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이주일 (군인)

색인 이주일 (군인)

이주일(李周一, 1918년 11월 14일 ~ 2002년 1월 28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인이.

97 처지: 만주, 만주국 육군군관학교, 만주국군,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민주공화당 (대한민국), 민주당 (대한민국, 1963년), 방원철, 백선엽, 박정희, 박종규, 박창암, 박태준 (1927년), 베이징 시, 경성군, 곽상훈, 공주 이씨, 김동하 (군인), 김봉철, 김종오, 김종필, 김신, 김홍일 (1898년), 대한민국, 대한민국 감사원, 대한민국 국군, 대한민국 제2공화국, 대한민국 제3공화국, 대한민국 제4공화국, 대한민국 육군, 대한민국 육군 보병학교, 대한민국 육군본부, 대한민국 육군대학,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 대한민국의 감사원장, 대한체육회, 국가재건최고회의, 남조선로동당, 장도영, 장면, 임병직, 임영신, 이근상 (1916년), 이낙선, 이효 (1912년), 이회창, 이후락, 일제 강점기, 제6보병사단 (대한민국), 전두환, 정구영, ..., 정일형, 차지철, 채명신, 유원식 (군인), 육군사관학교 (일본), 육영수, 윤보선, 윤치영, 태평양 전쟁, 최규하, 여운홍, 서울특별시, 송요찬, 함경북도, 한국 광복군, 한국 전쟁, 신현준 (군인), 10월, 11월 14일, 12월, 12월 16일, 12월 27일, 1918년, 1946년, 1949년, 1950년, 1952년, 1961년, 1962년, 1963년, 1964년, 1968년, 1971년, 1980년, 1월 28일, 1월 9일, 2002년, 2008년, 2월 18일, 2월 19일, 2월 27일, 3성 장군, 5·16 군사 정변, 6월, 6월 3일, 7월 3일, 9월 22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47 더) »

만주

붉은색은 둥베이(랴오닝 성, 지린 성, 헤이룽장 성) 지방이고, 조금 연한 부분은 내몽골 자치구 동부 지역, 가장 연한 부분은 외만주이다. 만주()는 동북아시아 압록강 북쪽의 광활한 지역을 일컫.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만주 · 더보기 »

만주국 육군군관학교

만주국 육군군관학교(滿洲國 陸軍軍官學校)는 만주국 육군이 육군 장교를 양성하기 위해 설치한 교육 기관이.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만주국 육군군관학교 · 더보기 »

만주국군

만주국군 장군 만주국군 장교 만주군 군악대 만주국군(滿洲國軍)은 일제의 괴뢰국인 만주국의 육군이.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만주국군 · 더보기 »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이 문서는 민족문제연구소가 2009년 11월 8일에 편찬한 친일인명사전에 수록된 자들에 관한 명단을.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 더보기 »

민주공화당 (대한민국)

민국의 시계열적 정당 지도 민주공화당(民主共和黨)은 대한민국의 보수주의, 권위주의, 협동조합주의 정당으로, 1963년 2월 26일 5·16 군사 정변을 주도한 군부 세력이 구 자유당 세력과 대한국민당 세력, 기타 정구영 등 학계와 시민사회단체 일부를 흡수하여 창당하였.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민주공화당 (대한민국) · 더보기 »

민주당 (대한민국, 1963년)

민주당(民主黨, Democratic Party)은 1963년에 창당.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민주당 (대한민국, 1963년) · 더보기 »

방원철

방원철(方圓哲, 1920년 ~ 1999년)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에서 군 활동을 한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가이.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방원철 · 더보기 »

백선엽

thumb 백선엽(白善燁, 일본식 창씨명: 시라카와 요시노리(白川義則), 1920년 11월 23일 ~)은 일제강점기 만주국의 간도특설대 군인 장교이자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인, 외교관, 기업인, 교육인이며 사회운동가이.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백선엽 · 더보기 »

박정희

박정희(朴正熙, 1917년 11월 14일 ~ 1979년 10월 26일)는 대한민국의 제5·6·7·8·9대 대통령이.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박정희 · 더보기 »

박종규

박종규(朴鐘圭, 1930년 5월 28일 ~ 1985년 12월 3일)는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가, 체육행정가이.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박종규 · 더보기 »

박창암

박창암(朴蒼巖, 1923년 5월 15일 ~ 2003년 11월 10일)은 만주군 간도특설대 하사관 출신의 대한민국 육군 군인·정치가·역사가·언론인·저술가이.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박창암 · 더보기 »

