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원균

색인 원균

원균(元均, 1540년 2월 12일 (음력 1월 5일) ~ 1597년 8월 27일 (음력 7월 15일))은 조선 중기의 무신, 군인으로 임진왜란 당시 조선의 장수들 중의 한사람이.

175 처지: 도요토미 히데요시, 동래, 동인, 류성룡, 명나라, 문화방송, 박세채, 강원도, 가토 기요마사, 거제도, 거제시, 경기도, 경상도, 경상남도, 고려, 고려 태조, 고니시 유키나가, 곡성군, 과거제, 병마절도사, 북인, 권율, 불멸의 이순신, 불천위, 부령군, 부사, 부산항, 김덕령, 김경서, 김학준, 대한민국, 군사, 남이공, 남인, 남해, 남원 양씨, 난중잡록, 난중일기, 당항포 해전, 우의정, 우성전, 우후 시, 승자총통, 자 (이름), 장동휘, 임진왜란, 임진왜란 (드라마), 평택군, 평택시, 이몽학, ..., 이운룡, 이일, 이일재, 이순신, 이영남, 이억기, 이산해, 이원익, 인조반정, 일본, 일본군, 음력 12월, 음력 1월 27일, 음력 1월 5일, 음력 7월, 음력 7월 15일, 음력 7월 16일, 음력 7월 8일, 의금부, 의정부, 을미, 전라도, 전라남도, 정철, 정유재란, 조상, 조선, 조선 숙종, 조선 선조, 조선 성종, 조선 세조, 좌찬성, 종성군, 진위군, 진해, 징비록 (드라마), 지자총통, 지사, 참판, 충청도, 추증, 칠천량, 칠천량 해전, 유교, 윤두수, 파평 윤씨, 태음력, 수군절도사, 오위, 옥포 해전, 호조, 현자총통, 최재성, 양성지, 여진, 사간원, 사천만, 사천군, 사헌부, 삼도수군통제사, 삼천포, 선무공신, 선조실록, 성리학, 서인, 송탄동, 송시열, 함경도, 한겨레, 한국방송공사, 한산도 대첩, 안방준 (1573년), 신충식, 원주 원씨, 원주시, 원준량, 원연, 원사웅, 홍성군, KBS 1TV, 11월, 11월 1일, 1540년, 1543년, 1546년, 1567년, 1575년, 1583년, 1591년, 1592년, 1594년, 1595년, 1596년, 1597년, 1603년, 1605년, 1642년, 1971년, 1973년, 1977년, 1985년, 1986년, 1998년, 1월, 2004년, 2005년, 2008년, 2009년, 2015년, 2월, 2월 12일, 4월, 5월 21일, 5월 2일, 5월 6일, 5월 7일, 5월 8일, 6월, 7월, 7월 16일, 7월 6일, 8월, 8월 27일, 9월, 9월 16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25 더) »

도요토미 히데요시

요토미 히데요시(1537년 3월 17일 ~ 1598년 9월 18일)는 센고쿠 시대와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에 활약했던 무장, 정치가이며 다이묘이.

새로운!!: 원균와 도요토미 히데요시 · 더보기 »

동래

동래(東萊, Dongnae)는 다음을 가리.

새로운!!: 원균와 동래 · 더보기 »

동인

동인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원균와 동인 · 더보기 »

류성룡

성룡(柳成龍, 1542년 11월 7일(음력 10월 1일) ~ 1607년 5월 31일(음력 5월 6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 인문학자, 의학자, 저술가이.

새로운!!: 원균와 류성룡 · 더보기 »

명나라

명나라(明朝, 1368년 ~ 1644년)는 중국 역대 왕조 중 하나로 주원장(朱元璋)이 원나라를 몰아내고 세운 한족 왕조이.

새로운!!: 원균와 명나라 · 더보기 »

문화방송

문화방송(文化放送)은 대한민국 수도권을 가시청권으로 하는 지상파 공영방송사이.

새로운!!: 원균와 문화방송 · 더보기 »

박세채

박세채(朴世采, 1631년 ~ 1695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원균와 박세채 · 더보기 »

강원도

조선 후기 강원도 강원도(江原道)는 관동 지방(關東地方)에 해당하는 지역이.

새로운!!: 원균와 강원도 · 더보기 »

가토 기요마사

요마사(1562년 7월 25일 ~ 1611년 8월 2일)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 전기까지의 무장, 다이묘이.

