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이천우 선생 묘 및 신도비

색인 이천우 선생 묘 및 신도비

이천우 선생 묘 및 신도비는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성석동에 있는 무덤이.

17 처지: 경기도, 고려 공민왕, 고봉동, 고봉로 (고양 파주), 고양시, 고양시의 향토유적, 곡장, 이천우 (1354년), 일산동구, 정경부인, 조선, 조선 태조, 석등, 왜구, 완풍대군, 1986년, 6월 16일.

경기도

경기도(京畿道)는 대한민국의 북서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이천우 선생 묘 및 신도비와 경기도 · 더보기 »

고려 공민왕

공민왕(恭愍王, 1330년 5월 23일 (음력 5월 6일) ~ 1374년 10월 27일 (음력 9월 22일), 재위: 1351년 ~ 1374년)은 고려의 제31대 국왕이.

새로운!!: 이천우 선생 묘 및 신도비와 고려 공민왕 · 더보기 »

고봉동

봉동(高烽洞)은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에 있는 행정동이.

새로운!!: 이천우 선생 묘 및 신도비와 고봉동 · 더보기 »

고봉로 (고양 파주)

봉로는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장항동와 경기도 파주시 조리읍 봉일천리와 있는 대한민국의 도로이.

새로운!!: 이천우 선생 묘 및 신도비와 고봉로 (고양 파주) · 더보기 »

고양시

양시청 고양시(高陽市)는 대한민국 경기도의 북서부에 위치하고 있는 시이.

새로운!!: 이천우 선생 묘 및 신도비와 고양시 · 더보기 »

고양시의 향토유적

양시의 향토유적은 고양시에서 지정한 문화재이.

새로운!!: 이천우 선생 묘 및 신도비와 고양시의 향토유적 · 더보기 »

곡장

곡장(曲墻)은 성곽의 시설 중 하나로, 방어적으로 중요한 지점에 성곽 일부분을 둥글게 돌출시킨 것을 말. 치성과는 비슷하지만 다르.

새로운!!: 이천우 선생 묘 및 신도비와 곡장 · 더보기 »

이천우 (1354년)

이천우(李天祐, 1354년 ∼ 1417년(태종 17년))는 고려 말기의 문신(文臣) 겸 무신(武臣)이며, 조선 초기의 문신, 무신, 군인이자 조선의 왕족 종실(王族 宗室)이.

새로운!!: 이천우 선생 묘 및 신도비와 이천우 (1354년) · 더보기 »

일산동구

일산동구(一山東區)는 대한민국 경기도 고양시의 구이.

새로운!!: 이천우 선생 묘 및 신도비와 일산동구 · 더보기 »

정경부인

정경부인(貞敬夫人)은 조선 시대 정일품 종친의 부인 혹은 종일품 종친의 부인에게 주던 내명부 관등 봉작 작위(爵位)이.

새로운!!: 이천우 선생 묘 및 신도비와 정경부인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이천우 선생 묘 및 신도비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태조

조선 태조(朝鮮 太祖, 1335년 10월 27일 (음력 10월 11일) ~ 1408년 6월 18일 (음력 5월 24일), 재위: 1392년 8월 5일 (음력 7월 17일) ~ 1398년 10월 14일 (음력 9월 5일))는 고려 말의 무신 겸 정치가이자 조선의 초대 왕이.

새로운!!: 이천우 선생 묘 및 신도비와 조선 태조 · 더보기 »

석등

보은 법주사 쌍사자 석등, 대한민국의 국보 제5호로 불교 사찰 법주사 경내에 세워져 있다. 석등(石燈) 은 돌로 만든 등기구를 말. 석등롱(石燈籠) 또는 장명등(長命燈)이라고도 한며, 사찰의 경내·능묘(陵墓) 앞 등에 세운.

새로운!!: 이천우 선생 묘 및 신도비와 석등 · 더보기 »

왜구

16세기 왜구들의 활동 범위 왜구들의 약탈을 그린 회화 (16세기) 왜구(倭寇)는 통상적으로 고려와 원나라의 연합군이 일본 열도 침략에 실패한 이후인 13세기부터 16세기에 걸쳐 한반도와 중국 대륙의 연안부나 일부 내륙 지역을 약탈하고 밀무역을 행하던 무리를 가리.

새로운!!: 이천우 선생 묘 및 신도비와 왜구 · 더보기 »

완풍대군

완풍대군(完豊大君, 1330년 ~ 1388년 10월 23일) 또는 완산군(完山君)은 고려 시대 후기의 무신·군인·관료·시인 이며 환조 이자춘의 아들이자 조선 태조 이성계의 이복 형으로 이름은 이원계(李元桂), 호(號)는 불사재(不思齋)이.

새로운!!: 이천우 선생 묘 및 신도비와 완풍대군 · 더보기 »

1986년

1986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천우 선생 묘 및 신도비와 1986년 · 더보기 »

6월 16일

6월 1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67번째(윤년일 경우 16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천우 선생 묘 및 신도비와 6월 16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이천우선생묘 및 신도비.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