박태준 (1927년)

박태준(朴泰俊, 1927년 10월 24일 ~ 2011년 12월 13일)은 대한민국의 군인이자 기업가, 정치가, 학교법인인이.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박태준 (1927년) · 더보기 »

베이징 시

베이징(북경)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수도이.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베이징 시 · 더보기 »

경성군

경성군(鏡城郡)은 함경북도 중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경성군 · 더보기 »

곽상훈

곽상훈(郭尙勳, 1896년 10월 21일 ~ 1980년 1월 19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1~5대 국회의원을 지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곽상훈 · 더보기 »

공주 이씨

공주 이씨(公州 李氏)는 충청남도 공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공주 이씨 · 더보기 »

김동하 (군인)

동하(金東河, 일본식 이름: 金森武雄 가네모리 다케오, 1920년 4월 15일 ~ 1993년 12월 3일)는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가, 체육인, 체육행정가이.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김동하 (군인) · 더보기 »

김봉철

봉철(金奉哲, 1942년 5월 2일 -)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김봉철 · 더보기 »

김종오

종오(金鍾五, 1921년 5월 22일 ~ 1966년 3월 30일)는 대한민국의 군인 겸 정치가이.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김종오 · 더보기 »

김종필

종필(金鍾泌, 1926년 1월 7일 ~ 2018년 6월 23일)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김종필 · 더보기 »

김신

신은 다음 사람을 가리.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김신 · 더보기 »

김홍일 (1898년)

홍일(金弘壹, 1898년 9월 23일 ~ 1980년 8월 8일)은 중화민국 육군 군인이자 일제 강점기 한국 독립운동가 출신 대한민국의 군인 겸 정치가이.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김홍일 (1898년) · 더보기 »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대한민국 · 더보기 »

대한민국 감사원

사원(監査院,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약칭: BAI)은 국가의 세입·세출의 결산, 국가 및 법률이 정한 단체의 회계검사와 행정기관 및 공무원의 직무에 관한 감찰을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대한민국 감사원 · 더보기 »

대한민국 국군

민국 국군(大韓民國 國軍)은 1948년 8월 15일에 창설된 대한민국의 군대이.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대한민국 국군 · 더보기 »

대한민국 제2공화국

제2공화국을 이끌었던 장면 총리 제2공화국(第二共和國)은 1960년 6월 15일부터 1961년 5월 16일까지 불과 11개월간 존속했던 대한민국의 두 번째 공화 헌정체제이.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대한민국 제2공화국 · 더보기 »

대한민국 제3공화국

제3공화국(第三共和國)은 1961년 5·16 군사정변에 의한 군정 아래에서 1962년 12월 17일에 실시된 국민 투표로 공포, 시행된 헌법에 따라 설립한 대한민국의 세 번째 공화 헌정 체제이.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대한민국 제3공화국 · 더보기 »

대한민국 제4공화국

제4공화국(第四共和國)은 1972년 10월 유신으로 수립된 대한민국의 네 번째 공화 헌정 체제이.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대한민국 제4공화국 · 더보기 »

대한민국 육군

3사단 수색부대 대한민국 육군(大韓民國 陸軍)은 대한민국의 지상군 전력으로서 대한민국 국군(國軍)의 3군 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예산도 가장 많. 2017년 12월 기준으로 대한민국 육군에는 39개 사단(기계화 보병 사단 6개수도, 8, 11, 20, 26, 30, 보병 사단 16개, 향토 방위 사단 12개, 동원 보병 사단 5개)으로 이루어져 있.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대한민국 육군 · 더보기 »

대한민국 육군 보병학교

육군보병학교(陸軍步兵學校)는 대한민국의 군사교육기관으로, 전라남도 장성군에 있.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대한민국 육군 보병학교 · 더보기 »

대한민국 육군본부

육군본부(陸軍本部, Republic of Korea Army Headquarters, 약칭: 육본)는 대한민국 육군을 총괄하는 기구이.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대한민국 육군본부 · 더보기 »

대한민국 육군대학

육군대학(陸軍大學)은 대한민국 군사 관련 대학이.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대한민국 육군대학 · 더보기 »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

육군사관학교(陸軍士官學校)는 대한민국 육군 장교 양성 기관이며, 서울특별시 노원구에 있. 화랑대(花郞臺)라는 별칭으로도 불린.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 · 더보기 »

