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임존성

색인 임존성

예산 임존성(禮山 任存城)은 한국의 충청남도 예산군 대흥면 봉수산 꼭대기에 있는 둘레 약 3km의 산성이.

31 처지: 백강 전투, 백제 부흥운동, 고려 명종, 고려 태조, 고려 현종, 고구려, 봉수산, 부소산성, 귀실복신, 대동지지, 대흥면, 대한민국의 사적 (제1호 ~ 제100호), 의자왕, 흑치상지, 조선 태종, 주류성, 지수신, 충청남도, 유금필, 예당평야, 예당저수지, 예산군, 사타상여, 삼국 시대, 소정방, 후백제, 1963년, 1월 21일, 660년, 663년, 925년.

백강 전투

백강 전투(白江戰鬪)는 663년 8월에 한반도의 백강(현재의 금강 하구 및 그 부근)에서 벌어진 백제·왜의 연합군과 당·신라의 연합군 사이의 전투이.

새로운!!: 임존성와 백강 전투 · 더보기 »

백제 부흥운동

백제 부흥운동(百濟復興運動)은 백제가 660년에 멸망된 뒤에 백제 유민이 전개한 국가 부흥 운동이.

새로운!!: 임존성와 백제 부흥운동 · 더보기 »

고려 명종

명종(明宗, 1131년 11월 8일 (음력 10월 17일) ~ 1202년 12월 3일 (음력 11월 17일)은 고려 제19대 국왕(재위: 1170년 ~ 1197년)이다. 휘는 호(晧), 자는 지단(之旦), 묘호는 명종, 시호는 황명광효대왕(皇明光孝大王)이다. 인종과 공예태후 임씨(任氏)의 셋째 아들이며 의종의 동생이다.

새로운!!: 임존성와 고려 명종 · 더보기 »

고려 태조

조(高麗 太祖, 877년 1월 31일 (음력 1월 14일)《고려사절요》 제1권 태조 신성대왕〈고려사절요/제1권/태조 신성대왕〉"신라 헌강왕(憲康王) 3년 정유(877) 정월 14일 병술에 태조를 송악 남쪽 사제(私第)에서 낳으니" ~ 943년 7월 4일 (음력 5월 29일))는 후삼국 시대(後三國 時代) 후고구려(後高句麗)의 장군(將軍)이자 고려(高麗)의 초대 황제(재위:918년 7월 25일~943년 7월 4일)이.

새로운!!: 임존성와 고려 태조 · 더보기 »

고려 현종

현종(顯宗, 992년 8월 1일(음력 7월 1일)《고려사》〈세가〉권5 ~ 1031년 6월 17일(음력 5월 25일)은 고려 제8대 국왕(재위: 1009년 ~ 1031년)이다. 휘는 순(詢), 자는 안세(安世), 보위 즉위 이전의 작위는 대량원군이었고, 묘호는 현종, 시호는 대효덕위달사원문대왕(大孝德威達思元文大王)이며 불교 승려 시절 법명은 선재(禪齋)이다. 태조의 아들 안종(安宗)과 헌정왕후 황보씨(皇甫氏)의 아들이다. 안종 왕욱과 경종의 계비 헌정왕후의 사통으로 출생하여 암살 위기를 모면하고 1009년 강조의 정변으로 5촌 조카이자 이종사촌 형인 목종이 폐위되자 왕위를 계승하였다. 이후 거란의 두 차례 침입으로 피난을 다녀오기도 했다. 1009년 2월부터 1031년 6월까지 재위하는 동안 1009년 2월부터 이듬해 1010년 11월까지 강조(康兆)가 섭정하였고 1010년 11월부터 1031년 6월 붕어할 때까지 친정하였다.

새로운!!: 임존성와 고려 현종 · 더보기 »

고구려

(高句麗, 기원전 37년 ~ 668년)는 한국의 고대 국가 중 하나로, 백제 및 신라와 함께 삼국 시대를 구성한 주요 국가이.

새로운!!: 임존성와 고구려 · 더보기 »

봉수산

봉수산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임존성와 봉수산 · 더보기 »

부소산성

부소산성(扶蘇山城)은 백제의 마지막 왕성으로 백제시대에는 사비성(泗沘城)으로 불. 부여군 부여읍의 서쪽에 금강을 낀 부소산에 자리하고 있으며, 둘레는 대략 2.2km, 면적은 약 74만m2에.

새로운!!: 임존성와 부소산성 · 더보기 »

귀실복신

실복신(鬼室福信, 원래 이름은 부여복신(扶餘福信), ? ~ 663년)은 백제의 왕족·무장·관리이.

