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임부택

색인 임부택

임부택(林富澤, 1919년 9월 24일 ~ 2001년 11월 13일)은 대한민국의 군인이.

49 처지: 동락리 전투, 무극리 전투, 금성 전투, 금성군 (강원도), 대한민국, 대한민국 국군, 대한민국 육군 보병학교, 대한민국 육군 기계화학교, 대한민국 육군본부,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 국방대학교, 나주 임씨, 나주시, 낙동강 전투, 용문산 (경기), 용문산 전투, 펑더화이, 희천 전투, 이화령-문경 전투, 일본 제국 육군, 일제 강점기, 을지무공훈장, 제11기계화보병사단 (대한민국), 제1군단 (대한민국), 제6보병사단 (대한민국), 제6군단 (대한민국), 전라남도, 조선인민군, 중장, 초산 전투, 충무무공훈장, 충주시, 춘천 전투, 태극무공훈장, 온정리 전투, 행정학, 서울특별시, 한국 전쟁, 학사, 신녕면, 신니면, 화랑무공훈장, 11월 13일, 1919년, 1949년, 1952년, 1954년, 2001년, 9월 24일.

동락리 전투

무극리 전투 또는 동락리 전투는 한국 전쟁 중기 북한군이 수도 서울의 함락에 만족치 않고 계속 남침해오자 육군본부는 그들을 차령산맥을 연한 선에서 저지하고자 한 전투이.

새로운!!: 임부택와 동락리 전투 · 더보기 »

무극리 전투

무극리 전투는 한국 전쟁 중기 북한군이 수도 서울의 함락에 만족치 않고 계속 남침해오자 육군본부는 그들을 차령산맥을 연한 선에서 저지하고자 한 전투이.

새로운!!: 임부택와 무극리 전투 · 더보기 »

금성 전투

성 전투는 한국 전쟁 말기인 1953년 7월 휴전이 임박해지고 있을 때, 금성 지역 북방에 위치한 중공군과 국군이 치른 전투이.

새로운!!: 임부택와 금성 전투 · 더보기 »

금성군 (강원도)

성군(金城郡)은 강원도 김화군, 창도군, 철원군 (남)에 있었던 행정구역이.

새로운!!: 임부택와 금성군 (강원도) · 더보기 »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임부택와 대한민국 · 더보기 »

대한민국 국군

민국 국군(大韓民國 國軍)은 1948년 8월 15일에 창설된 대한민국의 군대이.

새로운!!: 임부택와 대한민국 국군 · 더보기 »

대한민국 육군 보병학교

육군보병학교(陸軍步兵學校)는 대한민국의 군사교육기관으로, 전라남도 장성군에 있.

새로운!!: 임부택와 대한민국 육군 보병학교 · 더보기 »

대한민국 육군 기계화학교

육군기계화학교(陸軍機械化學校)는 대한민국의 군사교육기관으로, 전라남도 장성군에 있.

새로운!!: 임부택와 대한민국 육군 기계화학교 · 더보기 »

대한민국 육군본부

육군본부(陸軍本部, Republic of Korea Army Headquarters, 약칭: 육본)는 대한민국 육군을 총괄하는 기구이.

새로운!!: 임부택와 대한민국 육군본부 · 더보기 »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

육군사관학교(陸軍士官學校)는 대한민국 육군 장교 양성 기관이며, 서울특별시 노원구에 있. 화랑대(花郞臺)라는 별칭으로도 불린.

새로운!!: 임부택와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 · 더보기 »

국방대학교

국방대학교(國防大學校, Korea National Defense University 약칭: KNDU)는 1955년에 설립된 국방부 산하의 국립대학교이.

새로운!!: 임부택와 국방대학교 · 더보기 »

나주 임씨

주 임씨(羅州 林氏)는 전라남도 나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임부택와 나주 임씨 · 더보기 »

나주시

주시(羅州市)는 대한민국 전라남도 중서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임부택와 나주시 · 더보기 »

낙동강 전투

낙동강 전투는 한국 전쟁 중 일어난 전투로 다음이 있.

새로운!!: 임부택와 낙동강 전투 · 더보기 »

용문산 (경기)

용문산(龍門山)은 경기도 양평군에 있는 산이.

새로운!!: 임부택와 용문산 (경기) · 더보기 »

용문산 전투

용문산 전투(龍門山 戰鬪)는 한국전쟁 중 1951년 5월 17일 ~ 5월 21일까지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 용문산 및 가평군 설악면 일대에서 중공군과 대한민국 국군 사이에 벌어진 전투이.

새로운!!: 임부택와 용문산 전투 · 더보기 »

펑더화이

펑더화이() (1898년 1월 24일 ~ 1974년 11월 29일) 은 중화인민공화국의 군인, 정치가이.

새로운!!: 임부택와 펑더화이 · 더보기 »

희천 전투

성천-개천-희천 전투는 한국전쟁 중인 1950년 10월 23일에 국군 제2군단 제6보병사단 7연대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8사단의 1개 연대를 물리치고 희천을 수복한 전투이.

새로운!!: 임부택와 희천 전투 · 더보기 »

이화령-문경 전투

이화령-문경 전투는 한국 전쟁 초중기 7월 13일부터 시작된 조령과 이화령의 싸움이 마침내 7월 17일에 영강선(문경 남쪽의 낙동강 지류) 방어로 매듭지어지기까지의 과정을 취급케 되는데 이 작전지역은 충주에서 문경에서 점촌을 거쳐서 상주에 이르는 중부의 요역으로 만일 이곳이 돌파된다면 낙동강 주변으로 물러설 수밖에 없는 요충지역인 까닭에 혈투를 벌이.

