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남연군

색인 남연군

연군 이구(南延君 李球, 1788년 8월 22일 ~ 1836년 3월 19일)은 조선 시대 후기의 문신, 왕족으로 이름은 구(球), 자는 치수(稚受)이며 원래 이름은 채중(采重) 또는 채중(寀重)이.

176 처지: 능창대군, 덕산면 (예산군), 덕산군, 독일, 마전군, 미산면 (연천군), 민경혁, 민정중, 민치구, 민유중, 가야사, 가야산 (충청남도), 경기도, 보덕사, 복녕군, 계동궁, 광주 김씨, 관찰사, 불천위, 김명호, 김병학, 김정희, 대한제국 고종, 대한제국 순종, 대한제국의 역대 황제, 군 (작위), 군부인, 군남면 (연천군), 남양 홍씨 토홍계, 남연군 분묘 도굴 사건, 낙천군, 당뇨병, 효의왕후, 용주사, 운현궁, 자 (이름), 흥녕군, 흥인군, 흥친왕, 흥선대원군, 흥완군, 이문용 (1882년), 이병원, 이관용 (황족), 이재선, 이재원 (1831년), 이조, 이준용, 이진익, 이왕직, ..., 인평대군, 인현왕후, 음서, 의녀, 의정부, 은언군, 은신군, 전계대원군, 조두순, 조선, 조선 장조, 조선 인조, 조선 정조, 조선 진종, 조선 철종, 조선 순조, 조선 숙종, 조선 영조, 조선 헌종, 조선 원종, 조선총독부, 좌찬성, 주사위, 진사, 진사 (칭호), 참판, 철종실록, 청나라, 충청도, 충청남도, 추증, 유교, 융건릉, 영의정, 오위, 예조, 예산군, 형조, 어필, 에른스트 오페르트, 여흥 민씨, 여흥부대부인, 연령군, 연일 정씨, 연천군, 삼복의 옥, 성리학, 쇄국정책, 한성부, 안동 김씨, 아명, 신장병, 시호, 홍대용, 왕릉, 11월 13일, 12월 15일, 12월 17일, 12월 20일, 12월 29일, 12월 9일, 1720년, 1728년, 1737년, 1752년, 1755년, 1771년, 1784년, 1788년, 1796년, 1803년, 1809년, 1814년, 1815년, 1816년, 1817년, 1819년, 1820년, 1821년, 1822년, 1825년, 1827년, 1828년, 1829년, 1831년, 1832년, 1833년, 1834년, 1836년, 1845년, 1846년, 1848년, 1864년, 1865년, 1866년, 1868년, 1872년, 1881년, 1882년, 1891년, 1898년, 1912년, 1989년, 1월 12일, 1월 1일, 2월 1일, 2월 22일, 3월, 3월 12일, 3월 18일, 3월 19일, 3월 22일, 4월, 4월 10일, 5월, 5월 10일, 6월 26일, 7월, 7월 13일, 7월 15일, 7월 21일, 7월 25일, 7월 9일, 8월 12일, 8월 22일, 9월 7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26 더) »

능창대군

능창군 이전(綾昌君 李佺, 또는 증 능창대군 이전(贈 綾昌大君 李佺), 1599년 7월 16일 ~ 1615년 11월 17일)은 조선의 왕족 종실이.

새로운!!: 남연군와 능창대군 · 더보기 »

덕산면 (예산군)

덕산면(德山面)은 대한민국의 충청남도 예산군에 설치된 면이.

새로운!!: 남연군와 덕산면 (예산군) · 더보기 »

덕산군

덕산군(德山郡)은 덕산면을 중심으로 지금의 예산군 서부지역에 있었던 옛 행정구역이.

새로운!!: 남연군와 덕산군 · 더보기 »

독일

독일 연방공화국(), 줄여서 독일()은 중앙유럽에 있는 나라이.

새로운!!: 남연군와 독일 · 더보기 »

마전군

마전군(麻田郡)은 지금의 연천군 미산면 마전리를 중심으로 연천군의 미산면과 왕징면, 백학면에 있었던 경기도의 옛 군이.

새로운!!: 남연군와 마전군 · 더보기 »

미산면 (연천군)

미산면(嵋山面)은 경기도 연천군의 면이.

새로운!!: 남연군와 미산면 (연천군) · 더보기 »

민경혁

민경혁(閔景爀, 1746년 ~ 1815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학자이.

