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겉보기 역행 운동

색인 겉보기 역행 운동

지구(파란색)가 화성(빨간색)과 같은 외행성을 지날 때, 외행성은 일시적으로 그것의 방향의 반대로 하늘을 가로지르는 것처럼 보일 것이다. 겉보기 역행 운동(~ 逆行 運動, apparent retrograde motion)은 행성이나 천체가 특정 위치에서 관측될 때, 그것이 속한 행성계 내에서 다른 천체들의 방향과는 반대로 이동하는 것이.

39 처지: 동쪽, 망원경, 목성, 명사 (품사), 명왕성, 물병자리, 각속도, 갈릴레오 갈릴레이, 공전 주기, 금성, 글러모건 대학교, 비브코드,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 우주왕복선, 장축단, 히파르코스, 클라우디오스 프톨레마이오스, 포보스 (위성), 인공위성, 일주 운동, 점성술, 지구중심설, 천궁도, , 출생 천궁도, 카이퍼 대, 태양, 수성, 형용사, 행성, 역행 운동, 서쪽, 소행성, 해왕성, 한국어의 한자어, 심괄, 시차 (천문학), 황도대, 화성.

동쪽

동쪽을 가리키는 나침반 바늘 동쪽(東 -)은 태양이 뜨는 방향으로 서쪽의 반대 방향이며 남쪽과 북쪽의 사이 방향이.

새로운!!: 겉보기 역행 운동와 동쪽 · 더보기 »

망원경

스커버리 우주왕복선에서 바라본 허블 우주망원경 망원경(望遠鏡)은 렌즈나 거울 등의 광학기기를 이용하여 가시광선·적외선·자외선·엑스선 등의 전자기파를 모아 멀리 있는 물체를 관측하는 장치이.

새로운!!: 겉보기 역행 운동와 망원경 · 더보기 »

목성

목성(木星, 라틴어: Jupiter)은 태양계의 다섯번째 행성이자 가장 큰 행성이.

새로운!!: 겉보기 역행 운동와 목성 · 더보기 »

명사 (품사)

명사(名詞), 또는 이름씨는 일반적으로 사물, 사람, 장소의 이름을 나타내는 품사이.

새로운!!: 겉보기 역행 운동와 명사 (품사) · 더보기 »

명왕성

섬네일 명왕성(冥王星, Pluto) 또는 왜소행성 134340 명왕성(소행성명 134340 Pluto)은 카이퍼 대에 있는 왜행성이며, 현재 카이퍼 대에서 가장 큰 천체로 파악되었.

새로운!!: 겉보기 역행 운동와 명왕성 · 더보기 »

물병자리

물병자리(Aquarius, 기호:♒)는 염소자리와 물고기자리 사이에 놓여 있는 별자리이며, 황도 12궁의 11번째에 해당.

새로운!!: 겉보기 역행 운동와 물병자리 · 더보기 »

각속도

각속도는 회전의 속력, 즉, 어느 순간의 회전이 일어나는 뱡향으로 이동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양이다. 각속도 벡터의 방향은 언제나 회전축에 평행하다. 이 경우엔, 평면상에서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오른손 법칙에 의해 각속도 벡터의 방향은 독자를 가리키는 방향이 된다. 각속도(角速度, angular velocity) 또는 회전속도(廻轉速度, rotational velocity)란 특정 축을 기준으로 각이 돌아가는 속력을 나타내는 벡터(엄밀히 말하면, 유사벡터)이.

새로운!!: 겉보기 역행 운동와 각속도 · 더보기 »

갈릴레오 갈릴레이

릴레오 갈릴레이(Galileo Galilei, 1564년 2월 15일 ~ 1642년 1월 8일)는 이탈리아의 철학자, 과학자, 물리학자, 천문학자이.

새로운!!: 겉보기 역행 운동와 갈릴레오 갈릴레이 · 더보기 »

공전 주기

공전 주기(公轉週期)는 행성 등이 궤도를 한 바퀴 도는 시간을 말.

새로운!!: 겉보기 역행 운동와 공전 주기 · 더보기 »

금성

성(金星, 라틴어: Venus)은 태양계의 두 번째 행성이.

새로운!!: 겉보기 역행 운동와 금성 · 더보기 »

글러모건 대학교

모건 대학교 글러모건 대학교(University of Glamorgan)는 웨일스 폰티프리드에 위치한 대학교이.

새로운!!: 겉보기 역행 운동와 글러모건 대학교 · 더보기 »

비브코드

비브코드()는 천문학 학술 정보 시스템에서 인용될 수 있는 문헌에 대하여 부여하는 고유 식별자이.

