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용두산공원

색인 용두산공원

용탑 부산타워를 배경으로 선 이순신 장군 동상 용두산공원의 야경. 용두산공원(龍頭山公園)은 부산광역시 중구에 있는 공원으로 부산시설공단에서 관리하고 있. 용두산으로 불리는 언덕이 공원이고, 정상에는 부산타워가 있. 1930년경 용두산 공원 일본 신사 부산 남부의 남포동에 인접하고, 공원으로 올라가는 길은 대청동에서 중앙성당으로 올라가는 길이 있고, 중앙동에서 부산호텔 근처에서 올라가는 계단이 있고, 광복동에서는 에스컬레이터로 올라갈 수 있. 부산항이나 영도를 바라볼 수 있고 또 부산타워의 아래에는 이순신의 동상이 우뚝 솟아 있. 옛 부산광역시 시청이 있던 자리가 용미산으로 용의 꼬리에 해당하는 곳이었.

51 처지: 도리이, 만주, 미터, 공원, 광복절,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의 기념물, 부산국제영화제, 부산타워, 부산항, 부산시설공단, 근대역사관, 대한성공회 부산주교좌대성당, 남포동 (부산), 노면전차, 용두산공원, 자 (단위), 이승만, 이순신, 일본의 국기, 일제 강점기, 조선, 중구 (부산광역시), 참배, 천주교 부산교구, 호 (이름), 언덕, 에스컬레이터, 한국은행, 신사 (신토), 왜관, 11월 17일, 1915년, 1916년, 1932년, 1933년, 1935년, 1940년, 1945년, 1957년, 1966년, 1972년, 1993년, 1월 3일, 2004년, 2008년, 2월 9일, 40계단, 5월 22일, 6월 26일, ..., 7월 1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 더) »

도리이

닛코 동조궁의 도리이 이쓰쿠시마 신사의 도리이 교토 후시미 이나리 신사의 수많은 도리이 도리이에 새겨진 기부자의 이름 도리이(鳥居)는 전통적인 일본의 문으로 일반적으로 신사의 입구에서 발. 도리이의 기본적인 구조는 두 개의 기둥이 서있고 기둥 꼭대기를 서로 연결하는 가사기(笠木)로 불리는 가로대가 놓여있는 형태이.

새로운!!: 용두산공원와 도리이 · 더보기 »

만주

붉은색은 둥베이(랴오닝 성, 지린 성, 헤이룽장 성) 지방이고, 조금 연한 부분은 내몽골 자치구 동부 지역, 가장 연한 부분은 외만주이다. 만주()는 동북아시아 압록강 북쪽의 광활한 지역을 일컫.

새로운!!: 용두산공원와 만주 · 더보기 »

미터

미터(기호 m)는 길이나 거리의 SI 단위이.

새로운!!: 용두산공원와 미터 · 더보기 »

공원

공원(公園)은 대중에게 개방되어 시민이 산책이나 운동을 할 수 있는 공간을 의미.

새로운!!: 용두산공원와 공원 · 더보기 »

광복절

광복절(光復節)은 한반도가 일본 제국으로부터 해방된 것을 기념하는 날로, 대한민국에서는 이를 국경일로 법제화함으로써 매년 양력 8월 15일에 기념하고 있. '광복'은“빛(光)을 되찾음(復)”, 즉, 주권을 되찾았다는 뜻으로 쓰인.

새로운!!: 용두산공원와 광복절 · 더보기 »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釜山廣域市)는 대한민국 동남부 해안에 있는 광역시이.

새로운!!: 용두산공원와 부산광역시 · 더보기 »

부산광역시의 기념물

부산광역시의 기념물은 기념물 중에서 부산광역시 내에 있는 문화재를 의미.

새로운!!: 용두산공원와 부산광역시의 기념물 · 더보기 »

부산국제영화제

부산국제영화제(釜山國際映畵祭)는 매년 가을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영화의전당 일원에서 개최되는 국제영화제.

새로운!!: 용두산공원와 부산국제영화제 · 더보기 »

부산타워

부산타워(釜山 tower)는 부산광역시 중구 대청로116번길 13 용두산공원에 세워진 부산을 상징하는 관광탑으로, 1973년 11월 21일에 완공되었.

새로운!!: 용두산공원와 부산타워 · 더보기 »

부산항

부산항 국제여객터미널 19세기의 부산항 부산항(釜山港, Port of Busan)은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대한민국 최대의 무역항이.

