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고려 의조

색인 고려 의조

의조(懿祖, 생몰년 미상)는 신라 말기 인물로, 고려의 추존왕이.

42 처지: 묘호, 민지 (고려), 개성특급시, 강보육, 강충, 고려, 고려 국조, 고려 의조, 고려 의종, 고려 충선왕, 고려 태조, 고려 세조, 고려사, 고려실록, 보육, 대동운부군옥, 당 숙종, 당 선종, 당나라, 편년통록, 이벌찬, 정인지, 정화왕후, 조선, 조선 세종, 추증, 위숙왕후, 송악, 안·사의 난, 신라, 신라의 관등, 신증동국여지승람, 시호, 원나라, 원창왕후, 왕평달, 왕희순 (고려), 왕조, 왕식렴, 왕신, 1449년, 918년.

묘호

묘호(廟號)는 중국, 한국, 베트남 등 동양의 봉건 왕조 국가에서 황제 또는 국왕과 같은 군주에게만 붙인 칭호로 군주가 승하한 뒤 태묘(太廟, 또는 종묘)에서 군주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낼 때 사용되었.

새로운!!: 고려 의조와 묘호 · 더보기 »

민지 (고려)

민지(閔漬, 1248년 ~ 1326년)는 고려(高麗)의 문신(文身)이.

새로운!!: 고려 의조와 민지 (고려) · 더보기 »

개성특급시

성특급시(開城特級市)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북도의 남부에 있는 도시이.

새로운!!: 고려 의조와 개성특급시 · 더보기 »

강보육

강보육(康寶育)은 신라(新羅) 말기의 송악(松岳)지역의 승려, 호족으로, 고려(高麗) 태조 왕건(太祖 王建)의 증외고조부이며, 왕건(王建)의 증조모 정화왕후(貞和王后)의 친정아버지였.

새로운!!: 고려 의조와 강보육 · 더보기 »

강충

강충(康忠)은 신라시대 말기의 문신, 호족이.

새로운!!: 고려 의조와 강충 · 더보기 »

고려

(高麗, 918년~1392년)는 918년 태봉의 궁예를 축출하고 왕건이 즉위한 이후, 이성계에 의해 멸망하기까지 한반도 대부분을 지배하였던 국가이.

새로운!!: 고려 의조와 고려 · 더보기 »

고려 국조

국조 원덕대왕(國祖 元德大王)은 고려 태조의 증조부이자 의조의 아버지, 세조의 할아버지이.

새로운!!: 고려 의조와 고려 국조 · 더보기 »

고려 의조

의조(懿祖, 생몰년 미상)는 신라 말기 인물로, 고려의 추존왕이.

새로운!!: 고려 의조와 고려 의조 · 더보기 »

고려 의종

의종(毅宗, 1127년 5월 23일 (음력 4월 11일) ~ 1173년 11월 7일 (음력 10월 1일『고려사』 권19, 「세가」19, 명종 3년(1173) 10월 1일(경신)))은 고려 제18대 국왕(재위: 1146년 ~ 1170년)이.

새로운!!: 고려 의조와 고려 의종 · 더보기 »

고려 충선왕

충선왕(忠宣王, 1275년 10월 20일 (음력 9월 30일) ~ 1325년 6월 23일 (음력 5월 13일)은 고려 제26대 국왕(재위: 1298년, 복위: 1308년~1313년)이다. 초휘는 원(願), 휘는 장(璋), 자는 중앙(仲昻), 원에서 내린 시호는 충선왕(忠宣王)이며, 공민왕이 올린 시호는 선효대왕(宣孝大王)이다. 몽골식 이름은 이지르부카()이며, 정비(正妃)는 계국대장공주이다. 고려에서 처음으로 즉위하였다가 폐위된 후 다시 복귀한 군주이기도 하다. 생애 후반에는 귀국을 기피하고 원나라에 체류하며 만권당을 세워 독서와 학문 연구, 서화 그리기 등에 전념하기도 했다.