새로운!!: 겉보기 역행 운동와 비브코드 · 더보기 »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

우스 코페르니쿠스(/ /, 1473년 2월 19일 - 1543년 5월 24일)는 당시 진리처럼 믿어온 지구중심설(천동설)의 오류를지적하고 태양중심설(지동설)을 주장하여 근대 자연과학의 획기적인 전환, 이른바 '코페르니쿠스의 전환'을 가져온 폴란드의 천문학자이.

새로운!!: 겉보기 역행 운동와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 · 더보기 »

우주왕복선

200px 우주왕복선(宇宙往復船) 또는 스페이스 셔틀()은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우주와 지구를 반복해서 왕복하도록 설계된 우주선이며 1980년대 초반부터 사용되다가 2011년 7월 21일 퇴역.

새로운!!: 겉보기 역행 운동와 우주왕복선 · 더보기 »

장축단

점 케플러 궤도 요소: ''F''점은 근점이다. ''H''점은 원점이다. 빨간 선은 장축단의 선이다. 천문학에서 장축단(長軸端, apsis)은 타원 궤도에서 초점에서의 거리가 가장 먼 원점(遠點, apoapsis)과 가장 가까운 근점(近點, periapsis)을 함께 부르는 말이.

새로운!!: 겉보기 역행 운동와 장축단 · 더보기 »

히파르코스

히파르쿠스 히파르코스(그리스어: Ἵππαρχος, 기원전 190년 ~ 기원전 120년)는 고대 그리스의 천문학자, 지리학자, 수학자이.

새로운!!: 겉보기 역행 운동와 히파르코스 · 더보기 »

클라우디오스 프톨레마이오스

'''클라우디오스 프톨레마이오스''' 클라우디오스 프톨레마이오스(AD 83년경 ~ 168년경)는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 천문학자, 지리학자, 점성학자이.

새로운!!: 겉보기 역행 운동와 클라우디오스 프톨레마이오스 · 더보기 »

포보스 (위성)

보스()는 화성의 두 위성 중 하나이.

새로운!!: 겉보기 역행 운동와 포보스 (위성) · 더보기 »

인공위성

중궤도 GPS 위성의 궤도를 보여주는 애니메이션. 지구 관측 위성 ERS 2의 실제 크기 모델 인공위성(人工衛星)은 로켓을 사용하여 대기권 밖으로 쏘아 올려진 주로 지구 둘레의 원 또는 타원 궤도를 위성처럼 비행하는 인공의 물체이.

새로운!!: 겉보기 역행 운동와 인공위성 · 더보기 »

일주 운동

북극성을 중심으로 일주운동을 하는 별들(2013년 12월 29일, 백마고지). 일주 운동(日週運動)은 지구의 자전으로 인하여 하늘의 별들이 지구상의 관측자에게 회전하는 것처럼 보이는 겉보기 운동을 말. 북극성을 포함한 모든 별은 하루에 한 번씩 천구의 북극을 중심으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동심원을 그리며 운동.

새로운!!: 겉보기 역행 운동와 일주 운동 · 더보기 »

점성술

점성술(占星術, astrology)은 인간 세계에서 천문학상의 현상과 사건이 관계가 있다고 믿는 신앙 체계로 이루어져 있. 서양에서 점성술은 태양과 달 그리고 다른 행성 객체들의 위치에 기반하여 개인의 성격을 설명하고 그들의 인생에서 미래의 사건을 예언한다고 주장되는 천궁도의 체계로 거의 대부분이 구성.

새로운!!: 겉보기 역행 운동와 점성술 · 더보기 »

지구중심설

동설 지구중심설(地球中心說)은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며 모든 천체가 지구 주위를 돈다는 학설이.

새로운!!: 겉보기 역행 운동와 지구중심설 · 더보기 »

천궁도

미국 뉴욕주 뉴욕시(경도: 074W00'23", 위도: 40N42'51")의 북미동부시 200년 1월 1일 오전 12시 1분의 천궁도. 천궁도(天宮圖, horoscope)는 한 사람의 출생 순간과 같은 특정 시간의 태양과 달, 행성 그리고 기준선을 표현하는 점성술의 도표 또는 도해이.

새로운!!: 겉보기 역행 운동와 천궁도 · 더보기 »

충(忠)은 정성(精誠)·성의(誠意), 또는 정성과 성의를 다한다는 뜻으로, 군신(君臣) 사이에서 신하된 자의 도리를 가리.

새로운!!: 겉보기 역행 운동와 충 · 더보기 »

출생 천궁도

북미 동부 하절기 시간 1982년 6월 21일 오후 11시 3분에 샬럿에서 태어난 한 남성의 출생 천궁도 출생 천궁도(出生 天宮圖, natal chart)는 출생인(개인이나 연구 대상)이 중심에 있는 양식화된 우주의 천체도이.