새로운!!: 남연군와 민경혁 · 더보기 »

민정중

민정중(閔鼎重, 1628년 ~ 1692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남연군와 민정중 · 더보기 »

민치구

민치구(閔致久, 1795년~1874년 12월 14일)는 조선 시대의 문신이자 척신으로 흥선대원군의 장인이며 여흥부대부인의 친정아버지이고, 고종, 이재면의 외할아버지이.

새로운!!: 남연군와 민치구 · 더보기 »

민유중

민유중(閔維重, 1630년~1687년)은 조선후기의 문신, 척신, 정치인으로 인현왕후의 친정아버지, 곧 숙종의 장인이.

새로운!!: 남연군와 민유중 · 더보기 »

가야사

야사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남연군와 가야사 · 더보기 »

가야산 (충청남도)

야산(伽倻山)은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과 해미면, 예산군 덕산면 경계에 있는 산이.

새로운!!: 남연군와 가야산 (충청남도) · 더보기 »

경기도

경기도(京畿道)는 대한민국의 북서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남연군와 경기도 · 더보기 »

보덕사

보덕사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남연군와 보덕사 · 더보기 »

복녕군

복녕군(福寧君, 1639년 ~ 1670년 음력 10월 15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이.

새로운!!: 남연군와 복녕군 · 더보기 »

계동궁

동궁(桂洞宮)은 한성 북부(北部) 관광방(觀光坊) 계동(桂洞)에 있었기 때문에 계동궁이라 불렀으며, 현 주소는 서울시 종로구 계동 147번지이.

새로운!!: 남연군와 계동궁 · 더보기 »

광주 김씨

광주 김씨(廣州 金氏)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남연군와 광주 김씨 · 더보기 »

관찰사

사(觀察使)는, 중국 당대(唐代)에서 비롯하여 훗날 한국의 조선(朝鮮), 나아가 헤이안 시대(平安時代) 초기 일본에도 설치되었던 지방행정 감찰을 맡은 관직이.

새로운!!: 남연군와 관찰사 · 더보기 »

불천위

불천위(不遷位)란 국가공신 혹은 덕망이 높은 자를 나라에서 정하여 제사를 지낼수 있도록 허락한 것으로서, 조선초기 개국공신부터 후기까지의 덕망높은 자들이 선정되었.

새로운!!: 남연군와 불천위 · 더보기 »

김명호

명호는 다음 사람을 가리.

새로운!!: 남연군와 김명호 · 더보기 »

김병학

병학은 다음 사람을 가리.

새로운!!: 남연군와 김병학 · 더보기 »

김정희

정희가 그린 불이선란도(不二禪蘭圖) 김정희(金正喜, 정조 10년(1786년) 6월 3일(1786년 6월 28일) ~ 철종 7년(1856년) 10월 10일(1856년 11월 7일))는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서예가, 금석학자, 고증학자, 화가, 실학자이.

새로운!!: 남연군와 김정희 · 더보기 »

대한제국 고종

종(高宗, 1852년 9월 8일 ~ 1919년 1월 21일)은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 (재위: 1897년 ~ 1907년)이자, 조선의 제26대 마지막 왕(재위: 1863년 ~ 1897년)이.

새로운!!: 남연군와 대한제국 고종 · 더보기 »

대한제국 순종

순종(純宗, 1874년 3월 25일(음력 2월 8일) ~ 1926년 4월 25일)은 대한제국 제2대 황제이자, 한반도 역사상 마지막 군주이.

새로운!!: 남연군와 대한제국 순종 · 더보기 »

대한제국의 역대 황제

음은 대한제국의 역대 황제 목록이.

새로운!!: 남연군와 대한제국의 역대 황제 · 더보기 »

군 (작위)

(君)은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왕실의 종실, 외척 또는 공신에게 주었던 작호(爵號)로서 군작이라고도 부른.

새로운!!: 남연군와 군 (작위) · 더보기 »

군부인

부인(郡夫人)은 조선 시대 군의 정실 부인을 지칭하는 말이.

새로운!!: 남연군와 군부인 · 더보기 »

군남면 (연천군)

면(郡南面)은 대한민국 경기도 연천군의 면이.

