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음악적 농담

색인 음악적 농담

《음악적 농담(Ein Musikalischer Spaß)》은 모차르트가 1787년 6월 14일에 출판한, 두 대의 호른과 현악을 위한 디베르티멘토 K.522에 붙인 제목이.

14 처지: 론도 소나타 형식, 버금딸림음,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클로드 드뷔시,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음악의 주사위 놀이, 조바꿈, 조옮김, 온음음계, 호른, 소나타 형식, 아이네 클라이네 나흐트무지크, 1787년, 6월 14일.

론도 소나타 형식

소나타 형식(Rondo sonata form)이란 고전파 음악 시대에 쓰인 악곡의 형식을 말. 소나타 형식과 론도 형식이 복합된 악곡의 형식이.

새로운!!: 음악적 농담와 론도 소나타 형식 · 더보기 »

버금딸림음

버금딸림음은 온음계의 네 번째(IV) 음이.

새로운!!: 음악적 농담와 버금딸림음 · 더보기 »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모차르트의 친필 사인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1756년 1월 27일 ~ 1791년 12월 5일)는 오스트리아의 서양 고전 음악 작곡가이.

새로운!!: 음악적 농담와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 더보기 »

클로드 드뷔시

뷔시 클로드 아실 드뷔시(1862년 8월 22일 ~ 1918년 3월 25일)는 프랑스의 작곡가이.

새로운!!: 음악적 농담와 클로드 드뷔시 · 더보기 »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이고리 스트라빈스키 이고리 표도로비치 스트라빈스키(1882년 6월 17일 ~ 1971년 4월 6일)은 러시아의 작곡가이.

새로운!!: 음악적 농담와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 더보기 »

음악의 주사위 놀이

《음악의 주사위 놀이》(Musikalisches Würfelspiel, K. 516f)는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작품으로, 주사위를 던져서 곡을 만드는 체계이.

새로운!!: 음악적 농담와 음악의 주사위 놀이 · 더보기 »

조바꿈

음악, 특히 기능화성에서 조바꿈 또는 전조(轉調, modulation)은 한 조성에서 다른 조성으로 이행하거나 그 조에서 다시 맨 처음 조로 이행하는 것을 말. 어느 정도의 길이를 갖는 음악작품이 처음부터 끝까지 같은 조로 쓰인 일은 거의 없. 왜냐하면 이러한 구성의 곡은 음향적 통일은 있어도 변화, 대조라고 하는 음악뿐 아니라 예술 일반의 근본원리가 결여되어 있기 때문이.

새로운!!: 음악적 농담와 조바꿈 · 더보기 »

조옮김

조옮김(調-, transposition)은 어느 악곡을 곡 속의 각 음의 상대적인 음정관계를 바꾸지 않고 그대로 다른 높이로 옮기는 것을 말. 장조의 곡을 단조로, 또는 단조의 곡을 장조로 바꾸는 것은 조옮김이 아.

새로운!!: 음악적 농담와 조옮김 · 더보기 »

온음음계

온음음계(─音音階, Whole tone scale), 전음음계(全音音階)는 옥타브에 6개의 온음만으로 되는 음계를 말. 이것은 반음계의 음을 하나 건너씩 둠으로써 이루어지며, 2가지밖에 없. 온음음계를 쓴 작곡가로는 미하일 글린카, 프란츠 리스트 등이 있으며, 특히 클로드 드뷔시가 이것을 주로 썼.

새로운!!: 음악적 농담와 온음음계 · 더보기 »

호른

호른(Horn) 또는 프렌치 호른(French horn)은 나팔꽃 모양의 금관악기이.

새로운!!: 음악적 농담와 호른 · 더보기 »

소나타 형식

소나타 형식(Sonata form), 또는 소나타 알레그로 형식이란 고전파 시대 초기부터 광범위하게 사용된 악곡의 형식을 말. 소나타라는 명칭을 갖는 악곡은 16세기 중엽에 출현한 이래 오늘까지 여러 시대를 통하여 작곡되어 왔으나, 그 형식 내용은 천차만별.

새로운!!: 음악적 농담와 소나타 형식 · 더보기 »

아이네 클라이네 나흐트무지크

《아이네 클라이네 나흐트무지크(Eine kleine Nachtmusik)》는 《현악 세레나데 사장조K.525)》의 다른 이름으로, 모차르트가 빈에서 1787년에 작곡한 실내악곡이다. 이는 그의 가장 유명한 작품 가운데 하나이다. ‘아이네 클라이네 나흐트무지크’라는 말은 ‘소야곡(小夜曲)’ 또는 ‘밤의 세레나데’를 뜻한다. 현악 사중주(두 대의 바이올린과 비올라, 첼로)를 위해 쓰였으나, 더블 베이스가 추가되는 경우도 있으며, 각 악기의 주자가 한 명 이상인 오케스트라가 연주하기도 한다.

새로운!!: 음악적 농담와 아이네 클라이네 나흐트무지크 · 더보기 »

1787년

1787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음악적 농담와 1787년 · 더보기 »

6월 14일

6월 1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65번째(윤년일 경우 16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음악적 농담와 6월 14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K. 522, 음악의 유희.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