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이찬 (시인)

색인 이찬 (시인)

이찬(李燦, 일본식 이름: 靑葉薰, 개명 이전의 이름: 이무종(李務鍾), 1910년 1월 15일 ~ 1974년 1월 14일)은 〈김일성 장군의 노래〉 작사가로 유명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친일 공산주의 계파 시인이.

46 처지: 동지사, 릿쿄 대학, 매일신보, 민족문제연구소,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민족과 운명, 경복고등학교, 북청군, 김일성 장군의 노래, 대한민국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임화, 일본, 조선문학가동맹, 조선문학예술총동맹,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문화선전성, 조선일보,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 조소문화협회, 친일 문학인 42인 명단,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 태평양 전쟁, 수령형상창조, 혜산군, 연희전문학교, 사회주의, 서울특별시, 애국렬사릉, 함경남도, 신시대, 와세다 대학, 11월 19일, 1910년, 1927년, 1929년, 1931년, 1932년, 1934년, 1944년, 1946년, 1974년, 1월 14일, 1월 15일, 2002년, 2008년, 9월 4일.

동지사

동지사.

새로운!!: 이찬 (시인)와 동지사 · 더보기 »

릿쿄 대학

릿쿄 대학(또는 Saint Paul's University)은 도쿄도 도시마 구 니시이케부쿠로에 본부를 두고 있는 일본 성공회에 속한 명문 사립 대학이.

새로운!!: 이찬 (시인)와 릿쿄 대학 · 더보기 »

매일신보

1910년 8월 30일자 매일신보 창간호. 1945년 8월 15일자 매일신보 《매일신보》(每日申報, 每日新報)는 일제 강점기 동안 발행된 조선총독부의 기관지이.

새로운!!: 이찬 (시인)와 매일신보 · 더보기 »

민족문제연구소

민족문제연구소(民族問題硏究所)는 재야운동가 임종국의 유지를 잇는다는 명분으로 설립된 단체로서, 1991년 2월 27일 '반민족문제연구소'로 시작하여 1995년 '민족문제연구소'로 개칭한 민간 단체이.

새로운!!: 이찬 (시인)와 민족문제연구소 · 더보기 »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이 문서는 민족문제연구소가 2009년 11월 8일에 편찬한 친일인명사전에 수록된 자들에 관한 명단을.

새로운!!: 이찬 (시인)와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 더보기 »

민족과 운명

《민족과 운명》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다부작 예술영화이.

새로운!!: 이찬 (시인)와 민족과 운명 · 더보기 »

경복고등학교

경복고등학교(景福高等學校)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운동에 위치한 공립 고등학교이.

새로운!!: 이찬 (시인)와 경복고등학교 · 더보기 »

북청군

북청군(北靑郡)은 함경남도 동부에 있는군이.

새로운!!: 이찬 (시인)와 북청군 · 더보기 »

김일성 장군의 노래

일성 장군의 노래(金日成 將軍의 노래)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표적인 김일성 미화, 찬양 가요이.

새로운!!: 이찬 (시인)와 김일성 장군의 노래 · 더보기 »

대한민국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반민규명위 보고서 대한민국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大韓民國 親日反民族行爲眞相糾明委員會, 약칭 반민규명위)는 일제강점하 반민족행위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이 2004년 3월 22일 공포되면서 이 법률의 시행령에 따라 2005년 5월 31일 대통령 소속으로 발족한 기구이.

새로운!!: 이찬 (시인)와 대한민국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 더보기 »

임화

임화(林和, 문화어: 림화, 1908년 10월 13일 ~ 1953년 8월 6일)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시인이며 문학평론가, 정치가이.

새로운!!: 이찬 (시인)와 임화 · 더보기 »

일본

일본국(닛폰코쿠), 약칭 일본(日本,, 닛폰)은 동아시아에 있는 국. 국토는 태평양에 있는 일본 열도의 네 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홋카이도, 혼슈, 시코쿠, 규슈를 중심으로 주변에 산재한 작은 섬으로 구성되어 있. 총 면적은 37만 7835 km2인데 이는 노르웨이(스발바르 제도와 얀마옌을 포함한 경우)보다 작으며 독일보.

새로운!!: 이찬 (시인)와 일본 · 더보기 »

조선문학가동맹

조선문학가동맹(朝鮮文學家同盟)은 한국 군정기에 서울에서 결성되었던 좌익 계열의 문학 단체이.

새로운!!: 이찬 (시인)와 조선문학가동맹 · 더보기 »

조선문학예술총동맹

조선문학예술총동맹(朝鮮文學藝術總同盟)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예술인 조직체이.

새로운!!: 이찬 (시인)와 조선문학예술총동맹 · 더보기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북부에 위치한 국가이.

새로운!!: 이찬 (시인)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더보기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문화선전성

문화선전성은 문화와 예술와 관한 사무 및 국내외의 여론 조사, 언론, 방송, 선전 및 보도 사무 등을 관장하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폐지된 내각 중앙 행정 기관이었.

새로운!!: 이찬 (시인)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문화선전성 · 더보기 »

조선일보

2000년 이후의 조선일보 메인타이틀 《조선일보》(朝鮮日報,)는 대한민국의 신문 출판 기업인 조선일보사(朝鮮日報社,)가 대한민국 서울에서 발행하는 조간 일간지이.

