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이덕무

색인 이덕무

이덕무(李德懋, 1741년 6월 11일 ~ 1793년 1월 25일)은 조선 후기의 북학파 실학자이.

30 처지: 무림군,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영화), 박제가, 경사, 북학, 규장각, 기년아람, 대전통편, 국조보감, 이만운 (1723년), 이조원, 이산 (드라마), 이서구 (조선), 전주 이씨, 조선, 조선 정종, 차태현, 청나라, 유득공, 서얼, 신성균, 실학, 1741년, 1778년, 1779년, 1793년, 1월 25일, 2007년, 2012년, 6월 11일.

무림군

무림군 이선생(茂林君 李善生, 1410년 ~ 1474년)은 조선의 왕족으로, 조선 제2대 임금 정종의 아홉째 서자이.

새로운!!: 이덕무와 무림군 · 더보기 »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영화)

Trailer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Gone with the Wind)는 마거릿 미첼의 소설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를 바탕으로 데이비드 O. 셀즈닉이 제작한 영화이.

새로운!!: 이덕무와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영화) · 더보기 »

박제가

박제가 박제가(朴齊家, 1750년 11월 5일 ~ 1815년 4월 25일)는 조선 후기의 정치가, 외교관, 통역관, 실학자로 북학파의 거두이.

새로운!!: 이덕무와 박제가 · 더보기 »

경사

경사에는 다음과 같은 동음이의어가 있.

새로운!!: 이덕무와 경사 · 더보기 »

북학

북학(北學)은 조선 후기 실학의 한 유파이.

새로운!!: 이덕무와 북학 · 더보기 »

규장각

창덕궁 후원 부용지 주변에 세워진 규장각(2층 건물의 1층)과 서향각 규장각(奎章閣)은 조선 후기의 왕실 학문 연구 기관이자 왕실 도서관이.

새로운!!: 이덕무와 규장각 · 더보기 »

기년아람

《기년아람(紀年兒覽)》은 조선 후기의 학자인 이만운이 지은 역사서이.

새로운!!: 이덕무와 기년아람 · 더보기 »

대전통편

《대전통편》(大典通編)은 《경국대전》과 《속대전》 및 그 이후에 임금이 내린 교명과 현행 법령을 증보하여 편찬한 조선의 법전으로, 현존하는 책은 6권 5책으로 된 인쇄본.

새로운!!: 이덕무와 대전통편 · 더보기 »

국조보감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국조보감》 《국조보감》(國朝寶鑑)은 조선의 역대 임금들의 정치 활동 가운데서 모범이 될 만한 사실을 뽑아 적은 편년체의 역사책이.

새로운!!: 이덕무와 국조보감 · 더보기 »

이만운 (1723년)

이만운(李萬運, 1723년 ~ 1797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학자로 자는 중심(仲心), 본관은 함평이.

새로운!!: 이덕무와 이만운 (1723년) · 더보기 »

이조원

이조원은 대한민국의 희극 배우이.

새로운!!: 이덕무와 이조원 · 더보기 »

이산 (드라마)

《이산》(李祘)은 조중현 기획, 이병훈·김근홍 연출, 김이영 극본으로 문화방송에서 방영한 드라마이.

새로운!!: 이덕무와 이산 (드라마) · 더보기 »

이서구 (조선)

이서구(李書九, 1754년∼1825년)는 조선의 문신·학자이.

새로운!!: 이덕무와 이서구 (조선) · 더보기 »

전주 이씨

전주 이씨(全州 李氏)는 전라북도 전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이덕무와 전주 이씨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이덕무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정종

정종(定宗, 1357년 7월 18일 (음력 7월 1일) ~ 1419년 10월 15일 (음력 9월 26일), 재위: 1398년 ~ 1400년)은 고려 말기의 문신이자 조선의 제2대 임금이.

새로운!!: 이덕무와 조선 정종 · 더보기 »

차태현

현(車太鉉, 1976년 3월 25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 가수, 프로듀서이자 방송인이.

새로운!!: 이덕무와 차태현 · 더보기 »

청나라

청국(大淸國)은 1618년에, 여진 열국을 돌보는의 현명한 한(英明汗)이었던 누르가치가 건국한 대금()을 근간으로, 아들 태종 숭덕제는 대금에서 대청()으로 국호를 바꾸어 중국 대륙을 대표적으로 지배하는 제국였.

새로운!!: 이덕무와 청나라 · 더보기 »

유득공

유득공(柳得恭, 류득공, 1748년 12월 24일(음력 11월 5일) ~ 1807년 10월 1일(음력 9월 1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실학자, 문신, 시인이며 조선 정조 당시의 실학자, 시인이.

새로운!!: 이덕무와 유득공 · 더보기 »

서얼

서얼(庶孼)은 양반의 자손 가운데 첩(妾)과의 사이에서 나온 자손을 말하는 것으로, 양인(良人)의 신분에 속하는 첩이 낳은 서자(庶子)와 천민(賤民)에 속하는 첩이 낳은 얼자(孼子)를 함께 이르는 말이.

새로운!!: 이덕무와 서얼 · 더보기 »

신성균

신성균(申性均, 1905년/1907년 6월 8일?, 곡성 ~ 1967년 9월 28일, 북한)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이덕무와 신성균 · 더보기 »

실학

실학(實學)은 17세기 후반에서 19세기 전반에 걸쳐 대두된 일련의 현실개혁적 조선 유학의 학풍을 말. 한편 실학에 반해 기존의 유학을 “성명의리지학”이라고도 부른.

새로운!!: 이덕무와 실학 · 더보기 »

1741년

1741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덕무와 1741년 · 더보기 »

1778년

1778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덕무와 1778년 · 더보기 »

1779년

1779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덕무와 1779년 · 더보기 »

1793년

1793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덕무와 1793년 · 더보기 »

1월 25일

1월 2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5번째(윤년일 경우도 2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덕무와 1월 25일 · 더보기 »

2007년

2007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덕무와 2007년 · 더보기 »

2012년

2012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며, 이 해는 2002년 이후 10년만에 대규모 행사의 해이.

새로운!!: 이덕무와 2012년 · 더보기 »

6월 11일

6월 1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62번째(윤년일 경우 16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덕무와 6월 11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아정 이덕무, 형암 이덕무.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