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임화

색인 임화

임화(林和, 문화어: 림화, 1908년 10월 13일 ~ 1953년 8월 6일)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시인이며 문학평론가, 정치가이.

71 처지: 루돌프 발렌티노, 리승엽, 만주, 마르크스주의, 마쓰모토 세이초, 문회원, 문학, 문학 평론, 문화방송, 미 군정, 박헌영, 건국준비위원회, 경성, 보성고등학교 (서울), 김기진, 김유영 (1907년), 김윤식 (1936년), 김순남 (작곡가), 김화산, 남북협상, 남조선로동당, 다다이즘, 평론, 평양직할시, 이강국 (정치인), 이상 (작가), 제1공화국 (드라마), 정치인, 조선문학가동맹, 조선문학건설본부, 조선문화건설중앙협의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공산당,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 조소문화협회, 지하련, 창씨개명, 윤기정, 태평양 전쟁, 영화 평론, 영화배우, 여운형, 연극, 소설, 해주시, 한국 전쟁, 한성부, 안재홍, 신건설사 사건, 시 (문학), ..., 시인, 10월 13일, 1908년, 1926년, 1927년, 1929년, 1931년, 1935년, 1945년, 1947년, 1948년, 1953년, 1964년, 1981년, 1987년, 4월, 8월, 8월 15일, 8월 20일, 8월 6일, 9월.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21 더) »

루돌프 발렌티노

발렌티노 루돌프 발렌티노(Rudolph Valentino, 1895년 5월 6일 ~ 1926년 8월 23일)는 간단히 "발렌티노"로 알려진 이탈리아의 배우이자 초기 팝 아이콘이.

새로운!!: 임화와 루돌프 발렌티노 · 더보기 »

리승엽

리승엽(李承燁, 1905년 2월 8일 ~ 1954년 7월 30일)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가이.

새로운!!: 임화와 리승엽 · 더보기 »

만주

붉은색은 둥베이(랴오닝 성, 지린 성, 헤이룽장 성) 지방이고, 조금 연한 부분은 내몽골 자치구 동부 지역, 가장 연한 부분은 외만주이다. 만주()는 동북아시아 압록강 북쪽의 광활한 지역을 일컫.

새로운!!: 임화와 만주 · 더보기 »

마르크스주의

마르크스주의() 또는 마르크시즘() 혹은 엥겔스식 표현으로 과학적 사회주의는 사회 계급의 관계와 사회적 충돌에 초점을 둔 사회적 분석의 방법이자 세계관인데, 역사전개를 유물사관론적으로 해석하며, 사회 변동을 변증법적 견해로 해석.

새로운!!: 임화와 마르크스주의 · 더보기 »

마쓰모토 세이초

마쓰모토 세이초(1909년 12월 21일 ~ 1992년 8월 4일)는 일본의 작가, 언론인이며 1952년 소설 《어느 고쿠라 일기전》으로 아쿠타가와 상을 수상하였.

새로운!!: 임화와 마쓰모토 세이초 · 더보기 »

문회원

문회원(1945년 7월 4일 ~)은 대한민국의 탤런트 겸 영화배우이.

새로운!!: 임화와 문회원 · 더보기 »

문학

장오노레 프라고나르 작 "책 읽는 소녀" 문학(文學)은 언어를 예술적 표현의 제재로 삼아 새로운 의미를 창출하여, 인간과 사회를 진실되게 묘사하는 예술의 하위분야이.

새로운!!: 임화와 문학 · 더보기 »

문학 평론

문학 평론(文學評論)은 문학을 평론하는 것이.

새로운!!: 임화와 문학 평론 · 더보기 »

문화방송

문화방송(文化放送)은 대한민국 수도권을 가시청권으로 하는 지상파 공영방송사이.

새로운!!: 임화와 문화방송 · 더보기 »

미 군정

미 군정(美軍政, 米軍政)은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임화와 미 군정 · 더보기 »

박헌영

박헌영(朴憲永, 1900년 5월 28일? 충청남도 예산 ~ 1956년 12월 5일?)은 조선의 공산주의 독립운동가, 언론인, 노동운동.