새로운!!: 원균와 가토 기요마사 · 더보기 »

거제도

제도(巨濟島)는 경상남도 거제시의 주도(主島)로, 대한민국에서 2번째로 큰 섬이.

새로운!!: 원균와 거제도 · 더보기 »

거제시

제시(巨濟市)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남해상의 거제도에 있는 시이.

새로운!!: 원균와 거제시 · 더보기 »

경기도

경기도(京畿道)는 대한민국의 북서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원균와 경기도 · 더보기 »

경상도

경상도 경상도(慶尙道)는 경상남도, 경상북도와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울산광역시 일대를 관할했던 행정 구역으로 영남 지방(嶺南地方)에 해당.

새로운!!: 원균와 경상도 · 더보기 »

경상남도

경상남도(慶尙南道)는 대한민국 남동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원균와 경상남도 · 더보기 »

고려

(高麗, 918년~1392년)는 918년 태봉의 궁예를 축출하고 왕건이 즉위한 이후, 이성계에 의해 멸망하기까지 한반도 대부분을 지배하였던 국가이.

새로운!!: 원균와 고려 · 더보기 »

고려 태조

조(高麗 太祖, 877년 1월 31일 (음력 1월 14일)《고려사절요》 제1권 태조 신성대왕〈고려사절요/제1권/태조 신성대왕〉"신라 헌강왕(憲康王) 3년 정유(877) 정월 14일 병술에 태조를 송악 남쪽 사제(私第)에서 낳으니" ~ 943년 7월 4일 (음력 5월 29일))는 후삼국 시대(後三國 時代) 후고구려(後高句麗)의 장군(將軍)이자 고려(高麗)의 초대 황제(재위:918년 7월 25일~943년 7월 4일)이.

새로운!!: 원균와 고려 태조 · 더보기 »

고니시 유키나가

시 유키나가(세례명: 아우구스티노, 1555년 ~ 1600년 음력 10월 1일) 는 일본 상인(商人) 출신의 무장이.

새로운!!: 원균와 고니시 유키나가 · 더보기 »

곡성군

곡성군(谷城郡)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동북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원균와 곡성군 · 더보기 »

과거제

북송의 과거 과거(科擧)는 중국과 한국 등에서 시험을 치러서 관리를 뽑는 제도이.

새로운!!: 원균와 과거제 · 더보기 »

병마절도사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는 조선시대 각도의 육군을 지휘하는 책임을 맡은 종2품 무관직으로 병사.

새로운!!: 원균와 병마절도사 · 더보기 »

북인

북인(北人)은 조선 붕당정치의 당파로, 조선 중기 이후 동인이 분파되면서 발생.

새로운!!: 원균와 북인 · 더보기 »

권율

율(權慄, 1537년 ~ 1599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 군인, 정치인이.

새로운!!: 원균와 권율 · 더보기 »

불멸의 이순신

《불멸의 이순신》 (不滅의 李舜臣)은 대한민국 KBS에서 2004년 9월 4일 ~ 2005년 8월 28일까지 충무공 이순신의 삶을 소재로 하여 방영한 드라마이.

새로운!!: 원균와 불멸의 이순신 · 더보기 »

불천위

불천위(不遷位)란 국가공신 혹은 덕망이 높은 자를 나라에서 정하여 제사를 지낼수 있도록 허락한 것으로서, 조선초기 개국공신부터 후기까지의 덕망높은 자들이 선정되었.

새로운!!: 원균와 불천위 · 더보기 »

부령군

부령군(富寧郡)은 함경북도 북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원균와 부령군 · 더보기 »

부사

부사.

새로운!!: 원균와 부사 · 더보기 »

부산항

부산항 국제여객터미널 19세기의 부산항 부산항(釜山港, Port of Busan)은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대한민국 최대의 무역항이.

새로운!!: 원균와 부산항 · 더보기 »

김덕령

덕령(金德齡, 1567년~1596년 8월)은 임진왜란 시기의 의병장이자 성리학자이.

새로운!!: 원균와 김덕령 · 더보기 »

김경서

경서(金景瑞, 1564년~1624년)는 조선 중기의 무신이.

새로운!!: 원균와 김경서 · 더보기 »

김학준

학준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원균와 김학준 · 더보기 »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원균와 대한민국 · 더보기 »

군사

사(軍事)는 두 가지 광범위한 뜻을 가졌.