새로운!!: 고려 의조와 고려 충선왕 · 더보기 »

고려 태조

조(高麗 太祖, 877년 1월 31일 (음력 1월 14일)《고려사절요》 제1권 태조 신성대왕〈고려사절요/제1권/태조 신성대왕〉"신라 헌강왕(憲康王) 3년 정유(877) 정월 14일 병술에 태조를 송악 남쪽 사제(私第)에서 낳으니" ~ 943년 7월 4일 (음력 5월 29일))는 후삼국 시대(後三國 時代) 후고구려(後高句麗)의 장군(將軍)이자 고려(高麗)의 초대 황제(재위:918년 7월 25일~943년 7월 4일)이.

새로운!!: 고려 의조와 고려 태조 · 더보기 »

고려 세조

세조 왕륭(高麗 世祖 王隆, ? ~ 897년 5월)은 후삼국시대 후고구려의 군인이자 정치인이.

새로운!!: 고려 의조와 고려 세조 · 더보기 »

고려사

《고려사》(高麗史)는 조선 초기 1392년부터 1451년까지 59년 동안 조선 태조, 태종, 세종, 문종에 이르기까지 만들고 수정한 고려 시대에 대한 역사서로서, 기전체(紀傳體)로 된 고려 왕조의 정사이.

새로운!!: 고려 의조와 고려사 · 더보기 »

고려실록

《고려실록》(高麗實錄)은 《고려왕조실록》(高麗王朝實錄)을 지칭하는 것으로 고려왕조에서 편찬한 실록이.

새로운!!: 고려 의조와 고려실록 · 더보기 »

보육

보육(保育)은 가정 등에서 유아 및 아동을 보호하고 건강하고 안전하게 보호,양육하고 영유아의 발달 특성에 맞는 교육을 제공하는 보육시설 및 가정양육 지원에 관한 사회복지서비스.

새로운!!: 고려 의조와 보육 · 더보기 »

대동운부군옥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은 조선 선조 때의 학자 권문해(權文海)가 편찬한 백과사전이.

새로운!!: 고려 의조와 대동운부군옥 · 더보기 »

당 숙종

당 숙종 이형(唐肅宗 李亨, 711년 ~ 762년 음력 5월 18일)은 중국 당나라의 제7대 황제이며, 아버지는 당 현종 이융기, 어머니는 추존된 원헌황후 양씨이.

새로운!!: 고려 의조와 당 숙종 · 더보기 »

당 선종

당 선종(唐宣宗, 810년 ~ 859년)은 당(唐)의 제16대 황제(재위: 847년 ~ 859년)이.

새로운!!: 고려 의조와 당 선종 · 더보기 »

당나라

당(唐, 618년 ~ 907년)은 수나라 멸망 뒤 건국된 중국의 정통왕조이.

새로운!!: 고려 의조와 당나라 · 더보기 »

편년통록

통록(編年通錄)은 고려 의종(毅宗) 때 검교군기감 김관의(金寬毅)가 쓴 역사책이.

새로운!!: 고려 의조와 편년통록 · 더보기 »

이벌찬

이벌찬(伊伐湌)은 신라의 17관등(官等)의 제1등으로 이찬의 위이.

새로운!!: 고려 의조와 이벌찬 · 더보기 »

정인지

정인지(鄭麟趾, 1396년 12월 28일 ~ 1478년 11월 26일)는 조선 초기의 문신·성리학자이며 한글학자, 역사가, 정치인이.

새로운!!: 고려 의조와 정인지 · 더보기 »

정화왕후

정화왕후 강씨(貞和王后 康氏)는 고려의 추존왕비이며 태조 왕건의 증조할머니이.

새로운!!: 고려 의조와 정화왕후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고려 의조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세종

조선 세종(朝鮮 世宗, 1397년 5월 15일 (음력 4월 10일) ~ 1450년 3월 30일 (음력 2월 17일), 재위 1418년 ~ 1450년)은 조선의 제4대 군주이며 언어학자이.

새로운!!: 고려 의조와 조선 세종 · 더보기 »

추증

증(追贈)이란 관료의 사후에 직급을 높이는 일, 또는 관직 없이 죽은 사람에게 사후 관직을 내리는 일을 말.

새로운!!: 고려 의조와 추증 · 더보기 »

위숙왕후

위숙왕후(威肅王后)은 고려의 추존 왕비이.

