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이홍렬 (정치인)

색인 이홍렬 (정치인)

이홍렬(李泓烈)은 대한민국의 정치인, 외교관이었.

21 처지: 미국, 박순천, 곽상훈, 대한민국, 대한민국 국무총리실, 대한민국 제1공화국, 대한민국 제2공화국, 대한민국의 국무총리, 국무총리 특별보좌관, 장면, 장준하, 정일형, 정헌주, 주미국 대한민국 대사관, 주요한, 윤보선, 현석호, 선우종원, 1951년, 1956년, 5·16 군사 정변.

미국

미합중국(美合衆國,, U.S.A.), 약칭 합중국(U.S.) 또는 미국(美國)은 주 50개와 특별구 1개로 이루어진 연방제 공화국이.

새로운!!: 이홍렬 (정치인)와 미국 · 더보기 »

박순천

박순천(朴順天, 1898년 10월 24일(음력 9월 10일) ~ 1983년 1월 9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교육자이며 대한민국의 저술가, 여성운동가, 정치인이.

새로운!!: 이홍렬 (정치인)와 박순천 · 더보기 »

곽상훈

곽상훈(郭尙勳, 1896년 10월 21일 ~ 1980년 1월 19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1~5대 국회의원을 지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이홍렬 (정치인)와 곽상훈 · 더보기 »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이홍렬 (정치인)와 대한민국 · 더보기 »

대한민국 국무총리실

국무총리실(國務總理室, Prime Minister's Office)은 국무총리의 직무를 보좌하고, 각 행정기관의 지휘·감독, 사회위험·갈등·현안과제의 관리, 규제 개혁 및 국무총리가 특별히 지시하는 사항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었.

새로운!!: 이홍렬 (정치인)와 대한민국 국무총리실 · 더보기 »

대한민국 제1공화국

민국 제1공화국(第一共和國)은 대한민국 제헌 헌법에 의해 1948년 8월 15일 이승만 정부가 수립되어 1960년 4·19 혁명으로 대한민국 제2공화국이 탄생하기 전까지 지속된 첫 번째 공화 헌정 체제이.

새로운!!: 이홍렬 (정치인)와 대한민국 제1공화국 · 더보기 »

대한민국 제2공화국

제2공화국을 이끌었던 장면 총리 제2공화국(第二共和國)은 1960년 6월 15일부터 1961년 5월 16일까지 불과 11개월간 존속했던 대한민국의 두 번째 공화 헌정체제이.

새로운!!: 이홍렬 (정치인)와 대한민국 제2공화국 · 더보기 »

대한민국의 국무총리

국무총리의 휘장 국무총리(國務總理)는 대한민국의 정무직 공무원으로 현행 대한민국 헌법 하에서 대통령을 보좌하며, 행정에 관하여 대통령의 명령을 받아 행정 각부를 통할(통괄 및 관할)하는 역할을 맡는다(헌법 제86조 제2항).

새로운!!: 이홍렬 (정치인)와 대한민국의 국무총리 · 더보기 »

국무총리 특별보좌관

국무총리 특별보좌관은 대한민국 국무총리를 보좌하는 직책으로 직급은 장관급 또는 차관급 정무직 공무원이.

새로운!!: 이홍렬 (정치인)와 국무총리 특별보좌관 · 더보기 »

장면

장면(張勉 1899년 8월 28일 ~ 1966년 6월 4일)은 일제 강점기의 교육자·종교가·번역가·출판인·문인·저술가이자 대한민국의 종교가·외교관·교육자·정치인이.

새로운!!: 이홍렬 (정치인)와 장면 · 더보기 »

장준하

장준하(張俊河, 1918년 8월 27일 ~ 1975년 8월 17일)는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의 정치가, 종교인, 언론인, 사회운동가이.

새로운!!: 이홍렬 (정치인)와 장준하 · 더보기 »

정일형

정일형(鄭一亨, 1904년 2월 23일 ~ 1982년 4월 25일)은 대한민국의 관료이며 정치인이다. 미군정기 때 미군정청 인사행정처장과 물자행정처장을 지냈으며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야당에서 활약하였다. 제2공화국의 두 번째 외무부 장관이었으며, 5·16 군사 정변 이후 실각하였다. 한민당의 창당 멤버이자 민주당의 당원이었으나, 민주당 신파로 분류되었다. 그러나 신파의 영수였던 국무총리 장면과의 사이는 원만하지 못했다. 한국 초기 여성 변호사인 이태영의 남편이자, 정치인 정대철의 아버지이자 정치인 정호준의 할아버지이며, 이윤영의 처조카였다. 호(號)는 금연(錦淵)이다.

