족, 좡족, 주덕해, 중화인민공화국, 징포족, 지린성, 창바이 조선족 자치현, 투먼 시, 투자족, 옌볜 대학, 옌지 차오양촨 공항, 옌지 시, 헤이룽장성, 허룽 시, 쑹화강, 프리모르스키 지방, 함경도, 함경북도, 한민족, ..., 한족, 안투 현, 시버족, 훈춘 시, 후이족, 왕칭 현, 1881년, 1907년, 1916년, 1930년, 1949년, 1952년, 1954년, 1955년, 1980년, 19세기, 2009년, 3·1 운동.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8 더) »

러시아

시아 연방() 또는 러시아()는 동유럽과 북아시아에 걸쳐 있는 연방제 국가로, 세계에서 가장 영토가 넓은 국가이.

새로운!!: 옌볜 조선족 자치주와 러시아 · 더보기 »

량강도

량강도(兩江道)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북부의 도이.

새로운!!: 옌볜 조선족 자치주와 량강도 · 더보기 »

라즈돌나야강

야 강 라즈돌나야 강() 또는 수이펀 강(중국어 간체: 绥芬河; 중국어 번체: 綏芬河), 또는 솔빈강(한자:率賓江)은 중국과 러시아를 흘러 동해의 표트르대제 만으로 유입되는 강이.

새로운!!: 옌볜 조선족 자치주와 라즈돌나야강 · 더보기 »

룽징 시

용정(·) 은 중화인민공화국 지린 성 연변 조선족 자치주에 있는 도시이.

새로운!!: 옌볜 조선족 자치주와 룽징 시 · 더보기 »

룽터우산 고분군

룽터우산 고분군(龍頭山古墳群;, 용두산 고묘군)은 발해의 20개의 고분군이.

새로운!!: 옌볜 조선족 자치주와 룽터우산 고분군 · 더보기 »

만주족

건륭제의 만주족 시위 (1760) 중국 베이징의 자금성에 있는 건청문(乾淸門) 현판. 왼쪽에는 한자, 오른쪽에는 만주문자로 적혀 있다. 만주족(滿洲族) 또는 만족()은 만주(중국 동북부; 랴오닝 성, 지린 성, 헤이룽장 성), 연해주에서 발상한 퉁구스계 민족으로 중국 내 55개 소수민족 중 하나이.

새로운!!: 옌볜 조선족 자치주와 만주족 · 더보기 »

먀오족

먀오족(묘족)은 중국의 56개 공식 소수민족 중 하나이.

새로운!!: 옌볜 조선족 자치주와 먀오족 · 더보기 »

몽골족

몽골족()은 몽골, 러시아, 중국(주로 내몽골 자치구)에 거주하는 민족이.

새로운!!: 옌볜 조선족 자치주와 몽골족 · 더보기 »

무단강

무단 강(목단강, 모단강, 모란강)은 중국 동북부를 흐르는 강으로, 쑹화 강 최대의 지류이.

새로운!!: 옌볜 조선족 자치주와 무단강 · 더보기 »

무단장 시

무단장 시(모단강시, 모란강시, 목단강시)는 중화인민공화국 헤이룽장 성 정부직속의 한 지급시로, 중국 국경 무역도시이고, 북방의 저명한 여행도시이.

새로운!!: 옌볜 조선족 자치주와 무단장 시 · 더보기 »

백두산

백두(白頭山)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남도 함경북도 혜산군 무산군 과 중화인민공화국 지린 성 연변 조선족 자치주에 걸쳐있는 화산이.

새로운!!: 옌볜 조선족 자치주와 백두산 · 더보기 »

백두산정계비

백두산정계비(白頭山定界碑)는 1712년(숙종 38년)에 조선과 청나라 사이의 국경을 정하기 위하여 세워진 경계비이.

새로운!!: 옌볜 조선족 자치주와 백두산정계비 · 더보기 »

발해

발해(渤海, 698년 ~ 926년)는 고구려 멸망 이후 고구려를 계승하여 대조영이 건국한 국가이.

새로운!!: 옌볜 조선족 자치주와 발해 · 더보기 »

바이산 시

바이산 시()은 중화인민공화국 지린 성에 있는 지급시이.

