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임술민란

색인 임술민란

임술민란(壬戌民亂), 또는 임술농민항쟁(壬戌農民抗爭)은 1862년, 조선 각지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난 농민 봉기이.

30 처지: 도호, 동학 농민 운동, 백낙신, 박규수, 거창민란, 경상도, 부안민란, 균역법, 국사편찬위원회, 임진왜란, 임술, 일본 제국, 음력 2월 14일, 음력 2월 4일, 은결, 제주민란, 전라도, 조선, 조선 철종, 조선 영조, 진주민란, 충청도, 삼정이정청, 삼정의 문란, 서리 (관리), 환곡, 1861년, 1862년, 3월 14일, 3월 4일.

도호

호 주식회사(동보주식회사, Toho Co., Ltd.)는 일본 영화 회사이.

새로운!!: 임술민란와 도호 · 더보기 »

동학 농민 운동

동학 농민 혁명(東學農民革命), 동학 혁명(東學革命), 동학 농민 운동(東學農民運動) 또는 동학 농민 전쟁(東學農民戰爭)은 1894년 동학 지도자들과 동학 교도 및 농민들에 의해 일어난 민중의 무장 봉기를 가리.

새로운!!: 임술민란와 동학 농민 운동 · 더보기 »

백낙신

백낙신(白樂莘, ?~?) 은 조선의 탐관이.

새로운!!: 임술민란와 백낙신 · 더보기 »

박규수

박규수(朴珪壽, 1807년 10월 27일 ~ 1877년 2월 9일)는 조선 말기의 문신이.

새로운!!: 임술민란와 박규수 · 더보기 »

거창민란

창민란(居昌民亂)은 1862년(철종 13년) 음력 5월 각지에서 일어난 민란의 영향을 받아 경상도 거창현에서 일어난 농민 봉기이.

새로운!!: 임술민란와 거창민란 · 더보기 »

경상도

경상도 경상도(慶尙道)는 경상남도, 경상북도와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울산광역시 일대를 관할했던 행정 구역으로 영남 지방(嶺南地方)에 해당.

새로운!!: 임술민란와 경상도 · 더보기 »

부안민란

부안 민란(扶安民亂)은 1862년(철종 13) 전라도 부안에서 일어난 민란이.

새로운!!: 임술민란와 부안민란 · 더보기 »

균역법

역법 (均役法) 은 조선 후기 군역을 대신하는 군포를 2필에서 1필로 줄인 군역세법 개혁이.

새로운!!: 임술민란와 균역법 · 더보기 »

국사편찬위원회

국사편찬위원회(國史編纂委員會,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는 한국사 연구의 심화와 체계적인 발전을 위하여 설치된 대한민국 교육부의 소속기관이.

새로운!!: 임술민란와 국사편찬위원회 · 더보기 »

임진왜란

임진왜란(壬辰倭亂)은 1592년(선조 25) 일본이 조선을 침략하면서 시작되어 1598년(선조 31)까지 이어진 전쟁이.

새로운!!: 임술민란와 임진왜란 · 더보기 »

임술

임술(壬戌)은 육십간지 중 59번째이.

새로운!!: 임술민란와 임술 · 더보기 »

일본 제국

일본 제국(日本 帝國)은 1868년 1월 3일부터 1947년 5월 3일 사이의 일본의 입헌 군주제를 기반으로 한 특수한 정치 체제(국가 체제), 혹은 일본 제국주의 시기를 의미.

새로운!!: 임술민란와 일본 제국 · 더보기 »

음력 2월 14일

음력 2월 14일은 음력 2월의 14번째 날이.

새로운!!: 임술민란와 음력 2월 14일 · 더보기 »

음력 2월 4일

음력 2월 4일은 음력 2월의 4번째 날이.

새로운!!: 임술민란와 음력 2월 4일 · 더보기 »

은결

은결(隱結)은 토지대장에서 누락된 토지를 가리.

새로운!!: 임술민란와 은결 · 더보기 »

제주민란

제주민란 또는 강제검의 난은 1862년 진주민란의 영향을 받아 제주도에서 발생한 민란이.

새로운!!: 임술민란와 제주민란 · 더보기 »

전라도

전라도(全羅道)는 전라북도와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제주특별자치도 일대를 관할했던 행정구역으로 호남 지방(湖南地方)에 해당.

새로운!!: 임술민란와 전라도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임술민란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철종

종(哲宗, 1831년 7월 25일(음력 6월 17일) ~ 1864년 1월 16일(1863년 음력 12월 8일))은 조선의 제25대 왕(재위 1849년 7월 28일 ~ 1864년 1월 16일)이자 대한제국 추존황제이.

새로운!!: 임술민란와 조선 철종 · 더보기 »

조선 영조

영조(英祖, 1694년 10월 31일(음력 9월 13일) ~ 1776년 4월 22일(음력 3월 5일))는 조선의 제21대 왕(재위, 1724년 10월 16일 ~ 1776년 4월 22일)이.

새로운!!: 임술민란와 조선 영조 · 더보기 »

진주민란

주농민항쟁은 1862년(철종 13년) 봄 진주에서 일어난 민중의 봉기 사건이.

새로운!!: 임술민란와 진주민란 · 더보기 »

충청도

조선후기 충청도 충청도(忠淸道)는 충청남도, 충청북도와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일대를 관할했던 행정구역으로 호서 지방(湖西地方)에 해당.

새로운!!: 임술민란와 충청도 · 더보기 »

삼정이정청

삼정이정청은 조선 철종 재위 시절 만들어진 개혁 기관이.

새로운!!: 임술민란와 삼정이정청 · 더보기 »

삼정의 문란

삼정의 문란(三政-紊亂)이란 조선시대 국가 재정의 3대 요소인 전정(田政)·군정(軍政)·환정(還政: 정부 보유 미곡의 대여 제도)이 문란해졌음을 말.

새로운!!: 임술민란와 삼정의 문란 · 더보기 »

서리 (관리)

서리(胥吏)는 고려와 조선의 중앙과 지방의 관청에 딸려 있던 하급 관리로, 일명 이서(吏胥)·이속(吏屬)·아전(衙前)이라고 부르며, 구실아치를 뜻.

새로운!!: 임술민란와 서리 (관리) · 더보기 »

환곡

환곡(還穀)은 조선 시대에 있었던 구휼(救恤) 제도 가운데 하나로서, 흉년 또는 춘궁기에 곡식을 빌려 주고 풍년·추수기에 되받는 진휼제도이.

새로운!!: 임술민란와 환곡 · 더보기 »

1861년

1861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임술민란와 1861년 · 더보기 »

1862년

1862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임술민란와 1862년 · 더보기 »

3월 14일

3월 1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73번째(윤년일 경우 7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임술민란와 3월 14일 · 더보기 »

3월 4일

3월 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63번째(윤년일 경우 6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임술민란와 3월 4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철종 때의 민란, 철종조의 민란, 임술 민란, 임술 농민 봉기, 임술농민봉기, 임술농민항쟁, 임술항쟁.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