대한민국의 감사원장

사원장(監査院長)은 감사원을 대표하는 직위로, 부총리급 정무직공무원으로 보. 대통령 소속기관이지만 직무상 독립되어 있으며, 임기가 보장되어 정치적 중립성을 확보하는 장치를 두고 있.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대한민국의 감사원장 · 더보기 »

대한체육회

육회(大韓體育會, Korean Sport & Olympic Committee)는 체육 운동의 범국민화 및 우수 선수 양성으로 국위 선양과 민족 문화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1920년 7월 13일 전신인 조선체육회로 설립되어 대한체육회로 설립된 문화체육관광부 소관의 특수법인이며, 대한민국의 아마추어 스포츠 단체를 총괄, 지도하는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기타공공기관이.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대한체육회 · 더보기 »

국가재건최고회의

5월 20일, 중앙청 광장에서 포고하는 장도영과 박정희 국가재건최고회의(國家再建最高會議)는 대한민국에서 5·16 군사 정변 이후 정변 주도세력이 5월 18일에 '군사혁명위원회'에서 이름을 바꾸어 발족시킨 입법·행정·사법의 3권을 행사했던 통치기구이.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국가재건최고회의 · 더보기 »

남조선로동당

조선로동당(南朝鮮勞動黨), 줄여서 남로당은 1946년 11월 23일 서울에서 조선공산당, 남조선신민당, 조선인민당의 합당으로 결성된 공산주의 정당이.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남조선로동당 · 더보기 »

장도영

장도영(張都暎, 1923년 1월 23일 ~ 2012년 8월 3일)은 대한민국의 군인이자 정치가이.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장도영 · 더보기 »

장면

장면(張勉 1899년 8월 28일 ~ 1966년 6월 4일)은 일제 강점기의 교육자·종교가·번역가·출판인·문인·저술가이자 대한민국의 종교가·외교관·교육자·정치인이.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장면 · 더보기 »

임병직

임병직(林炳稷, 1893년 10월 26일 ~ 1976년 9월 21일)은 한때 미국 영구거주권을 취득한 전력이 있는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겸 군인이며 정치가 겸 외교관이었.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임병직 · 더보기 »

임영신

임영신(任永信, 1899년 11월 20일 ~ 1977년 2월 17일)은 한국의 교육자 및 정치인이.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임영신 · 더보기 »

이근상 (1916년)

이근상(李根祥, 일본식 이름: 大山淸吾, 1916년 11월 7일 ~ 1990년 6월 28일)은 일제 강점기와 군정기의 법조인이며, 대한민국 감사원의 원장 직무대행을.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이근상 (1916년) · 더보기 »

이낙선

이낙선(李洛善, 1927년 ~ 1987년)은 경북 안동 태생으로 국세청장, 건설부장관을 지낸 전 공무원이.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이낙선 · 더보기 »

이효 (1912년)

이효(李曉, 1912년 8월 18일 ~ 1992년 7월 4일)은 대한민국의 군인, 기업가, 체육행정가이며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소장이.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이효 (1912년) · 더보기 »

이회창

이회창(李會昌, 1935년 6월 2일 ~)은 대한민국의 대법관 출신 정치인이.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이회창 · 더보기 »

이후락

이후락(李厚洛, 1924년 2월 23일 ~ 2009년 10월 31일)은 대한민국의 군인을 지낸 외교관 겸 정치가이.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이후락 · 더보기 »

일제 강점기

일제강점기(1910년 8월 29일 ~ 1945년 8월 15일)는 한국의 역사에서 한국의 근현대사를 시대별로 나누었을 때 주요 시대 중 하나로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가 일본 제국의 식민 지배 아래 놓였던 시기이.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일제 강점기 · 더보기 »

제6보병사단 (대한민국)

제6보병사단(第六步兵師團, The 6th Infantry Division, 별명: 청성부대)는 1948년 11월 20일에 창설된 대한민국 육군 보병 사단이.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제6보병사단 (대한민국) · 더보기 »

전두환

전두환 (全斗煥, 1931년 1월 18일 ~)은 대한민국 제11•12대 대통령이.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전두환 · 더보기 »

정구영

정구영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정구영 · 더보기 »