새로운!!: 고려 의조와 위숙왕후 · 더보기 »

송악

송악(Hedera rhombea)은 한국의 중부 이남 해안과 섬에 나는 상록 덩굴나무로 길이는 10m 이상이.

새로운!!: 고려 의조와 송악 · 더보기 »

안·사의 난

안·사의 난(安史之亂, An Shi Rebellion)은 755년 12월 16일부터 763년 2월 17일에 걸쳐 당나라의 절도사인 안녹사와 그 부하인 사사명과 그 자녀들에 의해 일어난 대규모 반란이.

새로운!!: 고려 의조와 안·사의 난 · 더보기 »

신라

신라(新羅, 기원전 57년 ~ 935년)는 고구려, 백제와 함께 고대 한반도의 삼국 시대를 구성하였던 국가로, 세계적으로 오래 존속한 왕조들 중 하나로 꼽힌.

새로운!!: 고려 의조와 신라 · 더보기 »

신라의 관등

신라의 관직 제도는 법흥왕 때 완성된 경위(京位) 17 관등과 외위(外位) 11관등으로 구성되었는데, 지방인에게 주는 11위는 통일신라 이후인 674년(문무왕 14년)에 지방세력가들을 지배체제 속에 포섭하기 위해서 지방 출신에게도 일률적으로 경위를 주게 됨에 따라 자연히 폐지되었.

새로운!!: 고려 의조와 신라의 관등 · 더보기 »

신증동국여지승람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은 조선 성종 때의 지리서이.

새로운!!: 고려 의조와 신증동국여지승람 · 더보기 »

시호

시호(諡號)는 죽은 인물에게 국가에서 내려주거나 죽은 군주에게 다음 군주가 올리는 특별한 이름으로, 동양의 군주제 국가에서 시행되었.

새로운!!: 고려 의조와 시호 · 더보기 »

원나라

원나라(元朝)은 13세기 몽골 제국이 세운 국가이.

새로운!!: 고려 의조와 원나라 · 더보기 »

원창왕후

원창왕후(元昌王后, 생몰년 미상)는 고려의 추존 왕후로, 추존왕 의조(작제건)의 부인이자 태조 왕건과 왕식렴의 할머니이.

새로운!!: 고려 의조와 원창왕후 · 더보기 »

왕평달

왕평달(王平達)은 신라(新羅)의 문신으로 고려(高麗) 의 태조(太祖)의 숙부이.

새로운!!: 고려 의조와 왕평달 · 더보기 »

왕희순 (고려)

왕희순(王希順)은 신라(新羅)말 고려(高麗) 초기 사람으로 고려(高麗)의 개국공신(開國功臣) 삼한벽상익찬공신(三韓壁上翊贊功臣) 2등이었.

새로운!!: 고려 의조와 왕희순 (고려) · 더보기 »

왕조

왕조(王朝)는 같은 왕가에 속하는 군주의 가족 또는 그 계열이 지배하는 시대를 말. 일반적으로 상속은 세습에 의해 행해지지만, 맘루크 왕조처럼 실력자가 뒤를 잇는 체제의 경우도 있었.

새로운!!: 고려 의조와 왕조 · 더보기 »

왕식렴

왕식렴(王式廉, 생년 미상 ~ 949년 2월 7일 (음력 1월 7일)은 신라 출신 후고구려의 귀족이자 고려의 왕족으로 태조 왕건의 백부 왕평달의 아들이며 왕건의 사촌동생이다. 국역 《고려명신전》(2004, 남공철 저, 김동주 역 성남 문화원 발행) 32쪽. 고려의 개국공신이자 정종 즉위를 도운 공로로 광국익찬공신에 책록되었다. 왕신과 왕육의 형이며, 왕희순과는 사촌간이다. 본관은 개성(開城) 시호는 위정(威靜).

새로운!!: 고려 의조와 왕식렴 · 더보기 »

왕신

왕신(王信, ? ∼927년 1월)은 고려(高麗) 전기의 왕족이.

새로운!!: 고려 의조와 왕신 · 더보기 »

144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의조와 1449년 · 더보기 »

91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의조와 918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강경대왕, 경강대왕, 의조, 의조 작제건, 작제건.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