새로운!!: 원균와 군사 · 더보기 »

남이공

이공(南以恭, 1565년 ~ 1640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원균와 남이공 · 더보기 »

남인

인(南人)은 조선 붕당정치의 당파로, 조선 중기 이후 동인이 북인과 남인으로 분파되면서 발생.

새로운!!: 원균와 남인 · 더보기 »

남해

반도 주변 바다의 이름 남해(南海, 문화어: 조선남해/朝鮮南海)는 한반도의 남쪽 바다를 지칭하는 말로, 일반적으로 서쪽으로 전라남도 진도부터 동쪽으로 부산광역시 해운대구까지 사이의 바다를 가리.

새로운!!: 원균와 남해 · 더보기 »

남원 양씨

원 양씨는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원균와 남원 양씨 · 더보기 »

난중잡록

중잡록(亂中雜錄)은 전라북도 남원시 주천면에 있는, 임진왜란 당시 의병장으로 활약했던 조경남이 13세인 선조 15년(1585)부터 인조 15년(1637)까지 57년간의 국내의 중요한 사실을 기록한 책이.

새로운!!: 원균와 난중잡록 · 더보기 »

난중일기

중일기(亂中日記)는 조선 중기의 무신(武臣) 이순신(李舜臣)이 임진왜란 7년(1592년 ~ 1598년) 동안 군중에서 쓴 일기이.

새로운!!: 원균와 난중일기 · 더보기 »

당항포 해전

당항포 해전(唐項浦海戰)은 1592년 음력 6월 5일(양력 7월 13일)에 이순신이 지휘하는 삼도수군 연합함대가 고성의 당황리 앞바다 당항포에서 왜군을 격파한 해전이.

새로운!!: 원균와 당항포 해전 · 더보기 »

우의정

우의정(右議政)은 의정부 3의정 가운데 하나로 조선시대 정1품 관직이.

새로운!!: 원균와 우의정 · 더보기 »

우성전

우성전(禹性傳, 1542년 ~ 1593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의병장이.

새로운!!: 원균와 우성전 · 더보기 »

우후 시

우후() 는 안후이 성 남동쪽에 위치한 지급시이.

새로운!!: 원균와 우후 시 · 더보기 »

승자총통

승자총통(勝字銃筒)은 조선시대의 총통 가운데 개인 휴대용 화기를 말. 만력기묘명승자총통이라고도 부르는데, 글자 그대로 명나라 만력 7년인 1579년에 제작된 것이.

새로운!!: 원균와 승자총통 · 더보기 »

자 (이름)

자(字)는 한자 문화권, 특히 중국이나 한국, 일본에서 성년이 되는 관례 때 받는 이름인 관명과 함께 스스럼없이 부를 수 있도록 짓는 새로운 이름을 말. 이는 이름이 부모가 주신 것으로서 부모님이나 스승, 왕(혹은 황제)외에는 함부로 부르지 못하는 것으로 인식하던 데에 기인.

새로운!!: 원균와 자 (이름) · 더보기 »

장동휘

장동휘(張東輝, 본명은 장갑순(張甲淳), 아호(雅號)는 동휘(東暉)· 요헌(凹軒), 1920년 6월 22일 ~ 2005년 4월 2일)는 대한민국의 배우 겸 영화제작자이.

새로운!!: 원균와 장동휘 · 더보기 »

임진왜란

임진왜란(壬辰倭亂)은 1592년(선조 25) 일본이 조선을 침략하면서 시작되어 1598년(선조 31)까지 이어진 전쟁이.

새로운!!: 원균와 임진왜란 · 더보기 »

임진왜란 (드라마)

《임진왜란》은 MBC 정통 사극 조선왕조 오백년 시리즈의 다섯 번째 작품으로, 1985년 10월 14일부터 1986년 4월 15일까지 방영되었.

새로운!!: 원균와 임진왜란 (드라마) · 더보기 »

평택군

평택군(平澤郡)은 경기도 평택시의 옛 행정구역이.

새로운!!: 원균와 평택군 · 더보기 »

평택시

평택시 저녁모습 평택시(平澤市)는 대한민국 경기도 서남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원균와 평택시 · 더보기 »

이몽학

이몽학(李夢鶴, ? ~ 1596년)은 조선 선조 때 이몽학의 난을 일으킨 인물이.

