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용인 독립만세운동

색인 용인 독립만세운동

용인 독립만세운동은 일제 강점기에 경기도 용인군에 있던 조선인들이 일본 제국의 지배에 항거하여 1919년 3월 1일 독립을 선언하고 만세운동을 시작한 계기로 1919년 3월 21일 원삼면 좌전고개에서 시작된 3.1만세운동으로 좌전고개 3.1운동라고도 부른.

45 처지: 독립운동, 강남대학교, 경기도, 고종 독살설, 김혁, 대한독립선언서, 대한민국 임시 정부, 대한제국 고종, 대학, 단국대학교, 용인시, 장형 (1889년), 이한응, 일본, 일본 제국, 일제 강점기, 조희재 (1892년), 조선총독부, 처인구, 상해임시정부, 여준, 한반도, 한국인, 한국의 독립운동, 신흥무관학교, 10월 1일, 11월 29일, 1919년, 1946년, 1949년, 2002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3·1 운동, 3·1절, 3월, 3월 1일, 3월 21일, 3월 3일, 4월 21일.

독립운동

독립운동(獨立運動,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또는 해방운동(解放運動)은 어떤 국가 또는 세력의 직·간접적인 지배를 받는 지역에서 자치권 등의 권한을 얻거나, 스스로의 국가 또는 세력을 세우기 위해 벌이는 모든 행위를 말. 그러므로 국가의 독립은 기존 국가에 속한 일부 지역이나 타국의 지배하에 있던 영역이, 그 지배를 벗어나 새로운 국가로 성립하는 것을 의미.

새로운!!: 용인 독립만세운동와 독립운동 · 더보기 »

강남대학교

강남대학교(江南大學校, Kangnam University)는 대한민국 경기도 용인시에 위치한 사립 대학으로, 1946년 개교하였.

새로운!!: 용인 독립만세운동와 강남대학교 · 더보기 »

경기도

경기도(京畿道)는 대한민국의 북서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용인 독립만세운동와 경기도 · 더보기 »

고종 독살설

종 독살설(高宗毒殺說)은 대한제국 고종이 1919년 1월 21일 사망한 원인이 일제의 사주로 인한 독살이었다는 주장이.

새로운!!: 용인 독립만세운동와 고종 독살설 · 더보기 »

김혁

혁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용인 독립만세운동와 김혁 · 더보기 »

대한독립선언서

독립선언서(大韓獨立宣言書) 또는 무오독립선언서(戊午獨立宣言書)는 1919년 2월 1일에 발표된 독립선언서이.

새로운!!: 용인 독립만세운동와 대한독립선언서 · 더보기 »

대한민국 임시 정부

민국 임시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 1919년 ~ 1948년)는 1919년 3월 1일 경성(京城)에서 선포된 3·1 독립선언에 기초하여 일본 제국의 대한제국 침탈과 식민 통치를 부인하고 한반도 내외의 항일 독립운동을 주도하기 위한 목적으로 1919년 4월 11일 중화민국 상하이에서 설립된 대한민국의 망명정부이.

새로운!!: 용인 독립만세운동와 대한민국 임시 정부 · 더보기 »

대한제국 고종

종(高宗, 1852년 9월 8일 ~ 1919년 1월 21일)은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 (재위: 1897년 ~ 1907년)이자, 조선의 제26대 마지막 왕(재위: 1863년 ~ 1897년)이.

새로운!!: 용인 독립만세운동와 대한제국 고종 · 더보기 »

대학

학교 졸업식. 학사모는 대학 수료의 상징이다 대학(大學,,: "전체"라는 의미)은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학위를 수여하는 고등교육 및 연구기관 이. 교육기관을 초등·중등·고등으로 나눠보았을 때 최고 교육기관이.

새로운!!: 용인 독립만세운동와 대학 · 더보기 »

단국대학교

국대학교(檀國大學校) 죽전캠퍼스 단국대학교 (檀國大學校, Dankook University)는 대한민국의 사립대학이.

새로운!!: 용인 독립만세운동와 단국대학교 · 더보기 »

용인시

용인시(龍仁市)는 경기도 중남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용인 독립만세운동와 용인시 · 더보기 »

장형 (1889년)

장형(張炯, 1889년 1월 18일 ~ 1964년 12월 30일)은 독립운동가이며 교육자이.

새로운!!: 용인 독립만세운동와 장형 (1889년) · 더보기 »

이한응

이한응(李漢應, 1874년 9월 21일 ~ 1905년 5월 12일)은 본관은 전의예안 이씨(全義)후손 이며 대한제국의 관료, 외교관이며 순국 열사(殉國 烈士)로 자는 경천(敬天)이며 호는 국은(菊隱)이고 李漢膺(이한응)이라는 일명으로도 불리었.

새로운!!: 용인 독립만세운동와 이한응 · 더보기 »

일본

일본국(닛폰코쿠), 약칭 일본(日本,, 닛폰)은 동아시아에 있는 국. 국토는 태평양에 있는 일본 열도의 네 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홋카이도, 혼슈, 시코쿠, 규슈를 중심으로 주변에 산재한 작은 섬으로 구성되어 있. 총 면적은 37만 7835 km2인데 이는 노르웨이(스발바르 제도와 얀마옌을 포함한 경우)보다 작으며 독일보.

새로운!!: 용인 독립만세운동와 일본 · 더보기 »

일본 제국

일본 제국(日本 帝國)은 1868년 1월 3일부터 1947년 5월 3일 사이의 일본의 입헌 군주제를 기반으로 한 특수한 정치 체제(국가 체제), 혹은 일본 제국주의 시기를 의미.