새로운!!: 용두산공원와 부산항 · 더보기 »

부산시설공단

부산시설공단은 부산광역시청 산하의 공기업이.

새로운!!: 용두산공원와 부산시설공단 · 더보기 »

근대역사관

부산근대역사관은 부산의 근대 역사 자료를 발굴, 기획, 전시, 교육하는 부산광역시 산하 사업소다. 2001년 5월 16일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49호로 지정되었다. 일제강점기에 동양척식주식회사 부산지점 건물로 지어진 것을 해방후 미군이 접수, 미영사관, 미문화원으로 쓰던 것을 부산시에서 받아, 2003년 7월 3일에 부산 근현대사 전시, 교육공간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총 3층 건물에 유물 200여점, 영상물, 모형물 등을 전시하고 근대문화유적 답사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새로운!!: 용두산공원와 근대역사관 · 더보기 »

대한성공회 부산주교좌대성당

성공회 부산주교좌대성당은 부산광역시 중구 대청동 2가 18번지에 위치해있는 대한성공회 부산교구 소속 성공회 대성당이.

새로운!!: 용두산공원와 대한성공회 부산주교좌대성당 · 더보기 »

남포동 (부산)

동 전경 남포동(南浦洞)은 부산광역시 중구에 위치한 부산의 구도심으로 시장, 백화점, 영화관 등이 밀집해 있는 상업 중심지역이.

새로운!!: 용두산공원와 남포동 (부산) · 더보기 »

노면전차

면 전차 노면전차(路面電車), 시가전차(市街電車), 또는 트램(tram, tramcar, trolley 또는 streetcar)은 교통수단의 하나로, 주로 도로상에 부설된 레일을 따라 움직이는 전동차를 일컫.

새로운!!: 용두산공원와 노면전차 · 더보기 »

용두산공원

용탑 부산타워를 배경으로 선 이순신 장군 동상 용두산공원의 야경. 용두산공원(龍頭山公園)은 부산광역시 중구에 있는 공원으로 부산시설공단에서 관리하고 있. 용두산으로 불리는 언덕이 공원이고, 정상에는 부산타워가 있. 1930년경 용두산 공원 일본 신사 부산 남부의 남포동에 인접하고, 공원으로 올라가는 길은 대청동에서 중앙성당으로 올라가는 길이 있고, 중앙동에서 부산호텔 근처에서 올라가는 계단이 있고, 광복동에서는 에스컬레이터로 올라갈 수 있. 부산항이나 영도를 바라볼 수 있고 또 부산타워의 아래에는 이순신의 동상이 우뚝 솟아 있. 옛 부산광역시 시청이 있던 자리가 용미산으로 용의 꼬리에 해당하는 곳이었.

새로운!!: 용두산공원와 용두산공원 · 더보기 »

자 (단위)

자는 동아시아의 도량형인 척근법에서 쓰는 길이의 단위로 10 치에 해당하며 한자어로 척(尺)으로도 쓴.

새로운!!: 용두산공원와 자 (단위) · 더보기 »

이승만

이승만(李承晩, 1875년 5월 1일(음력 3월 26일) ~ 1965년 7월 19일) 또는 리승만은 조선과 대한제국 및 대한민국의 개화파, 언론인, 정치인이며,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대통령, 대한민국의 제1·2·3대 대통령이.

새로운!!: 용두산공원와 이승만 · 더보기 »

이순신

광화문 광장의 이순신 동상 이순신(李舜臣, 1545년 4월 28일 ~ 1598년 12월 16일 (음력 11월 19일))은 조선 중기의 무신이.

새로운!!: 용두산공원와 이순신 · 더보기 »

일본의 국기

일본의 국기는 일장기()를 의미하며, 히노마루(日の丸)라고 부른.

새로운!!: 용두산공원와 일본의 국기 · 더보기 »

일제 강점기

일제강점기(1910년 8월 29일 ~ 1945년 8월 15일)는 한국의 역사에서 한국의 근현대사를 시대별로 나누었을 때 주요 시대 중 하나로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가 일본 제국의 식민 지배 아래 놓였던 시기이.

새로운!!: 용두산공원와 일제 강점기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용두산공원와 조선 · 더보기 »

중구 (부산광역시)

동구가 보인다. 중구(中區)는 부산광역시 남부에 있는 구이.

