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이백약

색인 이백약

이백약(李百藥, Li Baiyao, 564년 ~ 647년)은 중국 수나라 때부터 당나라 때에 걸쳐 활약했던 관료이자 역사가로, 그의 뛰어난 문학적 재능으로 많은 사람들에게서 존경받았으며, 아버지 이덕림이 편찬을 시작했던 남북조시대 북제의 공식 역사서 중의 하나인 북제서를 완성한 것으로 유명.

48 처지: 개황, 북제, 북제서, 북주, 북송, 구당서, 군 (행정 구역), 군벌, 남북조 시대, 남작, 남제서, 딩저우 시, 당 고조, 당 고종, 당 태종, 당나라, 우홍, 자 (이름), 자작, 장안, 재상, 음양, 음서, 중국, 징촨 현, 율령격식, 수 문제, 수 양제, 수나라, 오례, 양소 (544년), 역사학, 허베이성, 푸젠성, 푸저우 시, 산시성 (섬서성), 안핑 현, 신당서, 시호, 564년, 581년, 599년, 613년, 627년, 628년, 630년, 636년, 647년.

개황

황(開皇)은 중국 수(隋) 문제(文帝)의 첫 번째 연호로 수나라 최초의 연호이.

새로운!!: 이백약와 개황 · 더보기 »

북제

위진 남북조 왕조들의 계통도 북제(北齊, 550년 ~ 577년)는 중국 남북조 시대(439년 ~ 589년) 중에 강태공의 후예인 강성(姜姓) 고씨(高氏)에 의해 건국한 왕조이.

새로운!!: 이백약와 북제 · 더보기 »

북제서

《북제서》(北齊書)는 당나라 이백약이 쓴 기전체 역사서로 이십사사 중의 하나이.

새로운!!: 이백약와 북제서 · 더보기 »

북주

위진 남북조 왕조들의 계통도 북주(北周, 557년 ~ 581년)는 중국 남북조 시대 때 선비족 우문씨(宇文氏)가 건국한 국가이.

새로운!!: 이백약와 북주 · 더보기 »

북송

북송(北宋, 960년 ~ 1127년)은 중국의 왕조 중 하나이.

새로운!!: 이백약와 북송 · 더보기 »

구당서

당서(舊唐書)는 당나라(唐)의 정사(正史)로 이십사사(二十四史)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이백약와 구당서 · 더보기 »

군 (행정 구역)

군(郡)은 행정 구역의 하나로, 대한민국의 군은 도 및 광역시의 하부 행정 구역이자 기초지방자치단체이.

새로운!!: 이백약와 군 (행정 구역) · 더보기 »

군벌

일본 전국시대의 가장 강력한 군벌 중 하나였던 우에스기 켄신. 군벌(軍閥, warlord)은 군대의 상부층이 자기가 가진 군사력을 배경으로, 정부·의회에 대하여 상대적 독자성을 갖고 강대한 권력과 정치권력을 장악한 경우를 말. 무장한 군대를 갖추고 특정 지역을 군사적으로 지배하며, 일반적인 경우 군벌은 공식적인 지위에 비해 실질적으로 갖고 있는 권력이 훨씬.

새로운!!: 이백약와 군벌 · 더보기 »

남북조 시대

위진 남북조 왕조들의 계통도 남북조 시대(南北朝時代: 420~589)는 한족이 세운 남조와 유목민족이 세운 북조가 대립하다, 수나라가 통일할 때까지의 시기를 말. 이 시기 강남에는 송(宋), 제(齊), 양(梁), 진(陳)의 4개 왕조가 차례로 흥망했는데, 이것을 가리켜 남조(南朝)라고 불. 또한 같은 건강(建康; 건업(建業)의 새 이름)을 수도로 삼았던 삼국시대의 오나라와 동진을 합쳐 육조(六朝)라고 불러 이 시대를 육조 시대라고 부르기도 하나, 이는 주로 문화사를 다룰 때 쓰이는 시대 구분이.

