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울진-평해 전투

색인 울진-평해 전투

울진-평해 전투는 한국 전쟁 초기 1950년 6월 29일 ~ 7월 1일까지 울진 및 평해 일대에서 제8사단이 강릉에서 대관령 이서의 내륙으로 이동한 뒤에 울진에 이르기까지의 공백 지역을 남진한 북한군 제5사단에 대하여, 사단의 일부로써 초기 공격을 가한 일전인 동시에 평해선에서 전력을 일단 가다듬고 지연전으로 이행하는 첫 번째 작전이.

44 처지: 리승엽, 만월산, 강릉시, 강문봉, 강태민, 강원도, 고성리, 보현산, 권오봉, 부산광역시, 근남면 (울진군), 기성리, 김광협, 김종순, 김종원, 대관령, 대구광역시, 울진군, 울진읍, 포항시, 평해읍, 주문진읍, 죽변면, 진주, 지리산, 태백산, 수산리, 영덕, 영해, 오진우, 현북면, 현남면, 삼척시, 서울특별시, 한국 전쟁, 1950년, 6월 24일, 6월 25일, 6월 26일, 6월 28일, 6월 29일, 6월 30일, 7월 1일, 7월 2일.

리승엽

리승엽(李承燁, 1905년 2월 8일 ~ 1954년 7월 30일)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가이.

새로운!!: 울진-평해 전투와 리승엽 · 더보기 »

만월산

만월산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울진-평해 전투와 만월산 · 더보기 »

강릉시

강릉시의 로고 강릉시(江陵市)는 대한민국 강원도 동해안 중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울진-평해 전투와 강릉시 · 더보기 »

강문봉

강문봉(姜文奉, 1923년 10월 26일 ~ 1988년 2월 26일)은 대한민국의 군인, 외교관, 정치가이며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중장이.

새로운!!: 울진-평해 전투와 강문봉 · 더보기 »

강태민

강태민은 다음 사람을 가리.

새로운!!: 울진-평해 전투와 강태민 · 더보기 »

강원도

조선 후기 강원도 강원도(江原道)는 관동 지방(關東地方)에 해당하는 지역이.

새로운!!: 울진-평해 전투와 강원도 · 더보기 »

고성리

성리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

새로운!!: 울진-평해 전투와 고성리 · 더보기 »

보현산

보현산(普賢山)은 경상북도 영천시 화북면과 청송군 현서면에 걸쳐있는 산으로 해발 1,124m의 태백산맥 줄기이.

새로운!!: 울진-평해 전투와 보현산 · 더보기 »

권오봉

오봉(權五俸, 1959년 9월 13일 ~)은 대한민국의 민선 7기 제41대 전라남도 여수시장이.

새로운!!: 울진-평해 전투와 권오봉 · 더보기 »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釜山廣域市)는 대한민국 동남부 해안에 있는 광역시이.

새로운!!: 울진-평해 전투와 부산광역시 · 더보기 »

근남면 (울진군)

면(近南面)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울진군의 면이.

새로운!!: 울진-평해 전투와 근남면 (울진군) · 더보기 »

기성리

성리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

새로운!!: 울진-평해 전투와 기성리 · 더보기 »

김광협

광협(金光俠, 1915년 ∼ 1970년)은 공산주의 항일운동가이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인, 정치인이.

새로운!!: 울진-평해 전투와 김광협 · 더보기 »

김종순

종순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울진-평해 전투와 김종순 · 더보기 »

김종원

종원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울진-평해 전투와 김종원 · 더보기 »

대관령

format.

새로운!!: 울진-평해 전투와 대관령 · 더보기 »

대구광역시

광역시(大邱廣域市)는 대한민국의 동남부 내륙에 있는 광역시이.

새로운!!: 울진-평해 전투와 대구광역시 · 더보기 »

울진군

울진군(蔚珍郡)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동해안 최북단에 있는 군이.

새로운!!: 울진-평해 전투와 울진군 · 더보기 »

울진읍

울진읍(蔚珍邑)은 울진군의 군청 소재지로 소계류의 하구 부근에 발달한 취락이.