새로운!!: 옌볜 조선족 자치주와 바이산 시 · 더보기 »

간도

(間島)는 압록강 상류와 두만강 북쪽의 조선인 거주 지역을 일컫는 말로, 간도의 범위에 관하여는 여러 이견이 있. 일반적으로 간도라 하면 현재의 연변 조선족 자치주 지역을 가리키며, 두만강 북쪽인 연변 지역을 '북간도'(또는 '동간도'), 그 서쪽인 압록강 북쪽 지역을 '서간도'라 부르.

새로운!!: 옌볜 조선족 자치주와 간도 · 더보기 »

고대사

(古代)는 서양의 역사 시대 구분의 하나이.

새로운!!: 옌볜 조선족 자치주와 고대사 · 더보기 »

고구려

(高句麗, 기원전 37년 ~ 668년)는 한국의 고대 국가 중 하나로, 백제 및 신라와 함께 삼국 시대를 구성한 주요 국가이.

새로운!!: 옌볜 조선족 자치주와 고구려 · 더보기 »

북옥저

북옥저(北沃沮)는 개마산 동쪽에 있었던 한국의 옛 나라이.

새로운!!: 옌볜 조선족 자치주와 북옥저 · 더보기 »

부여

부여(扶餘, 기원전 2세기 ~ 494년)는 한민족의 고대국가로 여겨지는 초기 국가(연맹 왕국)들 중 하나로, 지금의 쑹화강 유역을 중심으로 지금의 만주 일대(하얼빈, 아청, 위수, 눙안, 창춘, 솽양, 지린, 옌지, 훈춘, 치치하얼, 룽장)를 지배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 고구려에 의해 부여는 병합되었.

새로운!!: 옌볜 조선족 자치주와 부여 · 더보기 »

김해국제공항

국제공항(金海國際空港, Gimhae International Airport)은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2동에 있는 군-민 공용의 국제공항이.

새로운!!: 옌볜 조선족 자치주와 김해국제공항 · 더보기 »

두만강

만강의 위치 두만강 图们江 두만강(豆滿江)은 백두산의 동쪽 기슭에서 발원하여 동해로 유입되는 강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중화인민공화국 국경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러시아 국경 (ru:Российско-северокорейская граница)을 이.

새로운!!: 옌볜 조선족 자치주와 두만강 · 더보기 »

둔화 시

화()는 지린 성 연변 조선족 자치주의 현급시이.

새로운!!: 옌볜 조선족 자치주와 둔화 시 · 더보기 »

넓이

넓이 또는 면적(面積)은 공간의 영역의 크기를 표현하는 물리량이.

새로운!!: 옌볜 조선족 자치주와 넓이 · 더보기 »

자치주

자치주(自治州)는 소수 민족이나 선주민 등의 주민에 대해서 자치가 인정된 주를 가리.

새로운!!: 옌볜 조선족 자치주와 자치주 · 더보기 »

인구

인구(人口)는 일반적으로 특정 나라나 지역에 살고 있는 사람 수를 말. 생물학에서 동·식물의 개체수를 나타낼 때에는 쓰이지 않는 낱말이.

새로운!!: 옌볜 조선족 자치주와 인구 · 더보기 »

인천국제공항

인천국제공항(仁川國際空港)은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중구 운서동에 위치한 국제공항이.

새로운!!: 옌볜 조선족 자치주와 인천국제공항 · 더보기 »

제주국제공항

제주국제공항(濟州國際空港, Jeju International Airport)은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용담2동, 도두동 일대에 위치한 국제공항이.

새로운!!: 옌볜 조선족 자치주와 제주국제공항 · 더보기 »

정효공주묘

정효공주묘(貞孝公主墓)는 지린 성 옌볜 조선족 자치주 허룽시 룽터우 산 고분군 가운데 하나로, 793년에 만들어진 발해 초기 고분이.

새로운!!: 옌볜 조선족 자치주와 정효공주묘 · 더보기 »

조중 변계 조약

조중 변계 조약(朝中邊界條約)은 1962년 10월 12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중화인민공화국 양국이 평양에서 체결한 국경 조약으로, 1964년 3월 20일 베이징에서 양국이 의정서(조중 변계 의정서)를 교환함으로써 발효되었.

새로운!!: 옌볜 조선족 자치주와 조중 변계 조약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옌볜 조선족 자치주와 조선 · 더보기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북부에 위치한 국가이.