새로운!!: 이백약와 남북조 시대 · 더보기 »

남작

작(男爵, Baron, 여성형: 남작 부인(男爵 夫人, Baroness), 여남작(女男爵))은 자작의 하위로, 오등작 귀족의 마지막에 해당하는 작위이.

새로운!!: 이백약와 남작 · 더보기 »

남제서

제서(南齊書)는 남조 양나라 때인 537년에 소자현이 편찬한 것으로, 남조 제나라(479년~502년)의 역사를 담았.

새로운!!: 이백약와 남제서 · 더보기 »

딩저우 시

딩저우 시() 는 중화 인민 공화국 허베이 성 바오딩시 소속 현급시였으나 2013년부로 허베이성 성정부 직할 현급 행정구역이 되었.

새로운!!: 이백약와 딩저우 시 · 더보기 »

당 고조

당 고조 이연(唐 高祖 李淵, 566년 ~ 635년 6월 25일)은 중국 당나라의 초대 황제이.

새로운!!: 이백약와 당 고조 · 더보기 »

당 고종

당 고종(唐 高宗, 628년 7월 21일 ~ 683년 12월 27일)은 중국 당나라의 제3대 황제이.

새로운!!: 이백약와 당 고종 · 더보기 »

당 태종

당 태종 이세민(唐 太宗 李世民, 598년: 개황(開皇) 19년 1월 23일 ~ 649년: 정관(貞觀) 23년 7월 10일)은 중국 당나라의 제2대 황제이며 당 고조 이연의 두 번째 아들이.

새로운!!: 이백약와 당 태종 · 더보기 »

당나라

당(唐, 618년 ~ 907년)은 수나라 멸망 뒤 건국된 중국의 정통왕조이.

새로운!!: 이백약와 당나라 · 더보기 »

우홍

우홍은 수나라의 역사가이자 정치가이.

새로운!!: 이백약와 우홍 · 더보기 »

자 (이름)

자(字)는 한자 문화권, 특히 중국이나 한국, 일본에서 성년이 되는 관례 때 받는 이름인 관명과 함께 스스럼없이 부를 수 있도록 짓는 새로운 이름을 말. 이는 이름이 부모가 주신 것으로서 부모님이나 스승, 왕(혹은 황제)외에는 함부로 부르지 못하는 것으로 인식하던 데에 기인.

새로운!!: 이백약와 자 (이름) · 더보기 »

자작

자작(子爵, Viscount, 여성형: 자작 부인(子爵 夫人, Viscountess), 여자작(女子爵))은 귀족의 5계급 중 하나로 백작(Count) 다음 가는 관직이.

새로운!!: 이백약와 자작 · 더보기 »

장안

장안중심고루유적 장안의 위치 장안에서 발굴된 한나라 시기의 유물 주대부터 청대까지의 시안. 회색은 주의 풍경과 호경, 파란색은 진의 함양과 아방궁, 분홍색은 한대 장안, 빨간색은 당대 장안, 보라색은 송대 경조부, 노란색은 명대 이후의 시안이다. 장안()은 중국의 고도(古都)로 현재 산시 성(陝西省)의 성도(省都) 시안 시(西安市)에 해당.

새로운!!: 이백약와 장안 · 더보기 »

재상

재상(宰相, Chancellor)은 군주제에서 군주의 국정을 보좌하는 최고 책임자를 뜻. 일반적으로 근대 이전의 내각 수반을 의미하며, 근대 이후에는 행정부의 장(長)이라는 의미로 수상(首相, prime minister)이라는 칭호가 주로 사용.

새로운!!: 이백약와 재상 · 더보기 »

음양

음양(陰陽, "dark-bright" 또는 "negative-positive")은 동양의 철학적 사고의 틀이.

새로운!!: 이백약와 음양 · 더보기 »

음서

음서(蔭敍) 또는 음서제(蔭敍制)는 고려와 조선 시대에 중신 및 양반의 신분을 우대하여 친족 및 처족을 과거와 같은 선발 기준이 아닌 출신을 고려하여 관리로 사용하는 제도이.

새로운!!: 이백약와 음서 · 더보기 »

중국

중국()은 동아시아와 중앙아시아, 그리고 태평양 서부 연안의 도서 지방을 포괄하는 지명이.