새로운!!: 울진-평해 전투와 울진읍 · 더보기 »

포항시

항시(浦項市)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동해안에 있는 시이.

새로운!!: 울진-평해 전투와 포항시 · 더보기 »

평해읍

평해읍(平海邑)은 경상북도 울진군의 남부에 위치한 읍이.

새로운!!: 울진-평해 전투와 평해읍 · 더보기 »

주문진읍

주문진읍(注文津邑)은 대한민국 강원도 강릉시의 읍이.

새로운!!: 울진-평해 전투와 주문진읍 · 더보기 »

죽변면

죽변면(竹邊面)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울진군의 면이.

새로운!!: 울진-평해 전투와 죽변면 · 더보기 »

진주

주 목걸이 진주 (眞珠/珍珠, Pearl)는 진주조개, 대합, 전복 등의 체내에 생기는 딱딱한 덩어리이.

새로운!!: 울진-평해 전투와 진주 · 더보기 »

지리산

리산(智異山)은 대한민국의 경상남도 함양군, 산청군, 하동군과 전라북도 남원시, 전라남도 구례군에 걸쳐 있는 산이.

새로운!!: 울진-평해 전투와 지리산 · 더보기 »

태백산

백산(太白山)은 강원도 영월군, 정선군, 태백시, 경상북도 봉화군 경계에 있는 높이 1,567m의 산이.

새로운!!: 울진-평해 전투와 태백산 · 더보기 »

수산리

수산리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

새로운!!: 울진-평해 전투와 수산리 · 더보기 »

영덕

영덕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울진-평해 전투와 영덕 · 더보기 »

영해

국제법 UNCLOS에 따른 바다의 구분. 영해와 영토, 영공을 가리켜 한 나라의 국토라 한다. 영해(領海)는 한 나라의 주권이 미치는 바다로서, 기점이 되는 기선으로부터 12해리의 범위까지 설정.

새로운!!: 울진-평해 전투와 영해 · 더보기 »

오진우

오진우(吳振宇, 1917년 3월 9일 ~ 1995년 2월 25일)는 일제 강점기의 공산주의 독립 운동가이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인·정치인이.

새로운!!: 울진-평해 전투와 오진우 · 더보기 »

현북면

현북면(縣北面)은 강원도 양양군의 면이.

새로운!!: 울진-평해 전투와 현북면 · 더보기 »

현남면

현남면(縣南面)은 강원도 양양군의 면이.

새로운!!: 울진-평해 전투와 현남면 · 더보기 »

삼척시

삼척시(三陟市)는 대한민국 강원도 동해안 최남단에 있는 시이.

새로운!!: 울진-평해 전투와 삼척시 · 더보기 »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는 대한민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새로운!!: 울진-평해 전투와 서울특별시 · 더보기 »

한국 전쟁

국 전쟁(韓國戰爭)은 1950년 6월 25일 새벽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대한민국을 침공하여 발발한 전쟁이.

새로운!!: 울진-평해 전투와 한국 전쟁 · 더보기 »

1950년

한국 전쟁 중 아주머니와 아이가 땔깜용 파편을 구하는 모습. 1950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울진-평해 전투와 1950년 · 더보기 »

6월 24일

6월 2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75번째(윤년일 경우 17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울진-평해 전투와 6월 24일 · 더보기 »

6월 25일

6월 2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76번째(윤년일 경우 17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울진-평해 전투와 6월 25일 · 더보기 »

6월 26일

6월 2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77번째(윤년일 경우 17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울진-평해 전투와 6월 26일 · 더보기 »

6월 28일

6월 2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79번째(윤년일 경우 18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울진-평해 전투와 6월 28일 · 더보기 »

6월 29일

6월 2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80번째(윤년일 경우 18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울진-평해 전투와 6월 29일 · 더보기 »

6월 30일

6월 3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81번째(윤년일 경우 18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울진-평해 전투와 6월 30일 · 더보기 »

7월 1일

7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82번째(윤년일 경우 18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울진-평해 전투와 7월 1일 · 더보기 »

7월 2일

7월 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83번째(윤년일 경우 18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울진-평해 전투와 7월 2일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