새로운!!: 원균와 이몽학 · 더보기 »

이운룡

이운룡(李雲龍, 1562년 ~ 1610년)은 조선 중기의 무신이.

새로운!!: 원균와 이운룡 · 더보기 »

이일

이일(李鎰, 1538년 ~ 1601년)은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본관은 용인(龍仁)이며, 자는 중경(重卿), 시호는 장양(壯襄)이.

새로운!!: 원균와 이일 · 더보기 »

이일재

이일재(1960년 11월 13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원균와 이일재 · 더보기 »

이순신

광화문 광장의 이순신 동상 이순신(李舜臣, 1545년 4월 28일 ~ 1598년 12월 16일 (음력 11월 19일))은 조선 중기의 무신이.

새로운!!: 원균와 이순신 · 더보기 »

이영남

이영남(李英男, 1563년 ~ 1598년)은 조선 중기의 무신이.

새로운!!: 원균와 이영남 · 더보기 »

이억기

이억기(李億祺, 1561년 9월 3일 ~ 1597년 8월 27일)는 조선 중기의 왕족 출신 무신(武臣), 군인 겸 정치가이.

새로운!!: 원균와 이억기 · 더보기 »

이산해

이산해(李山海, 1539년 7월 20일 ~ 1609년 음력 8월 23일)는 조선 중기의 문신, 정치인, 시인이며 성리학자, 교육자, 화가이.

새로운!!: 원균와 이산해 · 더보기 »

이원익

이원익(李元翼, 문화어: 리원익, 1547년 12월 5일 ~ 1634년 2월 26일)은 조선시대 중기, 후기의 왕족 종실 출신 문신, 시인, 학자, 정치인이.

새로운!!: 원균와 이원익 · 더보기 »

인조반정

인조반정(仁祖反正)은 1623년 4월 11일(음력 3월 12일) 서인 일파가 광해군 및 대북을 몰아내고 능양군 이종을 옹립한 사건을 말.

새로운!!: 원균와 인조반정 · 더보기 »

일본

일본국(닛폰코쿠), 약칭 일본(日本,, 닛폰)은 동아시아에 있는 국. 국토는 태평양에 있는 일본 열도의 네 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홋카이도, 혼슈, 시코쿠, 규슈를 중심으로 주변에 산재한 작은 섬으로 구성되어 있. 총 면적은 37만 7835 km2인데 이는 노르웨이(스발바르 제도와 얀마옌을 포함한 경우)보다 작으며 독일보.

새로운!!: 원균와 일본 · 더보기 »

일본군

일본군(日本軍,)은 일본 제국의 군대를 가리.

새로운!!: 원균와 일본군 · 더보기 »

음력 12월

음력 12월(陰曆十二月)은 음력에서 열두 번째(마지막) 달로, 섣달이.

새로운!!: 원균와 음력 12월 · 더보기 »

음력 1월 27일

음력 1월 27일은 음력 1월의 27번째 날이.

새로운!!: 원균와 음력 1월 27일 · 더보기 »

음력 1월 5일

음력 1월 5일은 음력 1월의 5번째 날이.

새로운!!: 원균와 음력 1월 5일 · 더보기 »

음력 7월

음력 7월(陰曆七月)은 음력에서 일곱 번째 달이.

새로운!!: 원균와 음력 7월 · 더보기 »

음력 7월 15일

음력 7월 15일은 음력 7월의 15번째 날이.

새로운!!: 원균와 음력 7월 15일 · 더보기 »

음력 7월 16일

음력 7월 16일은 음력 7월의 16번째 날이.

새로운!!: 원균와 음력 7월 16일 · 더보기 »

음력 7월 8일

음력 7월 8일은 음력 7월의 8번째 날이.

새로운!!: 원균와 음력 7월 8일 · 더보기 »

의금부

의금부 터 의금부(義禁府)는 고려와 조선의 수사기관이.

새로운!!: 원균와 의금부 · 더보기 »

의정부

의정부(議政府)는 조선의 법제상 최고 정무기관이.

새로운!!: 원균와 의정부 · 더보기 »

을미

을미(乙未)는 60간지 중 32번째이.

새로운!!: 원균와 을미 · 더보기 »

전라도

전라도(全羅道)는 전라북도와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제주특별자치도 일대를 관할했던 행정구역으로 호남 지방(湖南地方)에 해당.

