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임실필봉농악

색인 임실필봉농악

임실필봉농악(任實筆峰農樂)은 전북 임실군 강진면 필봉리에서 전해져 내려오는 풍물놀이이.

15 처지: 백중날, 강진면, 금줄, 대한민국의 국가무형문화재, 두레, 남원군, 농업, 임실군, 전라북도, 저고리, 상모, 호돌이, 풍물놀이, 1988년, 8월 1일.

백중날

백중날, 백중(百中 또는 百衆)은 백종(百種), 망혼일(亡魂日), 중원(中元)이라고도 하며, 음력 7월 15일이.

새로운!!: 임실필봉농악와 백중날 · 더보기 »

강진면

강진면(江津面)은 전라북도 임실군에 위치한 면으로, 옥정리에는 옥정호 섬진강 댐이 위치해 있.

새로운!!: 임실필봉농악와 강진면 · 더보기 »

금줄

줄 금줄은 신성한 곳 또는 대상물에 부정한 것의 침입을 막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신성한 대상물에 매달거나 신성한 대상물의 길 앞에 양쪽에 건너지르게 매달아 사용.

새로운!!: 임실필봉농악와 금줄 · 더보기 »

대한민국의 국가무형문화재

국가무형문화재 제5호로 지정되어 있는 판소리 국가무형문화재(國家無形文化財)는 보존 가치가 크다고 인정되는 문화적 소산 가운데 국가에서 문화재로서 지정한 것을 말. 여러 세대에 걸쳐 전승되어 온 무형의 문화적 유산은 전통적 공연·예술, 공예, 미술 등에 관한 전통기술, 한의약, 농경·어로 등에 관한 전통지식, 구전 전통 및 표현, 의식주 등 전통적 생활관습, 민간신앙 등 사회적 의식(儀式), 전통적 놀이·축제 및 기예·무예 분야로 나뉘어 있.

새로운!!: 임실필봉농악와 대한민국의 국가무형문화재 · 더보기 »

두레

농촌에서 농사일을 공동으로 하기 위하여 향촌 주민들이 마을·부락 단위로 둔 공동 노동 조직이.

새로운!!: 임실필봉농악와 두레 · 더보기 »

남원군

원군(南原郡)은 전라북도 남원시의 이전 행정 구역이.

새로운!!: 임실필봉농악와 남원군 · 더보기 »

농업

농사를 짓는 모습. 농업(農業)은 농경(農耕)이라고도 하며, 흙이나 토지를 이용하여 인간에게 유익한 식물(곡물, 채소, 과일, 화훼, 약재, 섬유 등)의 재배와 생산 그리고 가축들의 생산 및 품질 관리에 관계되는 온갖 활동과 연구를 일컫.

새로운!!: 임실필봉농악와 농업 · 더보기 »

임실군

임실군(任實郡)은 대한민국 전라북도 중남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임실필봉농악와 임실군 · 더보기 »

전라북도

전라북도(全羅北道)는 대한민국의 서남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임실필봉농악와 전라북도 · 더보기 »

저고리

저고리 구조 저고리는 한복의 윗옷이.

새로운!!: 임실필봉농악와 저고리 · 더보기 »

상모

상모는 풍물놀이에서 잽이들이 머리에 쓰는 것으로 전립이라고 불리.

새로운!!: 임실필봉농악와 상모 · 더보기 »

호돌이

호돌이. 호돌이는 제24회 1988년 서울 올림픽의 공식 마스코트이.

새로운!!: 임실필봉농악와 호돌이 · 더보기 »

풍물놀이

풍물놀이 풍물놀이 혹은 풍물굿(간단히 풍물(風物))이란 꽹과리, 장구, 북, 징의 네 가지 악기(사물)와 나발, 태평소, 소고(버꾸라고도 함) 등의 악기를 기본 구성으로 하여 악기 연주와 몸동작 그리고 행렬을 지어 다채로운 집단적 움직임을 보여주는 진풀이 등을 모두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임실필봉농악와 풍물놀이 · 더보기 »

1988년

1988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임실필봉농악와 1988년 · 더보기 »

8월 1일

8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13번째(윤년일 경우 21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임실필봉농악와 8월 1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임실 필봉 농악, 임실 필봉농악.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