새로운!!: 남연군와 군남면 (연천군) · 더보기 »

남양 홍씨 토홍계

양 홍씨(南陽 洪氏) 토홍계(土洪系)는 홍선행(洪先幸)을 시조로 하고, 경기도 화성시 남양읍을 본관으로 삼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남연군와 남양 홍씨 토홍계 · 더보기 »

남연군 분묘 도굴 사건

연군 분묘 도굴 사건(南延君墳墓盜掘事件)은 1868년 대한제국 고종 5년 상인이자 학자인 독일인 에른스트 오페르트가 충청도 덕산(德山)에 있는, 흥선대원군의 아버지인 남연군(南延君)의 묘를 도굴하려다 실패한 사건이.

새로운!!: 남연군와 남연군 분묘 도굴 사건 · 더보기 »

낙천군

낙천군 이온(洛川君 李縕, 락천군 1720년 11월 26일(음력 10월 21일 - 1737년 9월 28일)은 조선 시대 후기의 왕족 종실이며 숙종의 서자(庶子)인 연령군의 양자이며 경종, 영조의 조카이다. 낙천군 이온의 경우 본래는 조선 선조의 서 6대손으로, 생부는 선조의 아홉째 서자였던 경창군 이주(慶昌君 李珘)의 5대손 이채(李埰)이다. 가계상 남연군의 할아버지뻘, 흥선대원군의 증조부뻘이 된다. 초명은 수신(守愼), 자는 온중(蘊仲)이다. 원래 조선 선조의 아홉번째 서자 경창군의 6대손이었으나, 아들 없이 사망한 연령군의 사후 양자가 되었다. 그러나 그도 아들이 없이 사망하였다. 일설에는 은신군(사도세자의 서2남)이 그의 제사 받들기를 꺼렸다는 풍문이 나돌았으나, 은신군은 죽은 뒤에 1777년 이복형 정조에 의해 연령군의 봉사손이 되었다. 관직은 수덕대부(綏德大夫) 에 이르렀고, 부인은 서종수(徐宗秀)의 딸이다. 호적상 흥선대원군의 증조부가 된다.

새로운!!: 남연군와 낙천군 · 더보기 »

당뇨병

당뇨병(糖尿病, diabetes mellitus, DM, diabetes)은 높은 혈당 수치가 오랜 기간 지속되는 대사 질환군을 말. 혈당이 높을 때의 증상으로는 소변이 잦아지고, 갈증과 배고픔이 심. 이를 치료하지 않으면 다른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 급성의 합병증으로는 당뇨병케톤산증, 고혈당성 고삼투성 비케톤성 혼수 등이 포함된다 심각한 장기간 합병증으로는 심혈관질환, 뇌졸중, 만성신부전, 당뇨병성 궤양, 당뇨망막병 등이.

새로운!!: 남연군와 당뇨병 · 더보기 »

효의왕후

효의왕후 김씨(孝懿王后, 1754년 1월 5일(1753년 음력 12월 13일) ~ 1821년 4월 10일(음력 3월 9일))는 조선 정조의 왕비로 본관은 청풍(淸風)이.

새로운!!: 남연군와 효의왕후 · 더보기 »

용주사

용주사(龍珠寺)는 조계종의 절로 경기도 화성시 송산동 화산에 위치해 있. 이 절은 신라 말기인 854년에 廉巨和尙(염거화상)이 지었고, 원래 이름은 갈양사(葛陽寺)였.

새로운!!: 남연군와 용주사 · 더보기 »

운현궁

운현궁(雲峴宮)은 조선 제26대 임금인 고종의 생부인 흥선대원군의 저택으로서, 고종이 탄생하여 즉위하기 전 12살까지 살았던 잠저이.

새로운!!: 남연군와 운현궁 · 더보기 »

자 (이름)

자(字)는 한자 문화권, 특히 중국이나 한국, 일본에서 성년이 되는 관례 때 받는 이름인 관명과 함께 스스럼없이 부를 수 있도록 짓는 새로운 이름을 말. 이는 이름이 부모가 주신 것으로서 부모님이나 스승, 왕(혹은 황제)외에는 함부로 부르지 못하는 것으로 인식하던 데에 기인.

새로운!!: 남연군와 자 (이름) · 더보기 »

흥녕군

흥녕군 이창응(興寧君 李昌應, 1809년 7월 16일 ~ 1828년 2월 1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왕족으로 장조의 서2남 은신군(恩信君)의 손자이며, 흥선대원왕, 흥인군의 백형(伯兄)이고, 계동궁(桂洞宮) 사손(嗣孫)이.

새로운!!: 남연군와 흥녕군 · 더보기 »

흥인군

이최응(李最應, 1815년 2월 17일 ~ 1882년 6월 10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정치인으로, 자는 양백(良伯), 호는 산향(山響), 군호는 흥인군(興寅君)이.