새로운!!: 원균와 전라도 · 더보기 »

전라남도

전라남도(全羅南道)는 대한민국의 서남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원균와 전라남도 · 더보기 »

정철

정철(鄭澈, 1536년 12월 18일(음력 12월 6일) ~ 1594년 2월 7일(1593년 음력 12월 18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시인이자 문신, 정치인, 학자, 작가이.

새로운!!: 원균와 정철 · 더보기 »

정유재란

정유재란(丁酉再亂)은 1597년 8월 도요토미 정권 일본군이 임진왜란의 정전회담이 결렬됨에 따라 재차 조선을 침공하여 이듬해인 1598년 12월까지 지속된 전쟁이.

새로운!!: 원균와 정유재란 · 더보기 »

조상

조상(祖上)은 자손의 반대 개념이.

새로운!!: 원균와 조상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원균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숙종

숙종(肅宗, 1661년 10월 7일(음력 8월 15일) ~ 1720년 7월 12일(음력 6월 8일))은 조선의 제19대 왕이.

새로운!!: 원균와 조선 숙종 · 더보기 »

조선 선조

선조(宣祖, 1552년 11월 26일 (음력 11월 11일) ~ 1608년 3월 16일 (음력 2월 1일))는 조선의 제14대 임금 (재위 1567년~1608년)이.

새로운!!: 원균와 조선 선조 · 더보기 »

조선 성종

조선 성종(成宗, 1457년 8월 19일 (음력 7월 30일) ~ 1495년 1월 19일 (음력 1494년 12월 24일), 재위 1469년 ~ 1494년)은 조선의 제9대 왕이며 시인, 유학자이.

새로운!!: 원균와 조선 성종 · 더보기 »

조선 세조

세조(世祖, 1417년 11월 2일 (음력 9월 24일) ~ 1468년 9월 23일 (음력 9월 8일), 재위 1455년~1468년)는 조선의 제7대 임금, 시인이.

새로운!!: 원균와 조선 세조 · 더보기 »

좌찬성

좌찬성(左贊成)은 의정부 2찬성 가운데 하나로 종1품에 해당되는 조선조 의정부의 관직이었.

새로운!!: 원균와 좌찬성 · 더보기 »

종성군

종성군(鍾城郡)은 함경북도의 옛 군이.

새로운!!: 원균와 종성군 · 더보기 »

진위군

위군(振威郡)은 경기도 평택시의 옛 행정구역이.

새로운!!: 원균와 진위군 · 더보기 »

진해

(鎭海)는 아래의 지명을 가리.

새로운!!: 원균와 진해 · 더보기 »

징비록 (드라마)

《징비록》은 KBS 1TV에서 2015년 2월 14일부터 2015년 8월 2일까지 방송된 대하드라마이.

새로운!!: 원균와 징비록 (드라마) · 더보기 »

지자총통

자총통(地字銃筒)이란 조선시대 대형 총통 중에서 두 번째로 큰 총통이.

새로운!!: 원균와 지자총통 · 더보기 »

지사

사는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원균와 지사 · 더보기 »

참판

(參判)은 조선의 종2품 당상관직으로 각 조의 수장인 판서를 보좌하는 역할을 하였.

새로운!!: 원균와 참판 · 더보기 »

충청도

조선후기 충청도 충청도(忠淸道)는 충청남도, 충청북도와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일대를 관할했던 행정구역으로 호서 지방(湖西地方)에 해당.

새로운!!: 원균와 충청도 · 더보기 »

추증

증(追贈)이란 관료의 사후에 직급을 높이는 일, 또는 관직 없이 죽은 사람에게 사후 관직을 내리는 일을 말.

새로운!!: 원균와 추증 · 더보기 »

칠천량

량 해협의 위치 칠천량(漆川梁)은 경상남도 거제시 하청면 실전리와, 거제도 서북부에 위치한 칠천도의 일부를 이루고 있는 하청면 어온리 사이의 해협을 말. 2000년 1월 칠천도 장곶과 실전 사이의 이 해협에 길이 425m의 칠천대교가 가설되었고, 이 다리 아래 부분이 ‘칠천량 해협’이.

새로운!!: 원균와 칠천량 · 더보기 »

칠천량 해전

량 해전(漆川梁海戰) 또는 칠천 해전은 1597년(선조 30년) 8월 27일(음력 7월 15일) 칠천도 부근에서 벌어진 해전이.