새로운!!: 임부택와 이화령-문경 전투 · 더보기 »

일본 제국 육군

일본 제국 육군 혹은 대 일본 제국 육군()은 1871년 일본 제국의 육군으로 창설되었으며 1945년 일본국 헌법 9조항에 의하여 무력 이용을 포기함으로써 없어지게 되었.

새로운!!: 임부택와 일본 제국 육군 · 더보기 »

일제 강점기

일제강점기(1910년 8월 29일 ~ 1945년 8월 15일)는 한국의 역사에서 한국의 근현대사를 시대별로 나누었을 때 주요 시대 중 하나로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가 일본 제국의 식민 지배 아래 놓였던 시기이.

새로운!!: 임부택와 일제 강점기 · 더보기 »

을지무공훈장

을지무공훈장 을지무공훈장은 대한민국 2번째 무공훈장이.

새로운!!: 임부택와 을지무공훈장 · 더보기 »

제11기계화보병사단 (대한민국)

제11기계화보병사단(第十一機械化步兵師團, The 11th Mechanized Infantry Division, 별명: 화랑부대)은 제7기동군단 예하 기계화 보병 사단이.

새로운!!: 임부택와 제11기계화보병사단 (대한민국) · 더보기 »

제1군단 (대한민국)

제1군단 "광개토부대"(第一軍團)는 고구려 19대 왕인 광개토왕의 시호를 별명으로 쓰는 대한민국 육군의 군단이.

새로운!!: 임부택와 제1군단 (대한민국) · 더보기 »

제6보병사단 (대한민국)

제6보병사단(第六步兵師團, The 6th Infantry Division, 별명: 청성부대)는 1948년 11월 20일에 창설된 대한민국 육군 보병 사단이.

새로운!!: 임부택와 제6보병사단 (대한민국) · 더보기 »

제6군단 (대한민국)

s제6군단 "진군"(第六軍團)은 경기도 포천시에 있는 대한민국 육군의 제3야전군 예하 군단으로, 1954년 5월 1일 창설되었.

새로운!!: 임부택와 제6군단 (대한민국) · 더보기 »

전라남도

전라남도(全羅南道)는 대한민국의 서남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임부택와 전라남도 · 더보기 »

조선인민군

조선인민군(朝鮮人民軍)은 조선로동당의 군대를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임부택와 조선인민군 · 더보기 »

중장

중장(中將)는 군대 계급 중 하나이.

새로운!!: 임부택와 중장 · 더보기 »

초산 전투

산 전투(楚山戰鬪)는 인천상륙작전 이후 북한 중부 전선의 험준한 산악지대를 따라 계속 북진한 국군 제2군단의 제6사단이 청천강 계곡을 진격해 초산 지역까지 점령한 전투로서 압록강변까지 진격할 수 있는 기초를 닦은 전투이자 처음으로 중공군이 개입한 전투이.

새로운!!: 임부택와 초산 전투 · 더보기 »

충무무공훈장

충무무공훈장은 대한민국 3번째 무공훈장이.

새로운!!: 임부택와 충무무공훈장 · 더보기 »

충주시

충주시(忠州市)는 대한민국 충청북도 북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임부택와 충주시 · 더보기 »

춘천 전투

전투는 한국 전쟁 초기 1950년 6월 25일~ 6월 30일까지 춘천 일대에서 국군과 북한 인민군이 벌인 전투이.

새로운!!: 임부택와 춘천 전투 · 더보기 »

태극무공훈장

극무공훈장(太極武功勳章)은 대한민국 최고의 무공훈장이.

새로운!!: 임부택와 태극무공훈장 · 더보기 »

온정리 전투

온정리 전투(溫井里戰鬪)는 한국 전쟁 중기 북한 동부전선에서 국군의 제일 선봉으로 진격하던 김종오 준장이 이끄는 제6사단이 한중 국경선까지 밀고 올라갔다가 비밀리에 압록강을 건넌 중공군에 패한 전투이자, 한국전쟁에서 대한민국 국군이 중공군과 첫번째로 치른 전투이.

새로운!!: 임부택와 온정리 전투 · 더보기 »

행정학

행정학(行政學, Public Administration)은 정부의 운영과 관리를 연구하는 정치학의 한 분야이.

새로운!!: 임부택와 행정학 · 더보기 »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는 대한민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새로운!!: 임부택와 서울특별시 · 더보기 »

한국 전쟁

국 전쟁(韓國戰爭)은 1950년 6월 25일 새벽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대한민국을 침공하여 발발한 전쟁이.

새로운!!: 임부택와 한국 전쟁 · 더보기 »

학사

학사(學士, Bachelor's degree)는 대학 졸업자에게 주는 학위이.

새로운!!: 임부택와 학사 · 더보기 »

신녕면

신녕면(新寧面)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영천시 서북부에 위치한 면이.

새로운!!: 임부택와 신녕면 · 더보기 »

신니면

신니면(薪尼面)은 충청북도 충주시의 서북쪽에 위치한 행정구역이.

새로운!!: 임부택와 신니면 · 더보기 »

화랑무공훈장

화랑무공훈장 화랑무공훈장은 대한민국 4번째 무공훈장이.

새로운!!: 임부택와 화랑무공훈장 · 더보기 »

11월 13일

11월 1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17번째(윤년일 경우 31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임부택와 11월 13일 · 더보기 »

1919년

1919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임부택와 1919년 · 더보기 »

1949년

1949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임부택와 1949년 · 더보기 »

1952년

1952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임부택와 1952년 · 더보기 »

1954년

1954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임부택와 1954년 · 더보기 »

2001년

9·11 테러로 세계무역센터가 불타는 장면 2001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며, 이 해는 21세기와 제3천년기의 첫 번째 해이.

새로운!!: 임부택와 2001년 · 더보기 »

9월 24일

9월 2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67번째(윤년일 경우 26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임부택와 9월 24일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