새로운!!: 임존성와 귀실복신 · 더보기 »

대동지지

《대동지지》(大東地志)는 조선 후기에 김정호가 펴낸 지리서이.

새로운!!: 임존성와 대동지지 · 더보기 »

대흥면

흥면(大興面)은 대한민국의 충청남도 예산군에 설치된 면이.

새로운!!: 임존성와 대흥면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사적 (제1호 ~ 제100호)

사적(史蹟)은 기념물 가운데 선사시대의 유적 및 고분, 정치 및 전쟁에 관한 유적, 제사ㆍ신앙에 관한 유적, 산업ㆍ교통ㆍ토목에 관한 유적, 교육ㆍ사회사업 관계 유적, 분묘와 비석 등의 유적으로 중요한 것을 말. 다음은 대한민국 문화재청이 지정한 대한민국의 사적지 목록이.

새로운!!: 임존성와 대한민국의 사적 (제1호 ~ 제100호) · 더보기 »

의자왕

의자왕(義慈王, ?자식 중 하나인 부여융은 615년생이다. 이것으로 보아 595년경에 태어났을 것이다. ~ 660년, 재위: 641년 ~ 660년)은 백제의 마지막 국왕(혹은 31대 국왕)이.

새로운!!: 임존성와 의자왕 · 더보기 »

흑치상지

흑치상지(黑齒常之, 630년 ~ 689년)는 백제의 의자왕 때 달솔을 지낸 백제 · 당나라의 무장이.

새로운!!: 임존성와 흑치상지 · 더보기 »

조선 태종

종(太宗, 1367년 6월 13일 (음력 5월 16일) ~ 1422년 5월 30일 (음력 5월 10일) 재위 1400년 ~ 1418년)은 고려, 조선의 문신이자 조선의 제3대 임금이.

새로운!!: 임존성와 조선 태종 · 더보기 »

주류성

주류성(周留城)은 백제의 성이.

새로운!!: 임존성와 주류성 · 더보기 »

지수신

수신(遲受信, ? ~ ?)은 백제의 무장이.

새로운!!: 임존성와 지수신 · 더보기 »

충청남도

충청남도(忠淸南道)는 대한민국 중서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임존성와 충청남도 · 더보기 »

유금필

유금필 또는 유검필(庾黔弼, ? ~941년 음력 4월)은 고려(高麗)의 무신(武臣) 겸(謙) 정치가(政治家)로 평주(平州: 평산)(平山) 출생이며, 태조(太祖)을 도와 고려(高麗)를 건국(建國)하는 데 큰 공을 세웠.

새로운!!: 임존성와 유금필 · 더보기 »

예당평야

예당평야(禮唐平野)는 충청남도 서북부에 위치한 예산군, 당진시, 서산시, 홍성군 일대에 펼쳐진 평야지대를 일컫.

새로운!!: 임존성와 예당평야 · 더보기 »

예당저수지

예당저수지(禮唐貯水池)는 충청남도 예산군에 있는 저수지이.

새로운!!: 임존성와 예당저수지 · 더보기 »

예산군

예산군(禮山郡)은 대한민국 충청남도 중북부에 위치한 군이.

새로운!!: 임존성와 예산군 · 더보기 »

사타상여

사타상여(沙咤相如, ? ~ ?)는 백제 부흥운동에 참여한 유민이자, 대성팔족(大姓八族)중의 하나인 사(沙)씨 출신 귀족이.

새로운!!: 임존성와 사타상여 · 더보기 »

삼국 시대

삼국 시대(三國時代)는 기원전 1세기부터 중앙집권적 국가로 발전한 고구려, 백제, 신라의 삼국과 그 판도에 영향을 끼친 가야 연맹을 포함한 4개 국가가 한반도와 만주 일대에 세워지면서부터 7세기에 신라에 의해 통일되기까지의 시대를 가리.

새로운!!: 임존성와 삼국 시대 · 더보기 »

소정방

소정방(蘇定方, 592년 ~ 667년)은 당나라의 장군이.

새로운!!: 임존성와 소정방 · 더보기 »

후백제

후백제(後百濟, 892년~936년)는 892년(신라 진성여왕 6년)에 백제의 부흥 운동을 시작으로 900년 견훤이 완산주(오늘날의 전주시)를 도읍으로 삼아 세운 나라이.

새로운!!: 임존성와 후백제 · 더보기 »

1963년

1963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임존성와 1963년 · 더보기 »

1월 21일

1월 2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1번째(윤년일 경우도 2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임존성와 1월 21일 · 더보기 »

66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임존성와 660년 · 더보기 »

66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임존성와 663년 · 더보기 »

92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임존성와 925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임존산성, 예산 임존성.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