새로운!!: 용인 독립만세운동와 일본 제국 · 더보기 »

일제 강점기

일제강점기(1910년 8월 29일 ~ 1945년 8월 15일)는 한국의 역사에서 한국의 근현대사를 시대별로 나누었을 때 주요 시대 중 하나로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가 일본 제국의 식민 지배 아래 놓였던 시기이.

새로운!!: 용인 독립만세운동와 일제 강점기 · 더보기 »

조희재 (1892년)

조희재(趙喜在, 1892년 2월 12일 ~ 1947년 11월 3일)는 대한민국의 교육자이자 자산가로, 단국대학교의 설립자이.

새로운!!: 용인 독립만세운동와 조희재 (1892년) · 더보기 »

조선총독부

조선총독부의 휘장 조선총독부(朝鮮總督府, 거버먼트 제네럴 오브 코리아)는 일본 제국이 1910년 10월 1일 한일 병합 조약 체결일부터 1945년 9월 2일까지 한반도에 대한 통치를 위해 운영하던 직속기관이었.

새로운!!: 용인 독립만세운동와 조선총독부 · 더보기 »

처인구

모현면 시골 풍경 처인구(處仁區)는 경기도 용인시의 동부에 있는 구이.

새로운!!: 용인 독립만세운동와 처인구 · 더보기 »

상해임시정부

상하이 임시정부(上海臨時政府)는 1919년 4월 11일 중국 상하이에 설립된 임시정부로 대한민국의 망명정수의 하나였.

새로운!!: 용인 독립만세운동와 상해임시정부 · 더보기 »

여준

여준(呂準, 1862년 ~ 1932년)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교육자.

새로운!!: 용인 독립만세운동와 여준 · 더보기 »

한반도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한반도의 모양 한반도(韓半島)는 정치지리학적으로 동아시아에 위치해 있으며, 지형학적으로 유라시아 대륙의 동북쪽 끝에 있는 반도이.

새로운!!: 용인 독립만세운동와 한반도 · 더보기 »

한국인

국인(韓國人)은 대한민국 국적자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적을 가진 사람을 말하며, 정식 국적이 아닌 조선적(朝鮮籍)재일 한국인 가운데 대한민국으로 국적을 변경하지 않은 사람을 말. 연합뉴스, 2014.12.29.

새로운!!: 용인 독립만세운동와 한국인 · 더보기 »

한국의 독립운동

국의 독립운동(韓國-獨立運動)은 대한민국의 대표적 역사운동이.

새로운!!: 용인 독립만세운동와 한국의 독립운동 · 더보기 »

신흥무관학교

신흥무관학교(新興武官學校)는 1911년 서간도(길림성 류하현)에서 개교한 독립군 양성 기관으로, 현 경희대학교(慶熙大學校)의 전신이.

새로운!!: 용인 독립만세운동와 신흥무관학교 · 더보기 »

10월 1일

10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74번째(윤년일 경우 27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용인 독립만세운동와 10월 1일 · 더보기 »

11월 29일

11월 2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33번째(윤년일 경우 33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용인 독립만세운동와 11월 29일 · 더보기 »

1919년

1919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용인 독립만세운동와 1919년 · 더보기 »

1946년

1946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용인 독립만세운동와 1946년 · 더보기 »

1949년

1949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용인 독립만세운동와 1949년 · 더보기 »

2002년

2002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며, 이 해는 21세기의 첫 대규모 행사의 해이.

새로운!!: 용인 독립만세운동와 2002년 · 더보기 »

2005년

2005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용인 독립만세운동와 2005년 · 더보기 »

2006년

2006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용인 독립만세운동와 2006년 · 더보기 »

2007년

2007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용인 독립만세운동와 2007년 · 더보기 »

2008년

2008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용인 독립만세운동와 2008년 · 더보기 »

2009년

2009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용인 독립만세운동와 2009년 · 더보기 »

2010년

2010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용인 독립만세운동와 2010년 · 더보기 »

2011년

2011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용인 독립만세운동와 2011년 · 더보기 »

3·1 운동

3·1 운동(三一運動) 또는 3·1 만세 운동(三一萬歲運動)은 일제 강점기에 있던 한국인들이 일제의 지배에 항거하여 1919년 3월 1일 한일병합조약의 무효와 한국의 독립을 선언하고 비폭력 만세운동을 시작한 사건이.

새로운!!: 용인 독립만세운동와 3·1 운동 · 더보기 »

3·1절

탑골공원에서 열린 제35주년 3·1절 기념식(1954) 3·1절(三一節)은 1919년 3월 1일에 일어난 3·1 운동을 기념하여 제정된 대한민국의 국경일이자 공휴일이.

새로운!!: 용인 독립만세운동와 3·1절 · 더보기 »

3월

3월(三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세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북반구에서는 3월이 되면서 날씨가 풀리기 때문에, 대체로 이 달을 봄의 시작으로 본. 남반구는 가을이.

새로운!!: 용인 독립만세운동와 3월 · 더보기 »

3월 1일

3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60번째(윤년일 경우 6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용인 독립만세운동와 3월 1일 · 더보기 »

3월 21일

3월 2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80번째(윤년일 경우 8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용인 독립만세운동와 3월 21일 · 더보기 »

3월 3일

3월 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62번째(윤년일 경우 6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용인 독립만세운동와 3월 3일 · 더보기 »

4월 21일

4월 2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11번째(윤년일 경우 11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용인 독립만세운동와 4월 21일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