새로운!!: 원균와 칠천량 해전 · 더보기 »

유교

유교(儒敎)는 중국 춘추시대(기원전 770~403) 말기에 공자(孔子)가 체계화한 사상인 유학(儒學)의 학문을 이르는 말이.

새로운!!: 원균와 유교 · 더보기 »

윤두수

윤두수(尹斗壽, 1533년~1601년)는 조선 중기의 문신(文臣)·정치인이자 성리학자, 작가, 시인이며, 서인(西人)의 일원이.

새로운!!: 원균와 윤두수 · 더보기 »

파평 윤씨

평 윤씨(坡平尹氏)는 경기도 파주시 파평면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원균와 파평 윤씨 · 더보기 »

태음력

음력(太陰曆)은 달의 차고 기욺을 기준으로 한 달을 정하는 역법을 말. 계절의 변화(즉, 태양의 일주)까지 고려한 달력은 태음태양력이.

새로운!!: 원균와 태음력 · 더보기 »

수군절도사

수군절도사(水軍節度使)는 조선시대의 정3품 당상관으로 수군(水軍)을 통제하였.

새로운!!: 원균와 수군절도사 · 더보기 »

오위

오위(五衛)는 조선시대 중앙군으로 세조 3년(1457년) 삼군부를 5위로 개편하고 5위진무소가 이를 총괄케 했는데 그 후 5위진무소(五衛鎭撫所)는 5위도총부(五衛都摠府)로 개칭되었.

새로운!!: 원균와 오위 · 더보기 »

옥포 해전

전이 벌어졌던 옥포만에는 오늘날 대우조선해양이 건조한 배들이 지나간다 옥포 해전(玉浦海戰)은 1592년(선조 25) 음력 5월 7일(양력 6월 16일), 경상도 거제현 옥포 앞바다에서 이순신이 지휘한 조선 수군이 일본 수군의 도도 다카토라의 함대를 무찌른 해전이.

새로운!!: 원균와 옥포 해전 · 더보기 »

호조

호조(戶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원균와 호조 · 더보기 »

현자총통

현자총통(玄字銃筒)은 조선시대에 사용된 장거리 화포 중의 하나로, 조선시대 총통의 이름은 그 크기 순서에 따라서 천자문의 순서에 따라서 천·지·현·황 등의 이름을 붙였.

새로운!!: 원균와 현자총통 · 더보기 »

최재성

재성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원균와 최재성 · 더보기 »

양성지

양성지(梁誠之, 1415년~1482년)는 조선 전기의 문신, 학자, 작가이.

새로운!!: 원균와 양성지 · 더보기 »

여진

여진()은 중국의 랴오닝 성, 지린 성, 헤이룽장 성과 한반도의 함경도, 러시아의 연해주, 하바롭스크 지방, 아무르 주에서 거주했던 퉁구스계 민족이.

새로운!!: 원균와 여진 · 더보기 »

사간원

사간원(司諫院)은 조선 시대 왕에 대한 간쟁(諫諍)·논박(論駁)을 임무로 하는 기관이.

새로운!!: 원균와 사간원 · 더보기 »

사천만

사천만은 경상남도 사천시 서포면 비토도 남동단과 실안동 삼분각을 연결한 선내에 있는 해역이.

새로운!!: 원균와 사천만 · 더보기 »

사천군

사천군(泗川郡)은 지금의 대한민국 경상남도 사천시 지역을 관할하던 옛 행정 구역이.

새로운!!: 원균와 사천군 · 더보기 »

사헌부

사헌부는 고려와 조선의 종이품아문 S 조선 최대의 거리, '육조거리' 행정기관이.

새로운!!: 원균와 사헌부 · 더보기 »

삼도수군통제사

삼도 수군 통제사(三道水軍統制使)는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의 수군(水軍)을 총지휘하는 조선시대의 관직으로 종2품이.

새로운!!: 원균와 삼도수군통제사 · 더보기 »

삼천포

삼천포(三千浦)는 경상남도 사천시 남부의 도심 지역(동 지역)을 일컫는 말이.

새로운!!: 원균와 삼천포 · 더보기 »

선무공신

선무공신(宣武功臣)은 1592년 임진왜란 때 공을 세웠거나 후방에서 지원한 공로에 대한 공신록이.

