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이준형 (1875년)

색인 이준형 (1875년)

이준형(李濬衡, 1875년 4월 21일 ~ 1942년 10월 12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

40 처지: 독립운동, 류허 현, 만주, 건국훈장, 경상도, 경상북도독립운동기념관, 경학사, 고성 이씨, 부민단, 김대락, 대한민국, 대한민국 국가보훈처,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수반 목록, 대한협회, 국립대전현충원, 임시 정부, 이병화, 이광민, 이광국, 이봉희, 이운형, 이승화 (1876년), 이상동, 이상룡 (1858년), 이형국, 을사조약, 정의부, 조선, 지린성, 유교, 태평양 전쟁, 서로군정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안동 임청각, 안동시, 압록강, 10월 12일, 1875년, 1942년, 4월 21일.

독립운동

독립운동(獨立運動,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또는 해방운동(解放運動)은 어떤 국가 또는 세력의 직·간접적인 지배를 받는 지역에서 자치권 등의 권한을 얻거나, 스스로의 국가 또는 세력을 세우기 위해 벌이는 모든 행위를 말. 그러므로 국가의 독립은 기존 국가에 속한 일부 지역이나 타국의 지배하에 있던 영역이, 그 지배를 벗어나 새로운 국가로 성립하는 것을 의미.

새로운!!: 이준형 (1875년)와 독립운동 · 더보기 »

류허 현

현() 은 중화 인민 공화국 지린 성 퉁화 시의 행정구역이.

새로운!!: 이준형 (1875년)와 류허 현 · 더보기 »

만주

붉은색은 둥베이(랴오닝 성, 지린 성, 헤이룽장 성) 지방이고, 조금 연한 부분은 내몽골 자치구 동부 지역, 가장 연한 부분은 외만주이다. 만주()는 동북아시아 압록강 북쪽의 광활한 지역을 일컫.

새로운!!: 이준형 (1875년)와 만주 · 더보기 »

건국훈장

여운형의 건국훈장 훈장증 건국훈장(建國勳章)은 〈상훈법〉 제11조에 따라 대한민국의 건국에 공로가 뚜렷하거나, 국가의 기초를 공고히 하는 데에 이바지한 공적이 뚜렷한 사람에게 수여하는 대한민국의 훈장이.

새로운!!: 이준형 (1875년)와 건국훈장 · 더보기 »

경상도

경상도 경상도(慶尙道)는 경상남도, 경상북도와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울산광역시 일대를 관할했던 행정 구역으로 영남 지방(嶺南地方)에 해당.

새로운!!: 이준형 (1875년)와 경상도 · 더보기 »

경상북도독립운동기념관

경상북도독립운동기념관은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소재의 독립 기념관이.

새로운!!: 이준형 (1875년)와 경상북도독립운동기념관 · 더보기 »

경학사

경학사(耕學社)는 한국의 독립운동단체이.

새로운!!: 이준형 (1875년)와 경학사 · 더보기 »

고성 이씨

성 이씨(固城 李氏)는 경상남도 고성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이준형 (1875년)와 고성 이씨 · 더보기 »

부민단

부민단(扶民團)은 한국의 독립운동단체이.

새로운!!: 이준형 (1875년)와 부민단 · 더보기 »

김대락

락(金大洛, 1845년 ~ 1914년)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이준형 (1875년)와 김대락 · 더보기 »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이준형 (1875년)와 대한민국 · 더보기 »

대한민국 국가보훈처

국가보훈처(國家報勳處,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약칭: 보훈처, MPVA)는 국가유공자 및 그 유족에 대한 보훈, 제대군인의 보상·보호 및 보훈선양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

새로운!!: 이준형 (1875년)와 대한민국 국가보훈처 · 더보기 »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수반 목록

민국 임시 정부의 수반 목록은 대한민국 임시 정부가 존재하던 기간의 대통령, 국무령, 주석의 명단이.

새로운!!: 이준형 (1875년)와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수반 목록 · 더보기 »

대한협회

협회(大韓協會)는 대한 제국 시기인 1907년 11월 10일에 결성된 애국 계몽 운동 계열의 정치 단체이.

새로운!!: 이준형 (1875년)와 대한협회 · 더보기 »

국립대전현충원

현충문 홍살문 국립대전현충원(國立大田顯忠院, Daejeon National Cemetery)은 대한민국 국가보훈처의 소속기관이.