정일형

정일형(鄭一亨, 1904년 2월 23일 ~ 1982년 4월 25일)은 대한민국의 관료이며 정치인이다. 미군정기 때 미군정청 인사행정처장과 물자행정처장을 지냈으며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야당에서 활약하였다. 제2공화국의 두 번째 외무부 장관이었으며, 5·16 군사 정변 이후 실각하였다. 한민당의 창당 멤버이자 민주당의 당원이었으나, 민주당 신파로 분류되었다. 그러나 신파의 영수였던 국무총리 장면과의 사이는 원만하지 못했다. 한국 초기 여성 변호사인 이태영의 남편이자, 정치인 정대철의 아버지이자 정치인 정호준의 할아버지이며, 이윤영의 처조카였다. 호(號)는 금연(錦淵)이다.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정일형 · 더보기 »

차지철

(車智澈, 1934년 11월 16일 ~ 1979년 10월 26일)은 대한민국의 군인이자 정치가이며 정무직공무원이.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차지철 · 더보기 »

채명신

명신(蔡命新, 1926년 11월 27일 ~ 2013년 11월 25일)은 대한민국의 군인 출신 외교관·공무원·정치가·체육인·사회기관단체인으로 6·25 전쟁과 월남전쟁의 지휘관으로 참전하였.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채명신 · 더보기 »

유원식 (군인)

유원식(柳原植, 1914년? ~ 1987년 1월 31일)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군인이.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유원식 (군인) · 더보기 »

육군사관학교 (일본)

육군사관학교()는 일본 제국 육군의 병과 장교를 양성하는 교육 기관이었.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육군사관학교 (일본) · 더보기 »

육영수

육영수(陸英修, 1925년 11월 29일 ~ 1974년 8월 15일)는 대한민국의 제5·6·7·8·9대 대통령을 지낸 박정희의 부인이.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육영수 · 더보기 »

윤보선

윤보선(尹潽善, 1897년 8월 26일 ~ 1990년 7월 18일)은 대한민국의 제4대 대통령을 역임한 정치인이.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윤보선 · 더보기 »

윤치영

윤치영(尹致暎, 1898년 2월 10일 ~ 1996년 2월 9일)은 대한민국의 친일파겸 사상가, 정치인, 언론인이.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윤치영 · 더보기 »

태평양 전쟁

평양 전쟁, 또는 때때로 아시아-태평양 전쟁,은 제2차 세계 대전의 전역 중 하나로 태평양과 동아시아에서 벌어진 전쟁이.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태평양 전쟁 · 더보기 »

최규하

(崔圭夏, 1919년 7월 16일 ~ 2006년 10월 22일)는 대한민국의 제10대 대통령이.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최규하 · 더보기 »

여운홍

여운홍(呂運弘, 1891년 9월 1일 ~ 1973년 2월 3일)은 대한민국의 정치가이며 아호는 근농(勤農)이.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여운홍 · 더보기 »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는 대한민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서울특별시 · 더보기 »

송요찬

송요찬(宋堯讚, 1918년 2월 13일 ~ 1980년 10월 18일 오후 9시 (미국 시카고 현지 시간))은 일제 강점기의 군인이며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가이.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송요찬 · 더보기 »

함경북도

경북도(咸鏡北道)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북동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함경북도 · 더보기 »

한국 광복군

광복군 성립 전례식에서의 김구(통수권자)와 지청천(총사령관) 해방 후 어느 광복군(1946년) 한국 광복군(韓國 光復軍)은 1940년 9월 17일 중화민국 충칭에서 조직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정규군이.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한국 광복군 · 더보기 »

한국 전쟁

국 전쟁(韓國戰爭)은 1950년 6월 25일 새벽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대한민국을 침공하여 발발한 전쟁이.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한국 전쟁 · 더보기 »

신현준 (군인)

신현준(申鉉俊, 1915년 10월 23일 ~ 2007년 10월 15일)은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가, 외교관이.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신현준 (군인) · 더보기 »

10월

10월(十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열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평년인 경우 이 달과 그 해의 1월은 같은 요일로 시작하고 같은 요일로 끝나고 2월하고도 항상 같은 요일로 끝. 그 다음 해가 윤년일 경우에는 그 다음해 9월과 12월과 같은 요일로 시작.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10월 · 더보기 »

11월 14일

11월 1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18번째(윤년일 경우 31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11월 14일 · 더보기 »

12월

12월(十二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마지막 달이며, 31일까지 있. 한국, 일본, 중국, 미국에서는 이 달을 대체로 겨울의 시작으로 본. 오스트레일리아나 뉴질랜드는 여름이.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12월 · 더보기 »

12월 16일

12월 1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50번째(윤년일 경우 35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12월 16일 · 더보기 »

