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익산 미륵사지

색인 익산 미륵사지

미륵사(彌勒寺)는 백제 무왕 때 왕비인 사택왕후의 발원으로 지어진 사찰이.

42 처지: 무왕 (백제), 미륵보살, 백제, 백제역사유적지구, 공주 송산리 고분군, 공산성, 부여 능산리 고분군, 부여 관북리 유적, 부여 나성, 부여 정림사지, 부여 왕흥사지, 부소산성, 기와, 금마면 (익산시), 당간지주, 일제 강점기, 일연, 익산 미륵사지, 익산 미륵사지 석탑, 익산 왕궁리 유적, 익산시, 전라북도, 조선일보, 좌평, 중앙일보, 유물, 유적, 혜거, 사찰, 사택왕후, 삼국유사, 한겨레, 신증동국여지승람, 17세기, 1920년, 1966년, 1980년, 2008년, 2009년, 638년, 6월 22일, 954년.

무왕 (백제)

무왕(武王, ? ~ 641년, 재위: 600년 ~ 641년 음력 3월) 은 백제의 제30대 국왕이.

새로운!!: 익산 미륵사지와 무왕 (백제) · 더보기 »

미륵보살

미륵보살(彌勒菩薩,,, 음역(音譯) 미륵彌勒, 의역(意譯) 자씨(慈氏)은 현재는 보살이지만 다음 세상에 부처로 나타날 것이라고 불교에서 믿고 있는 미래의 부처이다. 의역에 '慈(사랑 자)'라는 한자가 들어가는 이유는 미륵의 어원이 되는 산스크리트어 maitrī'가 'loving-kindness'라고 하는 뜻이기 때문이다. 불교교리에 따르면, 용화수 아래에서 고타마 붓다가 제도하지 못한 모든 중생을 제도할 부처로 수기를 받았다. 미륵보살 신앙 또는 미륵 신앙은 미륵보살이 이 세상에 미륵불(彌勒佛)로 출현하여 세상을 구원한다는 신앙이다.

새로운!!: 익산 미륵사지와 미륵보살 · 더보기 »

백제

백제(百濟, 기원전 18년 ~ 660년 8월 29일)는 한국의 고대 국가 중 하나로, 고구려, 신라와 함께 삼국 시대를 구성하였.

새로운!!: 익산 미륵사지와 백제 · 더보기 »

백제역사유적지구

백제역사유적지구(Baekje Historic Areas)는 공주시, 부여군, 익산시에 있는 백제 관련 역사유적지구이.

새로운!!: 익산 미륵사지와 백제역사유적지구 · 더보기 »

공주 송산리 고분군

송산리 고분군은 충청남도 공주시 송산리(현재 행정구역명은 웅진동)에 위치한 백제의 왕릉들로 추정되는 고분들로 현재 1, 2, 3, 4, 5, 6, 7호 분이 복원이 되어 있. 이중 7호분은 무령왕릉으로 더 널리 알려져있.

새로운!!: 익산 미륵사지와 공주 송산리 고분군 · 더보기 »

공산성

공산성 정문 공주 공산성(公州 公山城)은 사적 제12호로, 충청남도 공주시에 소재하고 있는 성이.

새로운!!: 익산 미륵사지와 공산성 · 더보기 »

부여 능산리 고분군

능산리 고분군은 부여군 부여읍 능산리 산 15번지 일대에 위치한 백제의 후기 고분들로 사비의 외곽성인 나성 밖에 자리하고 있. 1963년 1월 21일 대한민국의 사적 제14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익산 미륵사지와 부여 능산리 고분군 · 더보기 »

부여 관북리 유적

부여 관북리 유적(扶餘 官北里 遺蹟)은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관북리에 있는 백제의 왕궁지로 알려져 있. 2001년 2월 5일 대한민국의 사적 제428호 부여관북리백제유적로 지정되었다가, 2011년 7월 28일 부여 관북리 유적으로 명칭이 변경되었.

새로운!!: 익산 미륵사지와 부여 관북리 유적 · 더보기 »

부여 나성

부여 나성(扶餘 羅城)은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에 있는 삼국시대의 성곽이.

새로운!!: 익산 미륵사지와 부여 나성 · 더보기 »

부여 정림사지

부여 정림사지(扶餘 定林寺址)는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에 있는 백제의 사찰 터이.

새로운!!: 익산 미륵사지와 부여 정림사지 · 더보기 »

부여 왕흥사지

왕흥사(王興寺)는 백제 부여에 있던 사찰로 577년에 세워졌으나, 660년 백제 멸망 후에 폐허가 되어 현재는 절 터만 남아 있. 2001년 2월 5일 대한민국의 사적 제427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익산 미륵사지와 부여 왕흥사지 · 더보기 »

부소산성

부소산성(扶蘇山城)은 백제의 마지막 왕성으로 백제시대에는 사비성(泗沘城)으로 불. 부여군 부여읍의 서쪽에 금강을 낀 부소산에 자리하고 있으며, 둘레는 대략 2.2km, 면적은 약 74만m2에.

새로운!!: 익산 미륵사지와 부소산성 · 더보기 »

기와

250px 기와는 흙이나 시멘트 등으로 구운 지붕을 이루는 물건이.

새로운!!: 익산 미륵사지와 기와 · 더보기 »

금마면 (익산시)

마면(金馬面)은 대한민국의 전라북도 익산시에 설치된 면이.

새로운!!: 익산 미륵사지와 금마면 (익산시) · 더보기 »

당간지주

홍성 오관리 당간지주 당간지주(幢竿支柱)는 불교 사찰에서 당간을 세우기 위한 지지대로 쓰이는, 한 쌍의 돌로 된 구조물이.

