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이해도

색인 이해도

이해도(李海度, 1929년 6월 13일 -)는 대한민국의 교육자이자 서예가이.

13 처지: 덕흥대원군, 부여군, 김응현, 김창현, 김충현, 대한민국, 교사, 이재형 (1914년), 이하전, 전주이씨대동종약원, 서예, 1929년, 6월 13일.

덕흥대원군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 1530년 4월 2일 ~ 1559년 6월 14일)은 조선 중기의 왕자이며 조선 최초의 대원군이.

새로운!!: 이해도와 덕흥대원군 · 더보기 »

부여군

부여군(扶餘郡)은 대한민국 충청남도 남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이해도와 부여군 · 더보기 »

김응현

응현(金膺顯) (1927년 ~ 2007년)은 대한민국의 서예가이.

새로운!!: 이해도와 김응현 · 더보기 »

김창현

창현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이해도와 김창현 · 더보기 »

김충현

충현(金忠顯, 1921년 4월 2일 ~ 2006년 11월 19일)은 대한민국의 서예가이.

새로운!!: 이해도와 김충현 · 더보기 »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이해도와 대한민국 · 더보기 »

교사

유치원생들을 수업 중인 교사 교사(敎師)는 학생들을 가르치는 사람으로, 일반적으로 국가에서 정한 법령에 따라 자격증을 갖추고 학생에게 국가에서 지정한 과목, 종목의 교육 이수의 과정에서 이끌어주거나 도움을 주거나 설명을 하는 사람을 말. 좁게는 교육공무원으로 임용된 자 또는 교사자격증(교원자격증2급)을 소지한 자, 국공립학교의 교원과 사립학교의 교원을 부르며 넓게는 이들을 비롯하여 대학교와 전문대학 그리고 대학교원의 교수(敎授) 등을.

새로운!!: 이해도와 교사 · 더보기 »

이재형 (1914년)

이재형(李載灐, 1914년 11월 7일 ~ 1992년 1월 30일)은 대한민국의 정치가이.

새로운!!: 이해도와 이재형 (1914년) · 더보기 »

이하전

정궁 경원군 이하전(都正宮 慶原君 李夏銓, 1842년 2월 15일 ~ 1862년 8월 20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종실, 문신, 정치가이.

새로운!!: 이해도와 이하전 · 더보기 »

전주이씨대동종약원

전주이씨대동종약원(全州李氏大同宗約院)은 1955년 숭조(崇祖)와 돈종(惇宗)을 바탕으로 조선 및 대한제국의 유.무형문화재의 보존관리와 전통문화를 계승 발전시키는 데 만전을 기하기 위해 만든 사단법인이.

새로운!!: 이해도와 전주이씨대동종약원 · 더보기 »

서예

서예(書藝)란 붓으로 글씨를 쓰는 예술을 말. 중국에서 발생한 예술형식의 하나로서 한국 및 일본에 전래되어 한자뿐만 아니라 해당 나라의 글씨체 (한글, 가나)를 예술적으로 종이 위에 표현하는 기술적 측면을 넘어서, 정신수양의 수단으로 (예컨대 문인화) 인정받고 있. 이런 측면에서 서도(書道).

새로운!!: 이해도와 서예 · 더보기 »

1929년

1929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해도와 1929년 · 더보기 »

6월 13일

6월 1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64번째(윤년일 경우 16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해도와 6월 13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일민 이해도.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