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한국 통감

색인 한국 통감

국 통감(韓國 統監)은 1906년 2월 23일을 기하여 4년 후 1910년 8월 29일까지 일본 제국이 대한제국을 완전히 병탄키 위한 작전으로써 설치한 감독기관인 통감부의 수장이.

24 처지: 데라우치 마사타케, 권력, 기유각서, 대한제국, 대한제국 순종, 이토 히로부미, 일본 제국, 조선의 역사, 소네 아라스케, 통감부, 야마가타 이사부로, 한일 병합 조약, 한성부, 1906년, 1907년, 1909년, 1910년, 2월 23일, 3월 2일, 5월 30일, 6월 14일, 7월 12일, 8월 29일, 9월 21일.

데라우치 마사타케

우치 마사타케(가에이 5년 음력 2월 5일(1852년 2월 24일) ~ 다이쇼 8년(1919년) 11월 3일)는 일본 제국의 육군 군인, 정치가, 외교관이.

새로운!!: 한국 통감와 데라우치 마사타케 · 더보기 »

권력

력(權力)이란 일반에 있는 주체가 상대방에게 원치 않는 행동을 강제하는 능력이.

새로운!!: 한국 통감와 권력 · 더보기 »

기유각서

유각서(己酉覺書)는 융희 3년(1909년) 7월 12일, 대한제국과 일본 제국 사이에 체결된 조약이.

새로운!!: 한국 통감와 기유각서 · 더보기 »

대한제국

제국()은 1897년(광무 원년) 10월 12일부터 1910년 8월 29일까지 한반도와 그 부속 도서를 통치하였던 전제군주제 국가이.

새로운!!: 한국 통감와 대한제국 · 더보기 »

대한제국 순종

순종(純宗, 1874년 3월 25일(음력 2월 8일) ~ 1926년 4월 25일)은 대한제국 제2대 황제이자, 한반도 역사상 마지막 군주이.

새로운!!: 한국 통감와 대한제국 순종 · 더보기 »

이토 히로부미

이토 히로부미(1841년 10월 16일 ~ 1909년 10월 26일)는 에도 시대 후기의 무사(조슈 번사)이자 일본 제국의 헌법학자, 정치가이.

새로운!!: 한국 통감와 이토 히로부미 · 더보기 »

일본 제국

일본 제국(日本 帝國)은 1868년 1월 3일부터 1947년 5월 3일 사이의 일본의 입헌 군주제를 기반으로 한 특수한 정치 체제(국가 체제), 혹은 일본 제국주의 시기를 의미.

새로운!!: 한국 통감와 일본 제국 · 더보기 »

조선의 역사

조선의 역사는 크게 전기와 후기로 나뉘며, 전기를 다시 둘로 나눠 전기와 중기로 보아 전기-중기-후기로 보. 이때 전기-후기를 나누는 기준은 임진왜란이며, 전기-중기-후기를 나누는 기준은 전기와 중기는 중종반정, 중기와 후기는 임진왜란 또는 병자호란이.

새로운!!: 한국 통감와 조선의 역사 · 더보기 »

소네 아라스케

소네 아라스케(1849년 2월 20일 ~ 1910년 9월 13일)는 일본의 군인, 정치가, 외교관이.

새로운!!: 한국 통감와 소네 아라스케 · 더보기 »

통감부

통감기(統監旗) 한국통감부 청사 통감부(統監府)는 일본 제국이 을사늑약을 체결한 뒤 대한제국 한성부에 설치했던 정치와 군사 관련 업무를 보는 관청이.

새로운!!: 한국 통감와 통감부 · 더보기 »

야마가타 이사부로

야마가타 이사부로(1858년 2월 6일 ~ 1927년 9월 24일)는 일본의 관료이.

새로운!!: 한국 통감와 야마가타 이사부로 · 더보기 »

한일 병합 조약

일 병합 조약() 또는 한국 병합에 관한 조약()은 1910년 8월 22일에 조인되어 8월 29일 발효된 대한제국과 일본 제국 사이에 일방적인 위력에 의해 이루어진 합병조약(合倂條約)이.

새로운!!: 한국 통감와 한일 병합 조약 · 더보기 »

한성부

경복궁 앞 근정문 근정전 어좌의 모습 한성(漢城)은 조선의 도읍지(수도)였.

새로운!!: 한국 통감와 한성부 · 더보기 »

1906년

1906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 통감와 1906년 · 더보기 »

1907년

1907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 통감와 1907년 · 더보기 »

1909년

1909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 통감와 1909년 · 더보기 »

1910년

1910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 통감와 1910년 · 더보기 »

2월 23일

2월 2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54번째(윤년일 경우도 5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한국 통감와 2월 23일 · 더보기 »

3월 2일

3월 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61번째(윤년일 경우 6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한국 통감와 3월 2일 · 더보기 »

5월 30일

5월 3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50번째(윤년일 경우 15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한국 통감와 5월 30일 · 더보기 »

6월 14일

6월 1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65번째(윤년일 경우 16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한국 통감와 6월 14일 · 더보기 »

7월 12일

7월 1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93번째(윤년일 경우 19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한국 통감와 7월 12일 · 더보기 »

8월 29일

8월 2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41번째(윤년일 경우 24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한국 통감와 8월 29일 · 더보기 »

9월 21일

9월 2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64번째(윤년일 경우 26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한국 통감와 9월 21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일본 제국의 대한제국 조선 주재 통감, 일본 제국의 대한제국 주재 조선 통감, 일본 제국의 한국통감, 일본의 조선통감, 일본의 한국통감, 조선 통감, 조선통감.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