새로운!!: 원균와 선무공신 · 더보기 »

선조실록

《선조소경대왕실록》(宣祖昭敬大王實錄) 또는 《선조실록》(宣祖實錄)은 1567년 음력 7월부터 1608년 음력 2월까지 조선 선조 시대의 사실을 기록한 실록이.

새로운!!: 원균와 선조실록 · 더보기 »

성리학

성리학(性理學) 12세기에 남송의 주희(朱熹)가 집대성한 유교의 주류 학파이.

새로운!!: 원균와 성리학 · 더보기 »

서인

서인(西人)은 조선 시대 붕당정치 초기의 당파로, 1575년(선조 8)의 동서분당(東西分黨)으로 생긴 당파의 하나이.

새로운!!: 원균와 서인 · 더보기 »

송탄동

송탄동(松炭洞)은 경기도 평택시의 행정동으로, 북부 7개 동(옛 송탄시 지역) 중 남동쪽에 있. 본래 송탄시 동부동이었으며, 송탄시가 평택시에 통합된 후 송탄이라는 지명을 행정구역명에 보존하기 위해 송탄동으로 개칭되었.

새로운!!: 원균와 송탄동 · 더보기 »

송시열

송시열(宋時烈, 1607년 12월 30일(음력 11월 12일) ~ 1689년 7월 19일(음력 6월 3일))은 조선의 문신·성리학자이.

새로운!!: 원균와 송시열 · 더보기 »

함경도

조선후기 함경도 함경도(咸鏡道)는 조선 시대의 행정 구역이.

새로운!!: 원균와 함경도 · 더보기 »

한겨레

(The Hankyoreh)는 대한민국의 중앙 일간지이.

새로운!!: 원균와 한겨레 · 더보기 »

한국방송공사

서울에 있는 KBS 사옥 KBS 업무용차량 KBS 전용차 한국방송공사(韓國放送公社, Korean Broadcasting System, KBS)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공영 방송을 운영하는 기업이며, 대한민국의 재난방송 및 민방위방송 주관방송사이.

새로운!!: 원균와 한국방송공사 · 더보기 »

한산도 대첩

산도 대첩(閑山島大捷)은 1592년 8월 14일(선조 25년 음력 7월 8일).

새로운!!: 원균와 한산도 대첩 · 더보기 »

안방준 (1573년)

안방준(安邦俊, 1573년 11월 20일 ~ 1654년 11월 13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의병장, 문신, 성리학자이.

새로운!!: 원균와 안방준 (1573년) · 더보기 »

신충식

신충식(申忠植, 1942년 4월 20일 ~)은 대한민국의 연기자이.

새로운!!: 원균와 신충식 · 더보기 »

원주 원씨

원주 원씨(原州 元氏)는 강원도 원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원균와 원주 원씨 · 더보기 »

원주시

원주시(原州市)는 대한민국 강원도 서남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원균와 원주시 · 더보기 »

원준량

원준량(元俊良, ? - ?)은 조선시대 중기의 무신, 군인, 정치인으로 임진왜란 때의 장군 원균, 원연, 원용의 아버지이자 원사웅의 조부였.

새로운!!: 원균와 원준량 · 더보기 »

원연

원연(元埏, 1543년 - 1597년)은 조선시대 중기의 의병장으로 정유재란 때 전사하였.

새로운!!: 원균와 원연 · 더보기 »

원사웅

원사웅(元士雄, 1575년 ~ (?))은 조선시대 무신, 군인이자 경상우수영 우수사 원균의 아들이.

새로운!!: 원균와 원사웅 · 더보기 »

홍성군

홍성군(洪城郡)은 대한민국 충청남도 중서부에 있는 군이자, 충청남도청 소재지이.

새로운!!: 원균와 홍성군 · 더보기 »

KBS 1TV

KBS 1TV(정식명칭은 KBS 제1텔레비전)는 KBS에서 방송되는 TV 채널로서, KBS 2TV와 달리 뉴스·교양·다큐멘터리·스포츠 프로그램 등을 방송.

새로운!!: 원균와 KBS 1TV · 더보기 »

11월

11월(十一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열한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8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끝나고, 그 다음 해가 윤년인 경우 2월과 마지막 요일이 같. 또한, 이 달과 그 해의 3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시작하며, 평년인 경우 그 해의 2월과도 같은 요일로 시작.