새로운!!: 익산 미륵사지와 당간지주 · 더보기 »

일제 강점기

일제강점기(1910년 8월 29일 ~ 1945년 8월 15일)는 한국의 역사에서 한국의 근현대사를 시대별로 나누었을 때 주요 시대 중 하나로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가 일본 제국의 식민 지배 아래 놓였던 시기이.

새로운!!: 익산 미륵사지와 일제 강점기 · 더보기 »

일연

일연(一然, 속명(본명) 전견명(全見明), 1206년 7월 18일(음력 6월 11일) ~ 1289년 7월 26일(음력 7월 8일))은 고려 충렬왕 때의 승려로, 보각국사(普覺國師).

새로운!!: 익산 미륵사지와 일연 · 더보기 »

익산 미륵사지

미륵사(彌勒寺)는 백제 무왕 때 왕비인 사택왕후의 발원으로 지어진 사찰이.

새로운!!: 익산 미륵사지와 익산 미륵사지 · 더보기 »

익산 미륵사지 석탑

익산 미륵사지 석탑(益山 彌勒寺址 石塔)은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미륵사지에 있으며, 한국에 남아있는 석탑 중 가장 오래된 석탑으로 국보 제11호로 지정되어 있. 백제 무왕의 재위기간 중인 639년에 만들어진 이 석탑은 백제 석탑의 시원 형식(始原形式)이라고 불리며, 여러 면에서 한국 석탑 전체의 출발점이라 할 수 있. 해체 당시 높이는 14.2 m로, 원래는 9층으로 추정되는 한국 최대의 석탑이.

새로운!!: 익산 미륵사지와 익산 미륵사지 석탑 · 더보기 »

익산 왕궁리 유적

익산 왕궁리 유적(益山 王宮里 遺蹟)은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에 있는 백제의 유적이.

새로운!!: 익산 미륵사지와 익산 왕궁리 유적 · 더보기 »

익산시

익산시(益山市)는 대한민국 전라북도 서북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익산 미륵사지와 익산시 · 더보기 »

전라북도

전라북도(全羅北道)는 대한민국의 서남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익산 미륵사지와 전라북도 · 더보기 »

조선일보

2000년 이후의 조선일보 메인타이틀 《조선일보》(朝鮮日報,)는 대한민국의 신문 출판 기업인 조선일보사(朝鮮日報社,)가 대한민국 서울에서 발행하는 조간 일간지이.

새로운!!: 익산 미륵사지와 조선일보 · 더보기 »

좌평

좌평(佐平)은 백제의 최고위 관직이.

새로운!!: 익산 미륵사지와 좌평 · 더보기 »

중앙일보

《중앙일보》(中央日報)는 대한민국에서 매일 발행되는 조간(朝刊) 신문이며, 미디어 그룹인 중앙미디어네트워크의 핵심 중의 하나이.

새로운!!: 익산 미륵사지와 중앙일보 · 더보기 »

유물

유물(遺物)은 과거 인류의 잔존물로, 유적에 비해 작고, 운반이 가능한 것들을 일컫.

새로운!!: 익산 미륵사지와 유물 · 더보기 »

유적

유적(遺蹟)은 과거 인류가 남긴 잔존물로, 형태가 크며 위치를 변경시킬 수 없는 신전, 고분, 주거지, 거석기념물 등을 가리.

새로운!!: 익산 미륵사지와 유적 · 더보기 »

혜거

혜거(惠居, 899년 ~ 974년)는 고려 광종 시기의 승려이.

새로운!!: 익산 미륵사지와 혜거 · 더보기 »

사찰

불국사 사찰(寺刹. Temple) 또는 절은 승려가 불상을 모셔놓고 불도를 닦고 교법을 펴며, 불교 신도들이 예배를 위해 모이는 장소이.

새로운!!: 익산 미륵사지와 사찰 · 더보기 »

사택왕후

사택왕후(沙宅王后, ?~642년)은 무왕의 비로 백제 대귀족인 좌평 사택적덕(沙宅積德)의 딸이.

새로운!!: 익산 미륵사지와 사택왕후 · 더보기 »

삼국유사

《삼국유사》(三國遺事)는 고려의 승려인 일연(一然)이 고려 충렬왕 7년(1281년) 에 인각사(麟角寺)에서 편찬한 삼국 시대의 역사서이.

새로운!!: 익산 미륵사지와 삼국유사 · 더보기 »

한겨레

(The Hankyoreh)는 대한민국의 중앙 일간지이.

새로운!!: 익산 미륵사지와 한겨레 · 더보기 »

신증동국여지승람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은 조선 성종 때의 지리서이.

새로운!!: 익산 미륵사지와 신증동국여지승람 · 더보기 »

17세기

17세기는 1601년부터 1700년까지이.

새로운!!: 익산 미륵사지와 17세기 · 더보기 »

1920년

1920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익산 미륵사지와 1920년 · 더보기 »

1966년

1966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익산 미륵사지와 1966년 · 더보기 »

1980년

1980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익산 미륵사지와 1980년 · 더보기 »

2008년

2008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익산 미륵사지와 2008년 · 더보기 »

2009년

2009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익산 미륵사지와 2009년 · 더보기 »

63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익산 미륵사지와 638년 · 더보기 »

6월 22일

6월 2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73번째(윤년일 경우 17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익산 미륵사지와 6월 22일 · 더보기 »

95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익산 미륵사지와 954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미륵사지, 익산미륵사지.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