새로운!!: 옌볜 조선족 자치주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더보기 »

조선족

조선족(朝鮮族)은 주로 1945년 이전 만주의 간도 지역으로 이주해 거주해온 한민족들을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민족이름으로 한민족(韓民族)이라는 표현은 잘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한민족 전체를 일컫는 용어로 ‘조선족’이라는 용어를 사용.

새로운!!: 옌볜 조선족 자치주와 조선족 · 더보기 »

좡족

좡족(장족,)은 중화인민공화국 최대의 소수 민족으로 광시 좡족 자치구에 주로 살고 있. 인구는 1800만 명으로 한족 다음으로 많. 좡족의 원래 이름은 獞族(퉁족, 동족)이었.

새로운!!: 옌볜 조선족 자치주와 좡족 · 더보기 »

주덕해

주덕해(朱德海, 1911년 3월 ~ 1972년 7월 3일)의 본명은 오기섭(吳基涉)이며 중국공산당에 참여하여 동북항일연군으로 참전하였.

새로운!!: 옌볜 조선족 자치주와 주덕해 · 더보기 »

중화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은 동아시아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옌볜 조선족 자치주와 중화인민공화국 · 더보기 »

징포족

징포족(景颇族, Jǐngpō zú, 경파족) 또는 카친족(Kachin)은 중국 윈난 성과 미얀마 카친 주에 사는 소수민족 중의 하나이.

새로운!!: 옌볜 조선족 자치주와 징포족 · 더보기 »

지린성

림성()은 중화인민공화국 동북부의 성이.

새로운!!: 옌볜 조선족 자치주와 지린성 · 더보기 »

창바이 조선족 자치현

장백조선족 자치현()은 중화인민공화국 지린 성 바이산 시에 위치한 자치현으로 중국에서 유일한 조선족 자치현이.

새로운!!: 옌볜 조선족 자치주와 창바이 조선족 자치현 · 더보기 »

투먼 시

먼시()은 중화인민공화국 지린 성 옌볜 조선족 자치주에 위치한 도시이.

새로운!!: 옌볜 조선족 자치주와 투먼 시 · 더보기 »

투자족

자족(토가족)은 중국에서 전체 인구 8백만이 넘는 소수민족 중 6번째로 많은 소수민족이.

새로운!!: 옌볜 조선족 자치주와 투자족 · 더보기 »

옌볜 대학

연변 대학)은 연변 조선족 자치주 연길에 있는 대학이다. 1949년 3월 20일에 설립되었다. 7개의 학과 프로그램(경제학, 철학, 법학, 교육학, 역사학, 과학, 공학등)이 있다. 2004년에는, 학생들이 16,413명이 이곳에 다니고 있다. 외국유학생들은 대부분 대한민국, 일본, 미국, 러시아에서 왔다.

새로운!!: 옌볜 조선족 자치주와 옌볜 대학 · 더보기 »

옌지 차오양촨 공항

연길 조양천 공항(연길조양천공항,, Yanji Chaoyangchuan Airport), ICAO: ZYYJ, IATA: YNJ)은 중화인민공화국 지린 성 연변 조선족 자치주 연길 시에 있는 공항이다.

새로운!!: 옌볜 조선족 자치주와 옌지 차오양촨 공항 · 더보기 »

옌지 시

옌지 시(연길시) 는 중국 동북지역 지린 성 연변 조선족 자치주의 주정부가 위치하고 있는 현급시이자 주도이.

새로운!!: 옌볜 조선족 자치주와 옌지 시 · 더보기 »

헤이룽장성

헤이룽장 성(흑룡강성)은 중화인민공화국 동북부에 있는 성이.

새로운!!: 옌볜 조선족 자치주와 헤이룽장성 · 더보기 »

허룽 시

룽(화룡)은 지린 성 옌볜 조선족 자치주에 속하며, 면적은 5,069km2, 인구는 22만명이.

새로운!!: 옌볜 조선족 자치주와 허룽 시 · 더보기 »

쑹화강

쑹화 강 쑹화 강(송화강)은 백두산 천지에서 발원한 강으로, 아무르 강의 가장 큰 지류이.

새로운!!: 옌볜 조선족 자치주와 쑹화강 · 더보기 »

프리모르스키 지방

리모르스키 지방 프리모르스키 지방()은 러시아 극동에 위치한 러시아의 지방이.

