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색인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은 1935년에 개관한 이화여자대학교의 대학 박물관으로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대현동에 위치하고 있. 전시관은 상설전시관, 기획전시관, 기증전시관, 담인복식미술관으로 구성되었.

25 처지: 감지은니묘법연화경 권7 (보물 제352호), 백자 철화운룡문 항아리, 백자 철화포도문 항아리, 백자 청화송죽인물문 항아리, 고구려 평양성 석편, 기사계첩 (보물 제638호),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보물, 대한민국의 국가민속문화재, 대한민국의 국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이화여자대학교, 적초의, 청자 투각고리문 의자, 청자 순화4년명 항아리, 청초중단, 유제화형촛대, 영암 최원립장군 묘 출토복식·유물, 서대문구, 서울특별시, 한국 전쟁, 왕비 록원삼, (전)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 1935년, 4월 6일.

감지은니묘법연화경 권7 (보물 제352호)

은니묘법연화경 권7(紺紙銀泥妙法蓮華經 卷七)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경이.

새로운!!: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와 감지은니묘법연화경 권7 (보물 제352호) · 더보기 »

백자 철화운룡문 항아리

백자 철화운룡문 항아리(白磁 鐵畵雲龍文 立壺)는 조선 17세기에 산화 철로 용무늬를 그려 넣어 만들어진 백자 항아리이.

새로운!!: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와 백자 철화운룡문 항아리 · 더보기 »

백자 철화포도문 항아리

백자 철화포도문 항아리(白磁 鐵畵葡文 壺)는 산화철로 포도 무늬를 그려 넣은, 조선 백자 항아리이.

새로운!!: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와 백자 철화포도문 항아리 · 더보기 »

백자 청화송죽인물문 항아리

백자 청화송죽인물문 항아리(白磁 靑畵松竹人物文 壺) 또는 백자 청화 소나무·대나무·인물무늬 항아리는 조선 16세기에 만들어진 청화 백자 항아리이.

새로운!!: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와 백자 청화송죽인물문 항아리 · 더보기 »

고구려 평양성 석편

평양성 석편(高句麗 平壤城 石片) 또는 고구려 평양성 축성 기록 글자는 고구려의 평양성을 쌓을 당시 도성의 축조를 맡은 공사책임자가 평평한 자연석 위에 글자를 새긴 것이.

새로운!!: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와 고구려 평양성 석편 · 더보기 »

기사계첩 (보물 제638호)

사계첩(耆社契帖)은 70세 이상의 노신들을 우대하는 뜻에서 만들어진 기사의 모임 장면과, 그들의 초상 등으로 꾸민 화첩으로 비단 바탕에 채색되어 있는 기록화이.

새로운!!: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와 기사계첩 (보물 제638호) · 더보기 »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와 대한민국 · 더보기 »

대한민국의 보물

보물 제1호 흥인지문 대한민국의 보물(大韓民國 寶物)은 목조 건축물, 석조 건축물, 전적류, 서적류, 고문서, 회화, 조각류, 공예품, 고고자료, 무구(巫具) 등 대한민국의 유형문화재 가운데 중요한 것을 국가에서 지정한 것이.

새로운!!: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와 대한민국의 보물 · 더보기 »

대한민국의 국가민속문화재

국가민속문화재(國家民俗文化財)는 대한민국에서 의식주, 사회생활, 민속, 신앙 등의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것 가운데 상대적으로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것이.

새로운!!: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와 대한민국의 국가민속문화재 · 더보기 »

대한민국의 국보

숭례문(국보 제1호) 대한민국의 국보(大韓民國 國寶)는 대한민국에서, 건축물이나 유물 등의 유형 문화재 가운데에 중요한 가치를 가져 보물로 지정될 만한 문화재 가운데 인류문화적으로 가치가 크고 유례가 드문 것, 독특하고 희귀한 것 등으로 인정되어 따로 지정된 문화유산을 말. 국보와 보물을 나눈 기준은 특별히 엄격하지 않으며 다만 제작 연도가 오래되었고 그 시대의 표준이 될 수 있는 것이나 제작 기술이 특별히 우수한 것 등을 국보로 지정하였.

새로운!!: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와 대한민국의 국보 · 더보기 »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민국의 등록문화재(大韓民國 登錄文化財)는 문화재청장이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지정문화재가 아닌 문화재 중에서 보존과 활용을 위한 조치가 특별히 필요하여 등록한 문화재이.

새로운!!: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와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 더보기 »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梨花女子大學校, Ewha Womans University)는 대한민국의 사립여대이.

새로운!!: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와 이화여자대학교 · 더보기 »

적초의

적초의(赤綃衣)는 조선시대 백관의 조복 일습 중 가장 위에 입는 옷이. 붉은 초(綃)로 만들어 적초의라 하였.

새로운!!: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와 적초의 · 더보기 »

청자 투각고리문 의자

청자 투각고리문 의자(靑磁 透刻連環文 墩) 또는 청자 투각돈(靑瓷透刻墩)은 투각 기법으로 고리 무늬를 넣은 고려청자 의자이.

새로운!!: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와 청자 투각고리문 의자 · 더보기 »

청자 순화4년명 항아리

청자 순화4년명 항아리(靑磁 淳化四年銘 壺)는 ‘순화 4년’이 새겨진 고려 청자 항아리이.

새로운!!: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와 청자 순화4년명 항아리 · 더보기 »

청초중단

청초중단(靑綃中單)은 조선 말기 백관이 조복의 받침옷으로 입었던 것이.

새로운!!: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와 청초중단 · 더보기 »

유제화형촛대

유제화형촛대(鍮製花形燭臺)는 조선에서 선교 활동을 한 토마스 홉스(Thomas Hobbs, 1880 ~ ?)가 사용하던 촛대이.

새로운!!: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와 유제화형촛대 · 더보기 »

영암 최원립장군 묘 출토복식·유물

영암 최원립장군 묘 출토복식·유물(靈巖 崔元立將軍 墓 出土服飾·遺物)은 대한민국 국가민속문화재 제253호이.

새로운!!: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와 영암 최원립장군 묘 출토복식·유물 · 더보기 »

서대문구

서대문구(西大門區)는 서울특별시의 중서부에 있는 자치구이.

새로운!!: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와 서대문구 · 더보기 »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는 대한민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새로운!!: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와 서울특별시 · 더보기 »

한국 전쟁

국 전쟁(韓國戰爭)은 1950년 6월 25일 새벽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대한민국을 침공하여 발발한 전쟁이.

새로운!!: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와 한국 전쟁 · 더보기 »

왕비 록원삼

왕비 록원삼(王妃 綠圓衫) 또는 녹원삼은 조선 말기의 원삼이.

새로운!!: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와 왕비 록원삼 · 더보기 »

(전)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

(전)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傳 楊平 菩提寺址 大鏡大師塔)은 경기도 양평군 보리사지에 있던 것으로 전하는, 고려시대에 대경대사의 사리를 봉안한 승탑이.

새로운!!: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와 (전)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 · 더보기 »

1935년

1935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와 1935년 · 더보기 »

4월 6일

4월 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96번째(윤년일 경우 9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와 4월 6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담인복식미술관, 이화여대박물관,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