새로운!!: 남연군와 흥인군 · 더보기 »

흥친왕

흥친왕 이재면(興親王 李載冕, 완흥군(完興君), 1845년 8월 22일(음력 7월 20일) ~ 1912년 9월 9일)은 조선 말기의 왕족·군인·정치인이자 대한제국의 황족·군인으로, 흥선대원군의 적장자(嫡長子)이자 고종의 친형이며 영선군 이준의 아버지이.

새로운!!: 남연군와 흥친왕 · 더보기 »

흥선대원군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1820년 12월 21일(음력 11월 16일) ~ 1898년 2월 22일(음력 2월 2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이자 정치가, 화가이며 조선의 추존왕이.

새로운!!: 남연군와 흥선대원군 · 더보기 »

흥완군

흥완군 이정응(興完君 李晸應, 1814년 2월 16일 ~ 1848년 5월 18일)은 조선 시대의 문신, 왕족이.

새로운!!: 남연군와 흥완군 · 더보기 »

이문용 (1882년)

이문용(李鎔, 1882년 9월 4일 ~ 1901년 10월 8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문신이자, 대한제국의 황족으로, 숙종의 서3남 연령군의 6대손이자 장조의 서2남 은신군(恩信君)의 현손이며, 흥선 대원왕의 손자이자 흥친왕의 차남이.

새로운!!: 남연군와 이문용 (1882년) · 더보기 »

이병원

이병원(李秉源, 1752년 4월 6일 ~ 1822년 11월 11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종실이.

새로운!!: 남연군와 이병원 · 더보기 »

이관용 (황족)

이관용(李土+灌鎔, 생몰년 미상)은 조선시대의 왕족이자 대한제국의 황족이.

새로운!!: 남연군와 이관용 (황족) · 더보기 »

이재선

완은군 이재선(完恩君 李載先, 1842년/1841년 8월 1일 ~ 1881년 10월 28일)은 조선후기의 문신 겸 정치가이자, 대한제국의 황족으로, 흥선대원군 이하응의 서자이자, 흥친왕 이재면과 고종의 서형이.

새로운!!: 남연군와 이재선 · 더보기 »

이재원 (1831년)

완림군 이재원(完林君 李載元, 1831년 10월 13일 ~ 1891년 2월 19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왕족으로 자는 순팔(舜八), 시호는 효정(孝貞), 본관은 전주이.

새로운!!: 남연군와 이재원 (1831년) · 더보기 »

이조

이조(吏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남연군와 이조 · 더보기 »

이준용

이준용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남연군와 이준용 · 더보기 »

이진익

이진익(李鎭翼, 1728년 9월 25일 ~ 1796년 4월 26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종실이며 문신이.

새로운!!: 남연군와 이진익 · 더보기 »

이왕직

이왕직(李王職)은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에서 대한제국 황족의 의전 및 대한제국 황족과 관련된 사무를 담당하던 기구로, 대한제국 시기에 황실 업무를 담당하던 궁내부를 형식적으로 계승한 기구이.

새로운!!: 남연군와 이왕직 · 더보기 »

인평대군

인평대군 이요(麟坪大君 李㴭, 1622년 12월 10일 ~ 1658년 5월 13일)은 조선 인조의 셋째 아들이자, 효종의 동생이.

새로운!!: 남연군와 인평대군 · 더보기 »

인현왕후

인현왕후 민씨(仁顯王后 閔氏, 1667년 5월 15일(음력 4월 23일) ~ 1701년 9월 16일(음력 8월 14일))는 조선 제19대 임금인 숙종의 2번째 왕후(王后)이.

새로운!!: 남연군와 인현왕후 · 더보기 »

음서

음서(蔭敍) 또는 음서제(蔭敍制)는 고려와 조선 시대에 중신 및 양반의 신분을 우대하여 친족 및 처족을 과거와 같은 선발 기준이 아닌 출신을 고려하여 관리로 사용하는 제도이.

새로운!!: 남연군와 음서 · 더보기 »

의녀

의녀(醫女)는 조선 시대의 여성 의원(醫員)이.

새로운!!: 남연군와 의녀 · 더보기 »

의정부

의정부(議政府)는 조선의 법제상 최고 정무기관이.