새로운!!: 옌볜 조선족 자치주와 프리모르스키 지방 · 더보기 »

함경도

조선후기 함경도 함경도(咸鏡道)는 조선 시대의 행정 구역이.

새로운!!: 옌볜 조선족 자치주와 함경도 · 더보기 »

함경북도

경북도(咸鏡北道)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북동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옌볜 조선족 자치주와 함경북도 · 더보기 »

한민족

민족(韓民族)은 한반도와 그 주변의 만주, 연해주 등지에 살면서 공동 문화권을 형성하고 한국어를 사용하는 아시아계 민족이.

새로운!!: 옌볜 조선족 자치주와 한민족 · 더보기 »

한족

족()은 중국의 대표적인 민족집단으로, 중화인민공화국과 중화민국 인구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동남아시아, 북아메리카 등 세계 각지에서도 거주하고 있. 2008년 기준으로 한족 인구는 약 12억명으로 중화인민공화국 인구의 약 92%를 차지하는 중화인민공화국 최대의 민족집단이.

새로운!!: 옌볜 조선족 자치주와 한족 · 더보기 »

안투 현

안도 현(안도현)은 중화인민공화국 지린 성 연변 조선족 자치주에 위치한 현으로, 백두산과 두만강 상류를 경계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이웃해 있. 면적은 7,444 km², 인구는 21만여 명이고, 전체 인구 중 한민족 비율은 25%이.

새로운!!: 옌볜 조선족 자치주와 안투 현 · 더보기 »

시버족

시버족()은 만주족의 일파로 현재 중국 신장 웨이우얼 자치구에 살고 있. 2000년 집계에 따르면 중국에 188,824명(약 19만명)이 살고 있.

새로운!!: 옌볜 조선족 자치주와 시버족 · 더보기 »

훈춘 시

훈춘()은 중화인민공화국 지린 성 옌볜 조선족 자치주의 동부에 위치한 현급시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러시아에 인접해 있어 국경 개방 도시로 지정되어 있. 시의 인구는 25만여 명이고, 이 중 한민족이 약 45%를.

새로운!!: 옌볜 조선족 자치주와 훈춘 시 · 더보기 »

후이족

후이족(샤오얼징: حُوِ ذَو/حواريون)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소수 민족으로, 중화인민공화국 최대의 무슬림 민족 집단이.

새로운!!: 옌볜 조선족 자치주와 후이족 · 더보기 »

왕칭 현

왕청 현(왕청현)은 중화인민공화국 지린 성 연변 조선족 자치주의 현이.

새로운!!: 옌볜 조선족 자치주와 왕칭 현 · 더보기 »

1881년

1881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옌볜 조선족 자치주와 1881년 · 더보기 »

1907년

1907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옌볜 조선족 자치주와 1907년 · 더보기 »

1916년

1916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옌볜 조선족 자치주와 1916년 · 더보기 »

1930년

1930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옌볜 조선족 자치주와 1930년 · 더보기 »

1949년

1949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옌볜 조선족 자치주와 1949년 · 더보기 »

1952년

1952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옌볜 조선족 자치주와 1952년 · 더보기 »

1954년

1954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옌볜 조선족 자치주와 1954년 · 더보기 »

1955년

1955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옌볜 조선족 자치주와 1955년 · 더보기 »

1980년

1980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옌볜 조선족 자치주와 1980년 · 더보기 »

19세기

세실 존 로드의 케이프-카이로 철도 계획을 풍자한 그림. 영국의 아프리카 남북 분할의 상징이다. 제1차 아편 전쟁의 전투기록화 19세기(- 世紀)는 1801년부터 1900년까지의 기간이.

새로운!!: 옌볜 조선족 자치주와 19세기 · 더보기 »

2009년

2009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옌볜 조선족 자치주와 2009년 · 더보기 »

3·1 운동

3·1 운동(三一運動) 또는 3·1 만세 운동(三一萬歲運動)은 일제 강점기에 있던 한국인들이 일제의 지배에 항거하여 1919년 3월 1일 한일병합조약의 무효와 한국의 독립을 선언하고 비폭력 만세운동을 시작한 사건이.

새로운!!: 옌볜 조선족 자치주와 3·1 운동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조선족 자치주, 옌벤, 옌벤 조선족 자치주, 옌볜, 옌볜조선족자치주, 연변, 연변 조선족 자치주, 연변조선족자치주.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