새로운!!: 이홍렬 (정치인)와 정일형 · 더보기 »

정헌주

정헌주(鄭憲柱, 1915년 9월 23일 ~ 1999년 5월 21일)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이홍렬 (정치인)와 정헌주 · 더보기 »

주미국 대한민국 대사관

주미국 대한민국 대사관 주미국 대한민국 대사관(駐美國大韓民國大使館; Embassy of South Korea, Washington, D.C.)은 1949년 미국 워싱턴 D.C.에 개설된 대한민국 외교부 소속의 대사관이.

새로운!!: 이홍렬 (정치인)와 주미국 대한민국 대사관 · 더보기 »

주요한

주요한(朱曜翰, 일본식 이름: 松村紘一(마쓰무라 고이치), 1900년 12월 5일 ~ 1979년 11월 17일)은 일제 강점기에 활동한 사회운동가·시인·언론인, 개신교 목사이며 극작가이고,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이홍렬 (정치인)와 주요한 · 더보기 »

윤보선

윤보선(尹潽善, 1897년 8월 26일 ~ 1990년 7월 18일)은 대한민국의 제4대 대통령을 역임한 정치인이.

새로운!!: 이홍렬 (정치인)와 윤보선 · 더보기 »

현석호

현석호(玄錫虎, 1907년 5월 23일 ~ 1988년 12월 2일)는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며 대한민국의 외교관, 정치가이.

새로운!!: 이홍렬 (정치인)와 현석호 · 더보기 »

선우종원

선우종원(鮮于宗源, 1918년 2월 17일 ~ 2014년 3월 8일)은 사상검사로 활약한 법조인이.

새로운!!: 이홍렬 (정치인)와 선우종원 · 더보기 »

1951년

1951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홍렬 (정치인)와 1951년 · 더보기 »

1956년

1956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이홍렬 (정치인)와 1956년 · 더보기 »

5·16 군사 정변

5·16 군사 쿠데타(五一六軍事 coup d’État)는 1961년 5월 15일 저녁부터 1961년 5월 18일 정오 무렵까지 서울, 부산, 대전, 광주, 김포, 부평, 수색, 포천 등에서 쿠데타를 목적으로 일어난 유혈 군사반란을 말한다. 주동자는 서울을 관할하는 제6 관구의 전 사령관이었던 박정희로 밝혀졌으며 그는 미국에 의해 지방으로 좌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삼군의 참모총장 몰래 십수명의 장성 및 수십명의 핵심 영관급 장교들과의 사전모의를 통하여 무력으로 정권을 탈취하고자 하였다. 사전에 참여 병력으로는 김포 공수단 10000000여명, 해병 제1여단 1300여명, 6관구 사령부 소속 병력 1700여명, 김형욱 회고록 p.184 "혁명 장교들이 인솔하는 해병대 1300명, 공수단 1000여명 및 6관구 병력 등 도합 4000여명이었다."제6군단 포병단 5개대대 3000여명과 제5사단(사단장 채명신 준장이 이끌고 서울 진주), 제12사단(사단장 박춘신 준장과 부사단장 및 작전참모가 이끌고 춘천 진주), 제30사단(부사단장, 작전참모, 헌병부장이 사단 이끌고 서울 진주), 제33사단(작전참모, 연대장 등이 이끌고 서울 진주), 그리고 2군을 비롯한 지방에 있던 여러 장교들까지 수만명에 이르렀다. 제2공화국은 이를 진압하고자 했으나, 공병대를 제외하고, 서울 인근에 있는 모든 전투 군부대가 이미 반란군에게 장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평시작전 통제권을 쥐고 있던 주한미군 총사령관이 불개입 의사를 표시하고 2군단장 등이 사후동조를 하면서 휴전선 인근의 일선부대를 대거 차출해야 했던바 진압을 고의적으로 포기해버렸다. 이 사건의 결과로 한명의 민간인과 십여명 이상의 군인이 죽거나 다쳤으며 제2공화국은 와해되고 군인들이 세운 국가재건최고회의가 삼권을 장악해 3여년간의 군부독재를 실시하였다.

새로운!!: 이홍렬 (정치인)와 5·16 군사 정변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