새로운!!: 이찬 (시인)와 조선일보 · 더보기 »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 통칭 카프()는 1925년 8월에 결성된 사회주의 문학단체이.

새로운!!: 이찬 (시인)와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 · 더보기 »

조소문화협회

조소문화협회(朝蘇文化協會) 또는 조쏘문화협회는 소군정 하에서 창립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문화 단체이.

새로운!!: 이찬 (시인)와 조소문화협회 · 더보기 »

친일 문학인 42인 명단

일 문학인 42인 명단은 2002년 8월 14일 민족문학작가회의, 민족문제연구소, 계간 《실천문학》, 나라와 문화를 생각하는 국회의원 모임, 민족정기를 세우는 국회의원모임(회장 김희선)이 공동 발표한 문학 분야 친일 인물 42명에 관한 명단이.

새로운!!: 이찬 (시인)와 친일 문학인 42인 명단 · 더보기 »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

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親日反民族行爲705人名單)은 2009년 11월 27일 대한민국의 대통령 소속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반민규명위, 위원장 성대경)가 이명박 대통령과 국회에 보고한 일제 강점기 말기 친일반민족행위 관련자 705명에 관한 명단이.

새로운!!: 이찬 (시인)와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 · 더보기 »

태평양 전쟁

평양 전쟁, 또는 때때로 아시아-태평양 전쟁,은 제2차 세계 대전의 전역 중 하나로 태평양과 동아시아에서 벌어진 전쟁이.

새로운!!: 이찬 (시인)와 태평양 전쟁 · 더보기 »

수령형상창조

수령형상창조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예술에서 중시하는 개념으로, 영화나 연극, 문학, 미술 등 예술 여러 분야의 창작과 구현 작업에서 혁명적 수령관에 입각한 노동계급의 수령을 형상화하는 것이.

새로운!!: 이찬 (시인)와 수령형상창조 · 더보기 »

혜산군

혜산군(惠山郡)은 함경남도(량강도)에 있던 군이.

새로운!!: 이찬 (시인)와 혜산군 · 더보기 »

연희전문학교

1918년의 연희전문학교 연희전문학교는 경신학교의 후신으로 세브란스의과대학과 함께 연세대학교의 공동 전신이.

새로운!!: 이찬 (시인)와 연희전문학교 · 더보기 »

사회주의

사회주의(社會主義, Socialism)는 생산 수단의 사적 소유와 소수 관리에 반대하고 공동체주의와 최대 다수의 행복 실현을 최고 가치로 하는 공동 이익 인간관 을 사회 또는 윤리관의 기반으로 삼고 자원을 효율적으로 분배하며 생산수단을 공동으로 운영하는 협동 경제와 모든 민중이 노동의 대가로서 정당하고 평등하게 분배받는 사회를 지향하는 다양한 사상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며, 또는 그 과정을 의미.

새로운!!: 이찬 (시인)와 사회주의 · 더보기 »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는 대한민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새로운!!: 이찬 (시인)와 서울특별시 · 더보기 »

애국렬사릉

애국렬사릉(愛國烈士陵)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립묘지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애국렬사를 위한 묘지이.

새로운!!: 이찬 (시인)와 애국렬사릉 · 더보기 »

함경남도

경남도(咸鏡南道)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동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이찬 (시인)와 함경남도 · 더보기 »

신시대

《신시대(新時代)》는 일제 강점기 말기에 발간된 월간 잡지이.

새로운!!: 이찬 (시인)와 신시대 · 더보기 »

와세다 대학

와세다 대학()은 일본의 명문 사립 대학이.

새로운!!: 이찬 (시인)와 와세다 대학 · 더보기 »

11월 19일

11월 1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23번째(윤년일 경우 32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찬 (시인)와 11월 19일 · 더보기 »

1910년

1910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찬 (시인)와 1910년 · 더보기 »

1927년

1927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찬 (시인)와 1927년 · 더보기 »

1929년

1929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찬 (시인)와 1929년 · 더보기 »

1931년

1931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찬 (시인)와 1931년 · 더보기 »

1932년

1932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이찬 (시인)와 1932년 · 더보기 »

1934년

1934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찬 (시인)와 1934년 · 더보기 »

1944년

1944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이찬 (시인)와 1944년 · 더보기 »

1946년

1946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찬 (시인)와 1946년 · 더보기 »

1974년

1974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찬 (시인)와 1974년 · 더보기 »

1월 14일

1월 1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4번째(윤년일 경우도 1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찬 (시인)와 1월 14일 · 더보기 »

1월 15일

1월 1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5번째(윤년일 경우도 1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찬 (시인)와 1월 15일 · 더보기 »

2002년

2002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며, 이 해는 21세기의 첫 대규모 행사의 해이.

새로운!!: 이찬 (시인)와 2002년 · 더보기 »

2008년

2008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이찬 (시인)와 2008년 · 더보기 »

9월 4일

9월 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47번째(윤년일 경우 24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찬 (시인)와 9월 4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리찬, 이무종.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