새로운!!: 남연군와 의정부 · 더보기 »

은언군

은언군 이인(恩彦君 李䄄, 1754년 5월 29일 ~ 1801년 6월 30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으로, 조선 영조의 손자이자 장조의 서장자이며 정조의 이복동생이.

새로운!!: 남연군와 은언군 · 더보기 »

은신군

은신군 이진(恩信君 李禛, 1755년 음력 1월 11일 ~ 1771년 음력 3월 29일)은 조선시대의 왕자, 왕족이.

새로운!!: 남연군와 은신군 · 더보기 »

전계대원군

전계대원군(全溪大院君, 1785년 4월 29일(음력 3월 21일) ~ 1841년 12월 14일(음력 11월 2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이자 농민이며, 철종의 생부이.

새로운!!: 남연군와 전계대원군 · 더보기 »

조두순

조두순은 다음 사람을 가리.

새로운!!: 남연군와 조두순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남연군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장조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남연군와 조선 장조 · 더보기 »

조선 인조

인조(仁祖, 1595년 12월 7일 (음력 11월 7일) ~ 1649년 6월 17일 (음력 5월 8일), 재위 기간: 1623년 ~ 1649년)는 조선의 제16대 임금이.

새로운!!: 남연군와 조선 인조 · 더보기 »

조선 정조

정조 (正祖, 1752년 10월 28일(음력 9월 22일) ~ 1800년 8월 18일(음력 6월 28일))는 조선의 제22대 왕이며, 대한제국의 추존 황제이.

새로운!!: 남연군와 조선 정조 · 더보기 »

조선 진종

종(眞宗, 1719년 4월 4일(음력 2월 15일) ~ 1728년 12월 16일(음력 11월 16일))은 조선의 왕세자이자 추존왕, 대한제국 추존황제이.

새로운!!: 남연군와 조선 진종 · 더보기 »

조선 철종

종(哲宗, 1831년 7월 25일(음력 6월 17일) ~ 1864년 1월 16일(1863년 음력 12월 8일))은 조선의 제25대 왕(재위 1849년 7월 28일 ~ 1864년 1월 16일)이자 대한제국 추존황제이.

새로운!!: 남연군와 조선 철종 · 더보기 »

조선 순조

순조(純祖, 1790년 7월 29일 (음력 6월 18일) ~ 1834년 12월 13일 (음력 11월 13일))는 조선의 제23대 왕(재위 1800년-1834년)이며 대한제국의 추존황제이.

새로운!!: 남연군와 조선 순조 · 더보기 »

조선 숙종

숙종(肅宗, 1661년 10월 7일(음력 8월 15일) ~ 1720년 7월 12일(음력 6월 8일))은 조선의 제19대 왕이.

새로운!!: 남연군와 조선 숙종 · 더보기 »

조선 영조

영조(英祖, 1694년 10월 31일(음력 9월 13일) ~ 1776년 4월 22일(음력 3월 5일))는 조선의 제21대 왕(재위, 1724년 10월 16일 ~ 1776년 4월 22일)이.

새로운!!: 남연군와 조선 영조 · 더보기 »

조선 헌종

종(憲宗, 1827년 9월 8일(음력 7월 18일) ~ 1849년 7월 25일(음력 6월 6일))은 조선의 제24대 왕(재위: 1834년 ~ 1849년)이며 대한제국의 추존황제이.

새로운!!: 남연군와 조선 헌종 · 더보기 »

조선 원종

원종(元宗, 1580년 8월 2일/음력 6월 22일 ~ 1619년 음력 12월 29일)은 조선 시대 중기의 왕자, 공신, 왕족이자 추존왕으로 대원군에서 왕으로 추존된 인물이.

새로운!!: 남연군와 조선 원종 · 더보기 »

조선총독부

조선총독부의 휘장 조선총독부(朝鮮總督府, 거버먼트 제네럴 오브 코리아)는 일본 제국이 1910년 10월 1일 한일 병합 조약 체결일부터 1945년 9월 2일까지 한반도에 대한 통치를 위해 운영하던 직속기관이었.

새로운!!: 남연군와 조선총독부 · 더보기 »

좌찬성

좌찬성(左贊成)은 의정부 2찬성 가운데 하나로 종1품에 해당되는 조선조 의정부의 관직이었.

새로운!!: 남연군와 좌찬성 · 더보기 »

주사위

주사위 여러가지 모양의 주사위 주사위는 놀이 도구의 하나로서, 무작위로 선택된 어떤 결과를 얻고자 할 때 사용되는 장난감이.

