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위정척사

색인 위정척사

위정척사(衛正斥邪)는 조선 후기에 일어난 사회운동으로, 정학(正學)인 성리학과 정도(正道)인 성리학적 질서를 수호하고(위정), 성리학 이외의 모든 종교와 사상을 사학(邪學)으로 보아서 배격하는(척사) 운동이.

27 처지: 로마 가톨릭교회, 만인소, 갑오개혁, 강화도 조약, 기정진, 기해박해, 이만손, 이지연 (조선), 이항로, 조선, 존왕양이, 척사윤음, 유교, 수구당, 오가작통법, 최익현, 사회 운동, 성리학, 항일의병운동, 실학, 1785년, 1788년, 1791년, 1839년, 1866년, 1870년대, 1876년.

로마 가톨릭교회

마 가톨릭교회(), 천주교(天主敎) 또는 가톨릭교회()는 전 세계적으로 약 12억 명의 신자를 가진 세계 최대 규모의 기독교 교파이.

새로운!!: 위정척사와 로마 가톨릭교회 · 더보기 »

만인소

만인소(萬人疏)는 조선시대 유생들이 정책상 의사발표를 위해 올린 상소(上疏)이.

새로운!!: 위정척사와 만인소 · 더보기 »

갑오개혁

군국기무처 갑오개혁(甲午改革)은 1894년 7월 27일(음력 6월 25일)부터 1895년 7월 6일(음력 윤5월 14일)까지 조선 정부에서 전개한 제도 개혁을 말. 10년 전 갑신정변의 실패 후 망명했던 개화파들이 청일전쟁에 승리한 일본의 위세를 업고 돌아와 추진한 일본식 개혁으로서 갑오경장(甲午更張)이라고도 불. 내각의 변화에 따라 제1차 갑오개혁과 제2차 갑오개혁으로 세분하며, 이후 을미개혁(제3차 갑오개혁)으로 이어.

새로운!!: 위정척사와 갑오개혁 · 더보기 »

강화도 조약

조일수호조규를 묘사한 그림 조일수호조규(朝日修好條規) 또는 강화도 조약(江華島條約)은 1876년 2월 27일(고종 13년 음력 2월 3일) 조선과 일본 제국 사이에 체결된 조약이.

새로운!!: 위정척사와 강화도 조약 · 더보기 »

기정진

정진(奇正鎭, 1798년~1879년)은 조선 후기의 성리학자이.

새로운!!: 위정척사와 기정진 · 더보기 »

기해박해

박해(己亥迫害)는 조선 후기 1839년(기해년, 헌종 5년)에 발생한 천주교 탄압을 말.

새로운!!: 위정척사와 기해박해 · 더보기 »

이만손

이만손 (李晩孫, 1811년 ~ 1891년) 은 조선 고종 때의 유학자이.

새로운!!: 위정척사와 이만손 · 더보기 »

이지연 (조선)

이지연(1777년 ~ 1841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헌종 때 우의정을.

새로운!!: 위정척사와 이지연 (조선) · 더보기 »

이항로

이항로(李恒老, 1792년~1868년)는 조선의 유학자이자 문신이.

새로운!!: 위정척사와 이항로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위정척사와 조선 · 더보기 »

존왕양이

존왕양이()는 왕을 높이고, 오랑캐를 배척한다는 의미를 갖고 있. 1857년 흑선 내항으로 일본이 미국에 의해 원하지 않는 개항을 한 이후 등장한, 일본 천황을 지지하고, 서구 열강은 배척할 것을 주장한 존왕양이파들의 정견을 가리키는 뜻도 있.

새로운!!: 위정척사와 존왕양이 · 더보기 »

척사윤음

국립한글박물관 소장 《척사윤음》 《척사윤음》(斥邪綸音)은 1839년(헌종 5년) 서교를 배척하기 위하여 국민에게 내린 말을 모은 책이.

새로운!!: 위정척사와 척사윤음 · 더보기 »

유교

유교(儒敎)는 중국 춘추시대(기원전 770~403) 말기에 공자(孔子)가 체계화한 사상인 유학(儒學)의 학문을 이르는 말이.

새로운!!: 위정척사와 유교 · 더보기 »

수구당

사대당(事大黨)은 사대주의를 받들고 따르는 무리나 당파라는 뜻으로, 조선 후기에 청나라의 지도와 원조를 받아 급진개화파 운동에 반대 의사로 가로막는 온건개화 당. 《글로벌세계대백과》, 〈개화파의 개혁운동〉, 개화파의 개혁 운동〔槪說〕.

새로운!!: 위정척사와 수구당 · 더보기 »

오가작통법

오가작통법(五家作統法)은 조선에서 시행된 행정 구역 체계이.

새로운!!: 위정척사와 오가작통법 · 더보기 »

최익현

익현(崔益鉉, 양력 1834년 1월 14일 / 1833년 음력 12월 5일 ~ 1907년 1월 1일)은 조선 말기와 대한제국의 정치인이며 독립운동가이자, 1905년 을사늑약에 저항한 대표적 의병장이었.

새로운!!: 위정척사와 최익현 · 더보기 »

사회 운동

사회 운동(社會運動) 또는 시민 운동(市民運動)은 기존의 사회 구조와 제도를 변화·개선시키기 위하여 대중과 시민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조직적이고 집합적이며 연속적인 다양한 행동을 의미.

새로운!!: 위정척사와 사회 운동 · 더보기 »

성리학

성리학(性理學) 12세기에 남송의 주희(朱熹)가 집대성한 유교의 주류 학파이.

새로운!!: 위정척사와 성리학 · 더보기 »

항일의병운동

항일의병운동(抗日義兵運動)은 일본에 항거하는 의병 운동이.

새로운!!: 위정척사와 항일의병운동 · 더보기 »

실학

실학(實學)은 17세기 후반에서 19세기 전반에 걸쳐 대두된 일련의 현실개혁적 조선 유학의 학풍을 말. 한편 실학에 반해 기존의 유학을 “성명의리지학”이라고도 부른.

새로운!!: 위정척사와 실학 · 더보기 »

1785년

1785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위정척사와 1785년 · 더보기 »

1788년

1788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위정척사와 1788년 · 더보기 »

1791년

1791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위정척사와 1791년 · 더보기 »

1839년

1839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위정척사와 1839년 · 더보기 »

1866년

1866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위정척사와 1866년 · 더보기 »

1870년대

1870년대는 1870년부터 1879년까지를 가리.

새로운!!: 위정척사와 1870년대 · 더보기 »

1876년

1876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위정척사와 1876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위정 척사, 위정 척사 운동, 위정 척사론, 위정 척사파, 위정척사론, 위정척사운동, 위정척사파.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