새로운!!: 임화와 박헌영 · 더보기 »

건국준비위원회

국준비위원회의 깃발 건국준비위원회(建國準備委員會)는 1945년 8월 15일부터 9월 7일까지 한국의 군정기에 여운형, 안재홍 등을 주축으로 일본으로부터 행정권(총독부에 5개 항을 요구하며, 치안권 요구)을 인수받기 위하여 만든 조직이.

새로운!!: 임화와 건국준비위원회 · 더보기 »

경성

경성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임화와 경성 · 더보기 »

보성고등학교 (서울)

보성고등학교(普成高等學校)는 서울특별시 송파구 방이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이.

새로운!!: 임화와 보성고등학교 (서울) · 더보기 »

김기진

(金基鎭, 일본식 이름: 金村八峯 가네무라 야미네, 1903년 6월 29일 ~ 1985년 5월 8일)은 대한민국의 문학평론가이며, 시인이자 소설가이.

새로운!!: 임화와 김기진 · 더보기 »

김유영 (1907년)

유영(金幽影, 1907년 9월 22일 ~ 1940년 1월 4일)은 일제 강점기에 영화 등 예술 분야의 진보적 운동에 종사.

새로운!!: 임화와 김유영 (1907년) · 더보기 »

김윤식 (1936년)

윤식(金允植, 1936년~)은 대한민국의 문학평론가이.

새로운!!: 임화와 김윤식 (1936년) · 더보기 »

김순남 (작곡가)

순남(金順男, 1917년 5월 28일 ~ 1983년?)은 작곡가이며 피아니스트이.

새로운!!: 임화와 김순남 (작곡가) · 더보기 »

김화산

화산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임화와 김화산 · 더보기 »

남북협상

북협상(南北協商) 또는 전조선 제정당사회단체 대표자 연석회의 (全朝鮮諸政黨社會團體代表者連席會議), 또는 남북 연석회의(南北連席會議) 는 남한만의 단독정부(현 대한민국) 수립을 반대하는 남북의 정당·사회단체 대표들이 5·10 단독선거를 저지하고 통일민주국가 수립을 위해 대책을 논의한 회담을 말. 1948년 4월 19일부터 시작된 이 회의는, 김구, 김규식 등 남한 단독 총선에 반대하는 남한 일부 정파 대표들과, 소련의 대리인으로 북한의 실질 권력을 장악해 가던 김일성 및 김두봉과 같은 남북의 인사들이 다수 참석하였으며, 실현 가능성도 없는 합의문을 채택하고 아무런 성과도 없이 끝나고 말았.

새로운!!: 임화와 남북협상 · 더보기 »

남조선로동당

조선로동당(南朝鮮勞動黨), 줄여서 남로당은 1946년 11월 23일 서울에서 조선공산당, 남조선신민당, 조선인민당의 합당으로 결성된 공산주의 정당이.

새로운!!: 임화와 남조선로동당 · 더보기 »

다다이즘

이즘()은 1915년부터 1924년에 걸쳐 유럽과 미국에서 일어난 실존주의, 반문명, 반전통적인 예술운동이.

새로운!!: 임화와 다다이즘 · 더보기 »

평론

평론(評論) 또는 논평(論評), 비평(批評)은 사회 전 분야에 대해 평가하는 작업을 말. 예술 작품, 문화 현상, 상품 등 평론의 대상에는 제한이 없. 평론하는 사람은 평론가(評論家), 평론을 모아서 낸 책을 평론집이.

새로운!!: 임화와 평론 · 더보기 »

평양직할시

평양직할시(平壤直轄市)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새로운!!: 임화와 평양직할시 · 더보기 »

이강국 (정치인)

이강국(李康國, 1906년 ~ 1955년?)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임화와 이강국 (정치인) · 더보기 »

이상 (작가)

이상(李箱, 1910년 9월 23일 ~ 1937년 4월 17일)은 일제 강점기의 시인, 작가, 소설가, 수필가, 건축가로 일제 강점기 한국의 대표적인 근대 작가이.