새로운!!: 남연군와 주사위 · 더보기 »

진사

사에는 다음 뜻이 있.

새로운!!: 남연군와 진사 · 더보기 »

진사 (칭호)

사(進士)는 과거 단계 중의 하나이.

새로운!!: 남연군와 진사 (칭호) · 더보기 »

참판

(參判)은 조선의 종2품 당상관직으로 각 조의 수장인 판서를 보좌하는 역할을 하였.

새로운!!: 남연군와 참판 · 더보기 »

철종실록

《철종희륜정극수덕순성문현무성헌인영효대왕실록》(哲宗熙倫正極粹德純聖文顯武成獻仁英孝大王實錄), 줄여서 《철종실록》은 《조선왕조실록》 중 철종 재위 기간의 역사를 담은 부분이.

새로운!!: 남연군와 철종실록 · 더보기 »

청나라

청국(大淸國)은 1618년에, 여진 열국을 돌보는의 현명한 한(英明汗)이었던 누르가치가 건국한 대금()을 근간으로, 아들 태종 숭덕제는 대금에서 대청()으로 국호를 바꾸어 중국 대륙을 대표적으로 지배하는 제국였.

새로운!!: 남연군와 청나라 · 더보기 »

충청도

조선후기 충청도 충청도(忠淸道)는 충청남도, 충청북도와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일대를 관할했던 행정구역으로 호서 지방(湖西地方)에 해당.

새로운!!: 남연군와 충청도 · 더보기 »

충청남도

충청남도(忠淸南道)는 대한민국 중서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남연군와 충청남도 · 더보기 »

추증

증(追贈)이란 관료의 사후에 직급을 높이는 일, 또는 관직 없이 죽은 사람에게 사후 관직을 내리는 일을 말.

새로운!!: 남연군와 추증 · 더보기 »

유교

유교(儒敎)는 중국 춘추시대(기원전 770~403) 말기에 공자(孔子)가 체계화한 사상인 유학(儒學)의 학문을 이르는 말이.

새로운!!: 남연군와 유교 · 더보기 »

융건릉

융건릉(隆健陵)은 사적 제206호로 지정된 문화재로 장조(사도세자)와 그의 비 헌경왕후(혜경궁 홍씨)를 합장한 융릉(隆陵)과 그의 아들 정조와 효의왕후를 합장한 건릉(健陵)을 합쳐 부르는 이름으로 경기도 화성시 안녕동에 있.

새로운!!: 남연군와 융건릉 · 더보기 »

영의정

영의정(領議政)은 의정부 3정승 가운데 하나로 정1품에 해당하는 조선 최고의 중앙관직이었.

새로운!!: 남연군와 영의정 · 더보기 »

오위

오위(五衛)는 조선시대 중앙군으로 세조 3년(1457년) 삼군부를 5위로 개편하고 5위진무소가 이를 총괄케 했는데 그 후 5위진무소(五衛鎭撫所)는 5위도총부(五衛都摠府)로 개칭되었.

새로운!!: 남연군와 오위 · 더보기 »

예조

예조(禮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남연군와 예조 · 더보기 »

예산군

예산군(禮山郡)은 대한민국 충청남도 중북부에 위치한 군이.

새로운!!: 남연군와 예산군 · 더보기 »

형조

형조(刑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남연군와 형조 · 더보기 »

어필

어필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어필(Appeal).

새로운!!: 남연군와 어필 · 더보기 »

에른스트 오페르트

에른스트 야코프 오페르트(1832년 12월 5일 ~ 1903년 9월 19일)는 북독일 연방과 독일 제국의 상인이자 항해가이.

새로운!!: 남연군와 에른스트 오페르트 · 더보기 »

여흥 민씨

여흥 민씨(驪興 閔氏)는 경기도 여주시를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남연군와 여흥 민씨 · 더보기 »

여흥부대부인

여흥부대부인 민씨(驪興府大夫人 閔氏, 1818년 2월 3일 ~ 1898년 1월 8일/1897년 음력 12월 16일)는 조선의 왕족이며, 대한제국 고종황제의 어머니이.

새로운!!: 남연군와 여흥부대부인 · 더보기 »

연령군

연령군 이훤(延齡君 李昍, 1699년 6월 13일 ~ 1719년 10월 2일 "연령군 이훤의 졸기")은 조선 시대 후기의 왕족 종실이.