새로운!!: 겉보기 역행 운동와 출생 천궁도 · 더보기 »

카이퍼 대

왕성과 명왕성 궤도를 둘러싸고 있는 카이퍼 대. 카이퍼 대(Kuiper Belt) 또는 에지워스 카이퍼 대(Edgeworth-Kuiper belt)는 태양계의 해왕성 궤도(태양으로부터 약 30 AU)보다 바깥쪽의 황도면 부근에 있는, 천체가 밀집한, 구멍이 뚫린 원반형의 영역이.

새로운!!: 겉보기 역행 운동와 카이퍼 대 · 더보기 »

태양

1992년에 촬영한 태양 모습. 태양 표면에 있는 흑점이 보인다. 태양(太陽)은 태양계 중심에 있으며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항성(또는 별)이.

새로운!!: 겉보기 역행 운동와 태양 · 더보기 »

수성

수성(水星, 라틴어: Mercurius)은 태양계에서 태양과 가장 가까운 궤도를 도는 행성이.

새로운!!: 겉보기 역행 운동와 수성 · 더보기 »

형용사

형용사(形容詞, Adjective) 또는 그림씨는 사물의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품사이.

새로운!!: 겉보기 역행 운동와 형용사 · 더보기 »

행성

639x639픽셀 행성(行星, planet)은 항성의 둘레를 도는 천체의 한 부류이.

새로운!!: 겉보기 역행 운동와 행성 · 더보기 »

역행 운동

역행 궤도: 중심 천체(파란색)의 자전과 반대 방향에 있는 위성(빨간색)의 궤도. 역행 운동(逆行 運動, retrograde motion)은 다른 물체 대한 반대 방향으로의 이동이며, 순행 운동(順行 運動, direct 또는 prograde motion)의 반대이.

새로운!!: 겉보기 역행 운동와 역행 운동 · 더보기 »

서쪽

서쪽을 가리키는 나침반 바늘 서쪽(西 -)은 태양이 지는 방향으로 동쪽의 반대 방향이며 남쪽과 북쪽의 사이 방향이.

새로운!!: 겉보기 역행 운동와 서쪽 · 더보기 »

소행성

소행성 433 에로스의 사진 소행성(小行星)은 목성 궤도 및 그 안쪽에서 태양 주위를 공전하고 있는 행성보다 작은 천체이.

새로운!!: 겉보기 역행 운동와 소행성 · 더보기 »

해왕성

왕성(海王星, 라틴어: Neptunus)은 태양계의 8개 행성 중 8번째 행성이.

새로운!!: 겉보기 역행 운동와 해왕성 · 더보기 »

한국어의 한자어

자어(漢字語)는 한국어 어휘 부류 중 하나로, 한국 한자음으로 발음되는 한자 계열 단어를 말.

새로운!!: 겉보기 역행 운동와 한국어의 한자어 · 더보기 »

심괄

심괄(1031년 ~ 1095년)은 중국의 송나라 대의 학자이.

새로운!!: 겉보기 역행 운동와 심괄 · 더보기 »

시차 (천문학)

시차에 대한 간단한 개념도. 관측자는 같은 물체를 보지만 충분히 멀어 고정된 배경에 대해 A에서의 관측자는 물체가 청색 영역 위에 존재하는 것처럼 관측될 것이지만, B에서의 관측자는 물체가 적색 영역 위에 존재하는 것처럼 보이게 된다. 시차(Parallax)는 고정된 먼 배경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한 물체를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두 관측자가 관측했을 때 발생하는 겉보기 위치의 차이 또는 변위이.

새로운!!: 겉보기 역행 운동와 시차 (천문학) · 더보기 »

황도대

황도대의 원: 유대교 회당에 있는 이 6세기의 모자이크로 포장한 바닥은 그리스-비잔티움의 요소가 혼합되어 있다. 이스라엘, 베이트 알파. 태양을 공전하는 궤도에 있는 지구는 천구에서 태양이 주야평분선(청백색 선)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는 황도(붉은색 선)을 따라 움직이는 것으로 보이게 만든다. 황도대(黃道帶,, 그리스어: ζῳδιακός, 조디아코스)는 점성술과 역사적 천문학 모두에서, 한 해 동안에 천구를 가로지르는 태양의 외견상 경로인 황도를 중심으로 하는 천체 경도의 30°씩의 구간들의 원이.

새로운!!: 겉보기 역행 운동와 황도대 · 더보기 »

화성

화성(火星)은 태양계의 네 번째 행성이.

새로운!!: 겉보기 역행 운동와 화성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겉보기 역행, 겉보기 역행운동, 외견상 역행, 외견상 역행 운동, 외견상 역행운동.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