새로운!!: 임화와 이상 (작가) · 더보기 »

제1공화국 (드라마)

《제1공화국》(第一共和國)은 문화방송이 제1공화국을 배경으로 다룬 정치드라마로서 1981년 4월 2일 첫 방송을 시작해 1982년 2월 11일까지 매주 목요일 밤에 방송된 드라마이.

새로운!!: 임화와 제1공화국 (드라마) · 더보기 »

정치인

G20 정상회담 정치인(政治人)은 정치에 활발히 참여하거나 매우 밀접한 관련을 갖는 직업을 가진 사람을 말. 정치가(政治家).

새로운!!: 임화와 정치인 · 더보기 »

조선문학가동맹

조선문학가동맹(朝鮮文學家同盟)은 한국 군정기에 서울에서 결성되었던 좌익 계열의 문학 단체이.

새로운!!: 임화와 조선문학가동맹 · 더보기 »

조선문학건설본부

조선문학건설본부(朝鮮文學建設本部)는 태평양 전쟁 종전 직후인 1945년 8월 16일에 미군정 지역인 서울에서 결성된 문학인 단체이.

새로운!!: 임화와 조선문학건설본부 · 더보기 »

조선문화건설중앙협의회

조선문화건설중앙협의회(朝鮮文化建設中央協議會)는 태평양 전쟁 종전 직후인 1945년 8월 16일에 미군정 지역인 서울에서 결성된 예술인 연합 단체이.

새로운!!: 임화와 조선문화건설중앙협의회 · 더보기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북부에 위치한 국가이.

새로운!!: 임화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더보기 »

조선공산당

조선공산당(朝鮮共産黨)은 1925년 4월 17일 창건된 공산주의 정당이.

새로운!!: 임화와 조선공산당 · 더보기 »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 통칭 카프()는 1925년 8월에 결성된 사회주의 문학단체이.

새로운!!: 임화와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 · 더보기 »

조소문화협회

조소문화협회(朝蘇文化協會) 또는 조쏘문화협회는 소군정 하에서 창립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문화 단체이.

새로운!!: 임화와 조소문화협회 · 더보기 »

지하련

(池河蓮, 1912년 7월 11일 ~ 1960년?)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여성 소설가이.

새로운!!: 임화와 지하련 · 더보기 »

창씨개명

와 한글이 혼용되어 있다. 일본식 성명 강요() 또는 창씨개명()은 1940년 2월부터 1945년 8월 광복 직전까지 일본 제국이 조선인에게 일본식 성씨를 정하여 쓰도록 강요한 것을 말. 1939년 11월 10일, 조선총독부는 '조선민사령(朝鮮民事令)'을 개정(제령 제19호)하여 조선에서도 일본식 씨명제(氏名制)를 따르도록 규정하고, 1940년 2월 11일부터 8월 10일까지 '씨(氏)'를 정해서 제출할 것을 명령하였.

새로운!!: 임화와 창씨개명 · 더보기 »

윤기정

윤기정(尹基鼎, 1903년 ~ 1955년 3월 1일)은 일제 강점기에 주로 활동한 소설가 겸 평론가, 영화제작자이.

새로운!!: 임화와 윤기정 · 더보기 »

태평양 전쟁

평양 전쟁, 또는 때때로 아시아-태평양 전쟁,은 제2차 세계 대전의 전역 중 하나로 태평양과 동아시아에서 벌어진 전쟁이.

새로운!!: 임화와 태평양 전쟁 · 더보기 »

영화 평론

영화 평론(映畵評論) 또는 영화 비평(映畵批評)은 영화를 분석하고 비판하는 것을 말. 영화 평론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을 영화 평론가(映畵評論家) 또는 영화 비평가(映畵批評家).

새로운!!: 임화와 영화 평론 · 더보기 »

영화배우

영화배우(映畵俳優)는 영화에 출연하여 연기하는 배우이.

새로운!!: 임화와 영화배우 · 더보기 »

여운형

여운형(呂運亨, 1886년 5월 25일 ~ 1947년 7월 19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겸 저술가이.

새로운!!: 임화와 여운형 · 더보기 »

연극

공연 중인 배우들 연극(演劇) 또는 극(劇)은 배우가 무대 장치조명음악 등의 도움을 받아, 연출자의 지도 아래 각본에 의해서 연기를 하여 관객에게 보이는 종합예술이.