새로운!!: 남연군와 연령군 · 더보기 »

연일 정씨

연일 정씨(延日 鄭氏)는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오천읍을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남연군와 연일 정씨 · 더보기 »

연천군

연천군(漣川郡)은 대한민국 경기도의 북부에 위치하고 있는 군이.

새로운!!: 남연군와 연천군 · 더보기 »

삼복의 옥

삼복의 옥(三福-獄)은 조선 숙종때의 정승 허적(許積)의 서자 허견이 종실 복창군(福昌君), 복선군(福善君), 복평군(福平君)의 3형제와 역모를 꾸민다고 고변하면서 발생한 사건이.

새로운!!: 남연군와 삼복의 옥 · 더보기 »

성리학

성리학(性理學) 12세기에 남송의 주희(朱熹)가 집대성한 유교의 주류 학파이.

새로운!!: 남연군와 성리학 · 더보기 »

쇄국정책

경주박물관 척화비 쇄국정책(鎖國政策)은 말뜻은 외국의 것을 받아들이지 않는 정책을 말하며, 정치·외교·통상에서는 이윤의 확보나 자기 방위 및 국제적 고립 상태의 유지가 불가피할 때 외국인의 입국이나 무역을 통제하는 정책을 일컫.

새로운!!: 남연군와 쇄국정책 · 더보기 »

한성부

경복궁 앞 근정문 근정전 어좌의 모습 한성(漢城)은 조선의 도읍지(수도)였.

새로운!!: 남연군와 한성부 · 더보기 »

안동 김씨

안동 김씨의 종문 안동 김씨(安東 金氏)는 대한민국의 안동을 본관으로 삼은 서로 다른 두 씨족이 존재.

새로운!!: 남연군와 안동 김씨 · 더보기 »

아명

아명(兒名)은 어린이 시절의 이름이.

새로운!!: 남연군와 아명 · 더보기 »

신장병

신장병(腎臟病)은 신장에 생기는 모든 병을 일컫.

새로운!!: 남연군와 신장병 · 더보기 »

시호

시호(諡號)는 죽은 인물에게 국가에서 내려주거나 죽은 군주에게 다음 군주가 올리는 특별한 이름으로, 동양의 군주제 국가에서 시행되었.

새로운!!: 남연군와 시호 · 더보기 »

홍대용

홍대용(洪大容, 1731년 5월 12일 ~ 1783년 11월 17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실학자이자 과학 사상가이.

새로운!!: 남연군와 홍대용 · 더보기 »

왕릉

왕릉(王陵)은 군주·왕이 묻혀 있는 무덤이.

새로운!!: 남연군와 왕릉 · 더보기 »

11월 13일

11월 1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17번째(윤년일 경우 31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남연군와 11월 13일 · 더보기 »

12월 15일

12월 1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49번째(윤년일 경우 35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남연군와 12월 15일 · 더보기 »

12월 17일

12월 1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51번째(윤년일 경우 35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남연군와 12월 17일 · 더보기 »

12월 20일

12월 2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54번째(윤년일 경우 35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남연군와 12월 20일 · 더보기 »

12월 29일

12월 2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63번째(윤년일 경우 36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남연군와 12월 29일 · 더보기 »

12월 9일

12월 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43번째(윤년일 경우 34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남연군와 12월 9일 · 더보기 »

1720년

1720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남연군와 1720년 · 더보기 »

1728년

1728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남연군와 1728년 · 더보기 »

1737년

1737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남연군와 1737년 · 더보기 »

1752년

1752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남연군와 1752년 · 더보기 »

1755년

1755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남연군와 1755년 · 더보기 »

1771년

1771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남연군와 1771년 · 더보기 »

1784년

1784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남연군와 1784년 · 더보기 »

1788년

1788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남연군와 1788년 · 더보기 »

1796년

1796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남연군와 1796년 · 더보기 »

1803년

1803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남연군와 1803년 · 더보기 »

1809년

1809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남연군와 1809년 · 더보기 »

1814년

1814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남연군와 1814년 · 더보기 »

1815년

1815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남연군와 1815년 · 더보기 »

1816년

1816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남연군와 1816년 · 더보기 »

1817년

1817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남연군와 1817년 · 더보기 »

1819년

1819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남연군와 1819년 · 더보기 »

1820년

1820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남연군와 1820년 · 더보기 »

1821년

1821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남연군와 1821년 · 더보기 »

1822년

1822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남연군와 1822년 · 더보기 »

1825년

1825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남연군와 1825년 · 더보기 »