새로운!!: 용두산공원와 중구 (부산광역시) · 더보기 »

참배

신사에서 참배하는 노인 참배(參拜)는 신사, 사원 등의 종교 시설을 방문하여 신불과 죽음에 경배, 기도하는 행위이.

새로운!!: 용두산공원와 참배 · 더보기 »

천주교 부산교구

주교 부산교구(天主敎釜山敎區,)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동부 지역과 울산광역시, 부산광역시를 관할하는 한국 천주교회의 교구이.

새로운!!: 용두산공원와 천주교 부산교구 · 더보기 »

호 (이름)

호(號)는 유교 문화권, 특히 중국이나 한국에서 본명이나 자 이외에 따로 지어 부르는 이름으로, 사람의 별칭이나 필명 또는 별호(別號)나 아호(雅號) 등을 가리.

새로운!!: 용두산공원와 호 (이름) · 더보기 »

언덕

언덕. 오스트레일리아 빅토리아 주 스위프츠 크릭 근처. 언덕은 땅이 비탈진 곳이자, 그것을 둘러싸는 지대보다 높이 솟아 오른 비교적 좁은 곳으로서, 지형 종류의 한 가지이.

새로운!!: 용두산공원와 언덕 · 더보기 »

에스컬레이터

랑스 파리 라데팡스의 에스컬레이터. 에스컬레이터() 또는 때때로 자동계단(自動階段)은 건물이나 지하도 등에서 사용되는, 사람이 움직이지 않아도 움직이는 계단을 말. 정격 속도는 하양 방향의 안전을 고려하여 30m/분 이하로 수송 능력과 내측 패널로서 매시 5,000 ~ 8,000명 정도이.

새로운!!: 용두산공원와 에스컬레이터 · 더보기 »

한국은행

국은행(韓國銀行, Bank of Korea, BOK, 한은)은 효율적인 통화신용정책의 수립과 집행을 통해 물가안정을 목표로 하는 대한민국의 중앙은행이.

새로운!!: 용두산공원와 한국은행 · 더보기 »

신사 (신토)

교토 시 야사카 신사 신사()는 일본의 신토신앙에 근거해 만들어진 종교 시설이.

새로운!!: 용두산공원와 신사 (신토) · 더보기 »

왜관

18세기 부산포 동래 초량왜관도 왜관(倭館)은 조선시대 일본인이 조선에 와서 통상(通商)하던 곳이.

새로운!!: 용두산공원와 왜관 · 더보기 »

11월 17일

11월 1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21번째(윤년일 경우 32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용두산공원와 11월 17일 · 더보기 »

1915년

1915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용두산공원와 1915년 · 더보기 »

1916년

1916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용두산공원와 1916년 · 더보기 »

1932년

1932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용두산공원와 1932년 · 더보기 »

1933년

1933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용두산공원와 1933년 · 더보기 »

1935년

1935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용두산공원와 1935년 · 더보기 »

1940년

1940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용두산공원와 1940년 · 더보기 »

1945년

1945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용두산공원와 1945년 · 더보기 »

1957년

1957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용두산공원와 1957년 · 더보기 »

1966년

1966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용두산공원와 1966년 · 더보기 »

1972년

1972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용두산공원와 1972년 · 더보기 »

1993년

8월 7일 ~ 11월 7일 동안 열린 '''대전엑스포'''를 기념하기 위해 건립된 상징 조형물인 '''한빛탑'''. 1993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용두산공원와 1993년 · 더보기 »

1월 3일

1월 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용두산공원와 1월 3일 · 더보기 »

2004년

2004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용두산공원와 2004년 · 더보기 »

2008년

2008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용두산공원와 2008년 · 더보기 »

2월 9일

2월 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40번째(윤년일 경우도 4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용두산공원와 2월 9일 · 더보기 »

40계단

40계단 40계단은 부산 중구에 위치한 문화명소이.

새로운!!: 용두산공원와 40계단 · 더보기 »

5월 22일

5월 2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42번째(윤년일 경우 14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용두산공원와 5월 22일 · 더보기 »

6월 26일

6월 2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77번째(윤년일 경우 17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용두산공원와 6월 26일 · 더보기 »

7월 1일

7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82번째(윤년일 경우 18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용두산공원와 7월 1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용두산 (부산), 용두산 공원, 우남 공원, 우남공원.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