새로운!!: 원균와 11월 · 더보기 »

11월 1일

11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05번째(윤년일 경우 30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원균와 11월 1일 · 더보기 »

154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원균와 1540년 · 더보기 »

154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원균와 1543년 · 더보기 »

154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원균와 1546년 · 더보기 »

156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원균와 1567년 · 더보기 »

157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원균와 1575년 · 더보기 »

1583년

1583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원균와 1583년 · 더보기 »

1591년

1591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원균와 1591년 · 더보기 »

1592년

1592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원균와 1592년 · 더보기 »

1594년

1594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원균와 1594년 · 더보기 »

1595년

1595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원균와 1595년 · 더보기 »

1596년

1596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원균와 1596년 · 더보기 »

1597년

1597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원균와 1597년 · 더보기 »

1603년

1603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원균와 1603년 · 더보기 »

1605년

1605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원균와 1605년 · 더보기 »

1642년

1642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원균와 1642년 · 더보기 »

1971년

1971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원균와 1971년 · 더보기 »

1973년

1973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원균와 1973년 · 더보기 »

1977년

1977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원균와 1977년 · 더보기 »

1985년

1985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원균와 1985년 · 더보기 »

1986년

1986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원균와 1986년 · 더보기 »

1998년

1998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원균와 1998년 · 더보기 »

1월

1월(一月)은 율리우스력과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첫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는 7개의 달중 하나이.

새로운!!: 원균와 1월 · 더보기 »

2004년

2004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원균와 2004년 · 더보기 »

2005년

2005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원균와 2005년 · 더보기 »

2008년

2008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원균와 2008년 · 더보기 »

2009년

2009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원균와 2009년 · 더보기 »

2015년

2015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원균와 2015년 · 더보기 »

2월

2월(二月, February)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두 번째 달이며, 평년일 때에는 28일, 윤년일 때에는 29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10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끝나며, 이 달과 작년의 6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시작.

새로운!!: 원균와 2월 · 더보기 »

2월 12일

2월 1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43번째(윤년일 경우도 4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원균와 2월 12일 · 더보기 »

4월

4월(四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네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 대한민국에서는 4월이 과학의 달이.

새로운!!: 원균와 4월 · 더보기 »

5월 21일

5월 2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41번째(윤년일 경우 14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원균와 5월 21일 · 더보기 »

5월 2일

5월 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22번째(윤년일 경우 123번째), 뒤에서부터는 24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원균와 5월 2일 · 더보기 »

5월 6일

5월 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26번째(윤년일 경우 127번째), 뒤에서부터는 24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원균와 5월 6일 · 더보기 »

5월 7일

5월 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27번째(윤년일 경우 128번째), 뒤에서부터는 23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원균와 5월 7일 · 더보기 »

5월 8일

5월 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28번째(윤년일 경우 129번째), 뒤에서부터는 23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원균와 5월 8일 · 더보기 »

6월

6월(六月)은 에서 한 해의 여섯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는 네개의 달중 하나이.

새로운!!: 원균와 6월 · 더보기 »

7월

7월(七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일곱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4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시작하며, 윤년인 경우 그 해의 1월과도 같은 요일로 시작하고 같은 요일로 끝. 400년 동안 이 달은 수요일, 금요일, 일요일에 58번, 월요일과 화요일에 57번, 목요일과 토요일에는 56번 시작.

새로운!!: 원균와 7월 · 더보기 »

7월 16일

7월 1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97번째(윤년일 경우 19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원균와 7월 16일 · 더보기 »

7월 6일

7월 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87번째(윤년일 경우 18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원균와 7월 6일 · 더보기 »

8월

8월(八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여덟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이 달부터 연말까지는 2의 배수가 오는 달마다 31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11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끝. 또한, 윤년인 경우 이 달과 그 해의 2월은 같은 요일로 시작되며, 다음 해도 평년인 경우 다음 해 5월과 같은 요일이.

새로운!!: 원균와 8월 · 더보기 »

8월 27일

8월 2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39번째(윤년일 경우 24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원균와 8월 27일 · 더보기 »

9월

9월(九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아홉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 한국, 중국, 일본, 미국과 같은 북반구에는 가을이 되며,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과 같은 남반구에는 봄이.

새로운!!: 원균와 9월 · 더보기 »

9월 16일

9월 1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59번째(윤년일 경우 26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원균와 9월 16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원 균, 원릉군, 원릉군 원균, 원릉부원군 원균.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