1827년

1827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남연군와 1827년 · 더보기 »

1828년

1828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남연군와 1828년 · 더보기 »

1829년

1829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남연군와 1829년 · 더보기 »

1831년

1831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남연군와 1831년 · 더보기 »

1832년

1832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남연군와 1832년 · 더보기 »

1833년

1833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남연군와 1833년 · 더보기 »

1834년

1834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남연군와 1834년 · 더보기 »

1836년

1836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남연군와 1836년 · 더보기 »

1845년

1845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남연군와 1845년 · 더보기 »

1846년

1846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남연군와 1846년 · 더보기 »

1848년

1848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남연군와 1848년 · 더보기 »

1864년

1864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남연군와 1864년 · 더보기 »

1865년

1865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남연군와 1865년 · 더보기 »

1866년

1866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남연군와 1866년 · 더보기 »

1868년

1868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남연군와 1868년 · 더보기 »

1872년

1872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남연군와 1872년 · 더보기 »

1881년

1881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남연군와 1881년 · 더보기 »

1882년

1882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남연군와 1882년 · 더보기 »

1891년

1891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남연군와 1891년 · 더보기 »

1898년

1898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남연군와 1898년 · 더보기 »

1912년

1912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남연군와 1912년 · 더보기 »

1989년

1989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남연군와 1989년 · 더보기 »

1월 12일

1월 1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2번째(윤년일 경우도 1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남연군와 1월 12일 · 더보기 »

1월 1일

1월 1일은 양력(그레고리력)으로 첫 번째 날을 말.

새로운!!: 남연군와 1월 1일 · 더보기 »

2월 1일

2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2번째(윤년일 경우도 3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남연군와 2월 1일 · 더보기 »

2월 22일

2월 2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53번째(윤년일 경우도 5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남연군와 2월 22일 · 더보기 »

3월

3월(三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세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북반구에서는 3월이 되면서 날씨가 풀리기 때문에, 대체로 이 달을 봄의 시작으로 본. 남반구는 가을이.

새로운!!: 남연군와 3월 · 더보기 »

3월 12일

3월 1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71번째(윤년일 경우 7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남연군와 3월 12일 · 더보기 »

3월 18일

3월 1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77번째(윤년일 경우 7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남연군와 3월 18일 · 더보기 »

3월 19일

3월 1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78번째(윤년일 경우 7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남연군와 3월 19일 · 더보기 »

3월 22일

3월 2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81번째(윤년일 경우 8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남연군와 3월 22일 · 더보기 »

4월

4월(四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네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 대한민국에서는 4월이 과학의 달이.

새로운!!: 남연군와 4월 · 더보기 »

4월 10일

4월 1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00번째(윤년일 경우 10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남연군와 4월 10일 · 더보기 »

5월

5월(五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다섯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는 7개의 달중 하나이.

새로운!!: 남연군와 5월 · 더보기 »

5월 10일

5월 1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30번째(윤년일 경우 13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남연군와 5월 10일 · 더보기 »

6월 26일

6월 2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77번째(윤년일 경우 17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남연군와 6월 26일 · 더보기 »

7월

7월(七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일곱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4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시작하며, 윤년인 경우 그 해의 1월과도 같은 요일로 시작하고 같은 요일로 끝. 400년 동안 이 달은 수요일, 금요일, 일요일에 58번, 월요일과 화요일에 57번, 목요일과 토요일에는 56번 시작.

새로운!!: 남연군와 7월 · 더보기 »

7월 13일

7월 1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94번째(윤년일 경우 19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남연군와 7월 13일 · 더보기 »

7월 15일

7월 1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96번째(윤년일 경우 19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남연군와 7월 15일 · 더보기 »

7월 21일

7월 2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02번째(윤년일 경우 20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남연군와 7월 21일 · 더보기 »

7월 25일

7월 2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06번째(윤년일 경우 20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남연군와 7월 25일 · 더보기 »

7월 9일

7월 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90번째(윤년일 경우 19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남연군와 7월 9일 · 더보기 »

8월 12일

8월 1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24번째(윤년일 경우 22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남연군와 8월 12일 · 더보기 »

8월 22일

8월 2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34번째(윤년일 경우 23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남연군와 8월 22일 · 더보기 »

9월 7일

9월 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50번째(윤년일 경우 25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남연군와 9월 7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남연군 이구, 남연군 이채중, 이구 (1788년), 이채중, 치수 이구.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