새로운!!: 임화와 연극 · 더보기 »

소설

에밀리 브론테의 폭풍의 언덕 초판 표지 소설(小說)은 사건을 미적으로 질서화하여 통일적인 의미가 구현될 수 있도록 산문으로 서술한 서사 문예이.

새로운!!: 임화와 소설 · 더보기 »

해주시

주시(海州市)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남도 중남부에 있는 시이자 황해남도청 소재지 그리고 황해남도의 유일한 시이.

새로운!!: 임화와 해주시 · 더보기 »

한국 전쟁

국 전쟁(韓國戰爭)은 1950년 6월 25일 새벽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대한민국을 침공하여 발발한 전쟁이.

새로운!!: 임화와 한국 전쟁 · 더보기 »

한성부

경복궁 앞 근정문 근정전 어좌의 모습 한성(漢城)은 조선의 도읍지(수도)였.

새로운!!: 임화와 한성부 · 더보기 »

안재홍

안재홍(安在鴻, 1891년 12월 30일 ~ 1965년 3월 1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 통일운동가, 정치가이며 언론인, 역사가, 언어학자이.

새로운!!: 임화와 안재홍 · 더보기 »

신건설사 사건

신건설사 사건(新建設社事件)은 일제 강점기에 일어난 문화운동 조직 사건이.

새로운!!: 임화와 신건설사 사건 · 더보기 »

시 (문학)

시(詩, poetry)란 마음 속에 떠오르는 느낌을 운율이 있는 언어로 압축하여 표현한 글이.

새로운!!: 임화와 시 (문학) · 더보기 »

시인

시인(詩人)은 시 를 전문적으로 짓는 사람을 말. 원로 시인, 여성 시인, 낭만파 시인, sns 시인 등이 있.최근 인터넷 및 SNS가 발달함에 따라 온라인 상으로 창작시를 발표하는 사례가 늘고있.

새로운!!: 임화와 시인 · 더보기 »

10월 13일

10월 1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86번째(윤년일 경우 28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임화와 10월 13일 · 더보기 »

1908년

1908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임화와 1908년 · 더보기 »

1926년

1926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임화와 1926년 · 더보기 »

1927년

1927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임화와 1927년 · 더보기 »

1929년

1929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임화와 1929년 · 더보기 »

1931년

1931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임화와 1931년 · 더보기 »

1935년

1935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임화와 1935년 · 더보기 »

1945년

1945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임화와 1945년 · 더보기 »

1947년

1947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임화와 1947년 · 더보기 »

1948년

1948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임화와 1948년 · 더보기 »

1953년

1953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임화와 1953년 · 더보기 »

1964년

1964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임화와 1964년 · 더보기 »

1981년

1981년(1981年)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임화와 1981년 · 더보기 »

1987년

1987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임화와 1987년 · 더보기 »

4월

4월(四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네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 대한민국에서는 4월이 과학의 달이.

새로운!!: 임화와 4월 · 더보기 »

8월

8월(八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여덟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이 달부터 연말까지는 2의 배수가 오는 달마다 31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11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끝. 또한, 윤년인 경우 이 달과 그 해의 2월은 같은 요일로 시작되며, 다음 해도 평년인 경우 다음 해 5월과 같은 요일이.

새로운!!: 임화와 8월 · 더보기 »

8월 15일

8월 1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27번째(윤년일 경우 22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임화와 8월 15일 · 더보기 »

8월 20일

8월 2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32번째(윤년일 경우 23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임화와 8월 20일 · 더보기 »

8월 6일

8월 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18번째(윤년일 경우 21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임화와 8월 6일 · 더보기 »

9월

9월(九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아홉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 한국, 중국, 일본, 미국과 같은 북반구에는 가을이 되며,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과 같은 남반구에는 봄이.

새로운!!: 임화와 9월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김철우, 림다다, 림인식, 림화, 청로 림화, 청로 임화, 쌍수대인 림화, 쌍수대인 임화, 임 화, 임다다, 임인식, 성아 림화, 성아 임화.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