새로운!!: 이준형 (1875년)와 국립대전현충원 · 더보기 »

임시 정부

임시 정부(臨時政府)는 종전의 정부가 무너진 후, 무정부 상태를 해소하기 위해 임시로 구성된 정부를 말. 다른 나라의 침략 등으로 해외에 세워진 망명 정부를 임시 정부라고 칭.

새로운!!: 이준형 (1875년)와 임시 정부 · 더보기 »

이병화

이병화(李炳華, 1906년 2월 26일 ~ 1952년 6월 8일)는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이준형 (1875년)와 이병화 · 더보기 »

이광민

이광민(李光民 1895년 ~ 1945년 10월 18일)은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이준형 (1875년)와 이광민 · 더보기 »

이광국

이광국(李光國 1903년 ~ ?)은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이준형 (1875년)와 이광국 · 더보기 »

이봉희

이봉희(李鳳羲 1868년 10월 15일 ~ 1937년 1월 28일)는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이준형 (1875년)와 이봉희 · 더보기 »

이운형

이운형(李運衡 1891년 3월 24일 ~ 1972년 3월6일)은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개신교 목사이.

새로운!!: 이준형 (1875년)와 이운형 · 더보기 »

이승화 (1876년)

이승화(李承和 1876년 8월 2일 ~ 1937년)는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이준형 (1875년)와 이승화 (1876년) · 더보기 »

이상동

이상동(李相東 1865년 11월 4일 ~ 1951년 11월 29일)은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이준형 (1875년)와 이상동 · 더보기 »

이상룡 (1858년)

이상룡(李相龍, 1858년 12월 28일 ~ 1932년 6월 15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며 본관은 고성(固城)이고 1925년 9월 24일부터 1926년 1월까지 대한민국 임시정부 초대 국무령을 역임하였.

새로운!!: 이준형 (1875년)와 이상룡 (1858년) · 더보기 »

이형국

이형국(李衡國 1883년 12월 12일 ~ 1937년 3월 27일)은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이준형 (1875년)와 이형국 · 더보기 »

을사조약

중명전에 전시된 을사조약 문서 을사조약(乙巳條約) 혹은 제2차 한일 협약(第二次韓日協約)은 1905년 11월 17일 대한제국의 외부대신 박제순과 일본 제국의 주한 공사 하야시 곤스케에 의해 체결된 불평등 조약이.

새로운!!: 이준형 (1875년)와 을사조약 · 더보기 »

정의부

정의부(正義府)는 1924년 만주에서 조직되었던 항일 무장독립운동 단체, 군정부(軍政府)이.

새로운!!: 이준형 (1875년)와 정의부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이준형 (1875년)와 조선 · 더보기 »

지린성

림성()은 중화인민공화국 동북부의 성이.

새로운!!: 이준형 (1875년)와 지린성 · 더보기 »

유교

유교(儒敎)는 중국 춘추시대(기원전 770~403) 말기에 공자(孔子)가 체계화한 사상인 유학(儒學)의 학문을 이르는 말이.

새로운!!: 이준형 (1875년)와 유교 · 더보기 »

태평양 전쟁

평양 전쟁, 또는 때때로 아시아-태평양 전쟁,은 제2차 세계 대전의 전역 중 하나로 태평양과 동아시아에서 벌어진 전쟁이.

새로운!!: 이준형 (1875년)와 태평양 전쟁 · 더보기 »

서로군정서

서로군정서(西路軍政署)는 서간도 혹은 남만주에 있던 한국의 독립혁명단체이.

새로운!!: 이준형 (1875년)와 서로군정서 · 더보기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韓國民族文化大百科事典,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은 한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체계적으로 정리, 집대성하여 편찬한 백과사전이.

새로운!!: 이준형 (1875년)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더보기 »

안동 임청각

안동 임청각(安東 臨淸閣)은 경상북도 안동시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이준형 (1875년)와 안동 임청각 · 더보기 »

안동시

안동시(安東市)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중북부에 있는 시이자, 경상북도청 소재지이.

새로운!!: 이준형 (1875년)와 안동시 · 더보기 »

압록강

'''압록강'''(鴨綠江) 압록강(鴨綠江)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중화인민공화국의 국경을 이루는 한반도 북서부의 강이.

새로운!!: 이준형 (1875년)와 압록강 · 더보기 »

10월 12일

10월 1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85번째(윤년일 경우 28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준형 (1875년)와 10월 12일 · 더보기 »

1875년

1875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준형 (1875년)와 1875년 · 더보기 »

1942년

1942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준형 (1875년)와 1942년 · 더보기 »

4월 21일

4월 2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11번째(윤년일 경우 11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준형 (1875년)와 4월 21일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