12월 27일

12월 2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61번째(윤년일 경우 36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12월 27일 · 더보기 »

1918년

1918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1918년 · 더보기 »

1946년

1946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1946년 · 더보기 »

1949년

1949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1949년 · 더보기 »

1950년

한국 전쟁 중 아주머니와 아이가 땔깜용 파편을 구하는 모습. 1950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1950년 · 더보기 »

1952년

1952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1952년 · 더보기 »

1961년

1961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1961년 · 더보기 »

1962년

1962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1962년 · 더보기 »

1963년

1963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1963년 · 더보기 »

1964년

1964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1964년 · 더보기 »

1968년

1968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1968년 · 더보기 »

1971년

1971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1971년 · 더보기 »

1980년

1980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1980년 · 더보기 »

1월 28일

1월 2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8번째(윤년일 경우도 2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1월 28일 · 더보기 »

1월 9일

1월 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9번째(윤년일 경우도 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1월 9일 · 더보기 »

2002년

2002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며, 이 해는 21세기의 첫 대규모 행사의 해이.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2002년 · 더보기 »

2008년

2008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2008년 · 더보기 »

2월 18일

2월 1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49번째(윤년일 경우도 4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2월 18일 · 더보기 »

2월 19일

2월 1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50번째(윤년일 경우도 5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2월 19일 · 더보기 »

2월 27일

2월 2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58번째(윤년일 경우도 5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2월 27일 · 더보기 »

3성 장군

NATO 중장 계급의 휘장Note: This rank insignia is not worn in all NATO armed forces. 3성 장군(3 star general), 3성 제독(3 star admiral) 또는 3성 계급(3 star rank)은 나토 계급 부호 OF-8로 대부분의 군대에서 상급 지휘관을 가리키는데 사용하는 용어이.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3성 장군 · 더보기 »

5·16 군사 정변

5·16 군사 쿠데타(五一六軍事 coup d’État)는 1961년 5월 15일 저녁부터 1961년 5월 18일 정오 무렵까지 서울, 부산, 대전, 광주, 김포, 부평, 수색, 포천 등에서 쿠데타를 목적으로 일어난 유혈 군사반란을 말한다. 주동자는 서울을 관할하는 제6 관구의 전 사령관이었던 박정희로 밝혀졌으며 그는 미국에 의해 지방으로 좌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삼군의 참모총장 몰래 십수명의 장성 및 수십명의 핵심 영관급 장교들과의 사전모의를 통하여 무력으로 정권을 탈취하고자 하였다. 사전에 참여 병력으로는 김포 공수단 10000000여명, 해병 제1여단 1300여명, 6관구 사령부 소속 병력 1700여명, 김형욱 회고록 p.184 "혁명 장교들이 인솔하는 해병대 1300명, 공수단 1000여명 및 6관구 병력 등 도합 4000여명이었다."제6군단 포병단 5개대대 3000여명과 제5사단(사단장 채명신 준장이 이끌고 서울 진주), 제12사단(사단장 박춘신 준장과 부사단장 및 작전참모가 이끌고 춘천 진주), 제30사단(부사단장, 작전참모, 헌병부장이 사단 이끌고 서울 진주), 제33사단(작전참모, 연대장 등이 이끌고 서울 진주), 그리고 2군을 비롯한 지방에 있던 여러 장교들까지 수만명에 이르렀다. 제2공화국은 이를 진압하고자 했으나, 공병대를 제외하고, 서울 인근에 있는 모든 전투 군부대가 이미 반란군에게 장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평시작전 통제권을 쥐고 있던 주한미군 총사령관이 불개입 의사를 표시하고 2군단장 등이 사후동조를 하면서 휴전선 인근의 일선부대를 대거 차출해야 했던바 진압을 고의적으로 포기해버렸다. 이 사건의 결과로 한명의 민간인과 십여명 이상의 군인이 죽거나 다쳤으며 제2공화국은 와해되고 군인들이 세운 국가재건최고회의가 삼권을 장악해 3여년간의 군부독재를 실시하였다.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5·16 군사 정변 · 더보기 »

6월

6월(六月)은 에서 한 해의 여섯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는 네개의 달중 하나이.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6월 · 더보기 »

6월 3일

6월 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54번째(윤년일 경우 15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6월 3일 · 더보기 »

7월 3일

7월 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84번째(윤년일 경우 18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7월 3일 · 더보기 »

9월 22일

9월 2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65번째(윤년일 경우 26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주일 (군인)와 9월 22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이주일 (1918년).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