새로운!!: 이백약와 중국 · 더보기 »

징촨 현

징촨 현() 은 중화 인민 공화국 간쑤 성 핑량 시의 현급 행정구역이.

새로운!!: 이백약와 징촨 현 · 더보기 »

율령격식

율령격식(律令格式)은 중국에서 수·당대에 완성한 국가적 성문법 체계이.

새로운!!: 이백약와 율령격식 · 더보기 »

수 문제

수 고조 문황제 양견(隋 高祖 文皇帝 楊堅, 541년 ~ 604년)은 중국 수나라의 초대 황제이.

새로운!!: 이백약와 수 문제 · 더보기 »

수 양제

수 세조 명황제 양광(隋 世祖 明皇帝 楊廣, 569년 ~ 618년 3월 11일)은 중국 수나라의 제2대 황제이.

새로운!!: 이백약와 수 양제 · 더보기 »

수나라

수나라와 그 외 국가 형세 수(隋, 581년 3월 4일 ~ 619년 5월 23일)는 중국 남북조 시대의 혼란을 진정시키고, 서진이 멸망한 후 분열되었던 중국을 약 300년 만에 재통일한 국. 그러나 제2대 황제인 양제 때 폭정으로 인해 약간의 혼란기를 거친 후 멸망하였고, 그 후 당나라가 중국을 재통일하였.

새로운!!: 이백약와 수나라 · 더보기 »

오례

오례(五禮)는 세종실록에 수록된 국가의례를 집대성한 것이.

새로운!!: 이백약와 오례 · 더보기 »

양소 (544년)

양소(楊素, 544년 ~ 606년)는 중국 수나라의 재상으로, 자는 처도(處道)이며 홍농군(弘農郡) 화음현(華陰縣) 사람이.

새로운!!: 이백약와 양소 (544년) · 더보기 »

역사학

역사학(歷史學) 또는 사학(史學)은 선사시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인간 활동에 관한 제반(諸般) 조사,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과거의 사료를 평가, 검증하는 과정을 통해 역사적 진실 규명을 추구하는 학문이.

새로운!!: 이백약와 역사학 · 더보기 »

허베이성

베이 성()은 중화인민공화국 북부의 성이.

새로운!!: 이백약와 허베이성 · 더보기 »

푸젠성

젠 성(복건성,, 민난어: Hok-kiàn, 민동어 Hók-gióng)은 중화인민공화국 남동부의 성이.

새로운!!: 이백약와 푸젠성 · 더보기 »

푸저우 시

저우(복주,, 민동어: Hók-ciŭ)는 중화인민공화국 푸젠 성의 성도이.

새로운!!: 이백약와 푸저우 시 · 더보기 »

산시성 (섬서성)

산시 성(섬서성)은 중화인민공화국 중부에 위치한 성이.

새로운!!: 이백약와 산시성 (섬서성) · 더보기 »

안핑 현

안핑 현() 은 중화 인민 공화국 허베이 성 헝수이 시의 행정구역이.

새로운!!: 이백약와 안핑 현 · 더보기 »

신당서

《신당서》(新唐書)는 북송 인종이 《구당서》(舊唐書)의 내용이 왜곡된 것이 많고 너무 부실하다고 하여 구양수 등에 명하여 1044년 ~ 1060년에 걸쳐 완성한 당나라의 역사를 서술한 책이.

새로운!!: 이백약와 신당서 · 더보기 »

시호

시호(諡號)는 죽은 인물에게 국가에서 내려주거나 죽은 군주에게 다음 군주가 올리는 특별한 이름으로, 동양의 군주제 국가에서 시행되었.

새로운!!: 이백약와 시호 · 더보기 »

56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백약와 564년 · 더보기 »

58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백약와 581년 · 더보기 »

59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백약와 599년 · 더보기 »

61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백약와 613년 · 더보기 »

62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백약와 627년 · 더보기 »

62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백약와 628년 · 더보기 »

63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백약와 630년 · 더보기 »

63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백약와 636년 · 더보기 »

64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백약와 647년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