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제301호 ~ 제400호)

색인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제301호 ~ 제400호)

전라남도 유형문화재는 지방유형문화재 중에서 전라남도에 있는 문화재를 의미.

40 처지: 강진 고성사 목조삼불좌상 및 복장유물, 강진 고성사 청동보살좌상, 강진 정수사 대웅전 목조삼세불좌상, 곡성 서산사 목조관음보살좌상, 보성 은봉종택과 대계서원 고문서 일괄, 광양 백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대한민국의 문화재, 나주 다보사 명부전 목조지장보살삼존상·시왕상 일괄, 나주 죽림사 극락전 영산회상도, 나주 심향사 석조여래좌상, 장흥 신흥사 소장 정방사명 동종, 순천 송광사 감로암 목조아미타여래좌상과 복장유물, 영광 불갑사 동종, 영광 불갑사 대웅전 삼세불회도, 영광 불갑사 지장시왕도, 영광 불갑사 팔상전 영산회상도, 여수 흥국사 중수사적비, 해남 미황사 응진당 목조석가여래삼존상 및 나한상 일괄, 화순 문달환 초상, 화순 춘산영당 최익현 초상, 12월 19일, 12월 20일, 12월 31일, 2009년, 2010년, 2011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3월 20일, 4월 19일, 5월 27일, 7월 27일, 7월 7일, 8월 26일, 8월 6일, 9월 7일.

강진 고성사 목조삼불좌상 및 복장유물

강진 고성사 목조삼불좌상 및 복장유물(康津 高聲寺 木造三佛坐像 및 腹藏遺物)는 전라남도 강진군 강진읍 고성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상 및 복장유물이.

새로운!!: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제301호 ~ 제400호)와 강진 고성사 목조삼불좌상 및 복장유물 · 더보기 »

강진 고성사 청동보살좌상

강진 고성사 청동보살좌상(康津 高聲寺 靑銅菩薩坐像)은 전라남도 강진군 강진읍 고성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상이.

새로운!!: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제301호 ~ 제400호)와 강진 고성사 청동보살좌상 · 더보기 »

강진 정수사 대웅전 목조삼세불좌상

강진 정수사 대웅전 목조삼세불좌상(康津 淨水寺 大雄殿 木造三世佛坐像)은 전라남도 강진군 대구면, 정수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상이.

새로운!!: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제301호 ~ 제400호)와 강진 정수사 대웅전 목조삼세불좌상 · 더보기 »

곡성 서산사 목조관음보살좌상

곡성 서산사 목조관음보살좌상(谷城 西山寺 木造觀音菩薩坐像)은 전라남도 곡성군, 서산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상이.

새로운!!: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제301호 ~ 제400호)와 곡성 서산사 목조관음보살좌상 · 더보기 »

보성 은봉종택과 대계서원 고문서 일괄

보성 은봉종택과 대계서원 고문서 일괄(寶城 隱峰宗宅과 大溪書院 古文書 一括)은 전라남도 보성군 보성읍에 있는 조선시대의 문강공 은봉(隱峰) 안방준(安邦俊)의 종택과 고문서이.

새로운!!: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제301호 ~ 제400호)와 보성 은봉종택과 대계서원 고문서 일괄 · 더보기 »

광양 백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광양 백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光陽 白雲寺 木造 阿彌陀如來坐像 및 腹藏遺物)는 전라남도 광양시 옥룡면 백운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상 및 복장유물이.

새로운!!: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제301호 ~ 제400호)와 광양 백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 더보기 »

대한민국의 문화재

민국의 문화재는 건물·조각·악보·악기·공예품·서적·서예·고문서 등의 유물·유적 가운데 역사적·예술적 가치가 높거나 역사 연구에 자료가 되는 유형문화재, 민속문화재(민속자료), 기념물, 연주·무용·공예·기술 등에서 역사적·예술적 가치가 높은 무형문화재 등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

새로운!!: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제301호 ~ 제400호)와 대한민국의 문화재 · 더보기 »

나주 다보사 명부전 목조지장보살삼존상·시왕상 일괄

주 다보사 명부전 목조지장보살삼존상·시왕상 일괄(羅州 多寶寺 冥府殿 木造地藏菩薩三尊像·十王像 一括)은 전라남도 나주시 경현동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상이.

새로운!!: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제301호 ~ 제400호)와 나주 다보사 명부전 목조지장보살삼존상·시왕상 일괄 · 더보기 »

나주 죽림사 극락전 영산회상도

주 죽림사 극락전 영산회상도(羅州 竹林寺 極樂殿 靈山會相圖)는 전라남도 나주시 남평읍, 죽림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화이.

새로운!!: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제301호 ~ 제400호)와 나주 죽림사 극락전 영산회상도 · 더보기 »

나주 심향사 석조여래좌상

주 심향사 석조여래좌상(羅州 尋香寺 石造如來坐像)은 전라남도 나주시 대호동, 심향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상이.

새로운!!: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제301호 ~ 제400호)와 나주 심향사 석조여래좌상 · 더보기 »

장흥 신흥사 소장 정방사명 동종

장흥 신흥사 소장 정방사명 동종(長興 新興寺 所藏 井方寺銘 銅鐘)은 전라남도 장흥군 장흥읍, 신흥사에 있는 조선 영조 27년(1751년)에 만들어진 높이 64cm, 구경 43.9cm, 두께 2.7cm의 동종이.

새로운!!: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제301호 ~ 제400호)와 장흥 신흥사 소장 정방사명 동종 · 더보기 »

순천 송광사 감로암 목조아미타여래좌상과 복장유물

순천 송광사 감로암 목조아미타여래좌상과 복장유물(順天 松廣寺 甘露庵 木造阿彌陀如來坐像과 腹藏遺物)은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 감로암에 있는 불상과 복장유물이.

새로운!!: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제301호 ~ 제400호)와 순천 송광사 감로암 목조아미타여래좌상과 복장유물 · 더보기 »

영광 불갑사 동종

영광 불갑사 동종(靈光 佛甲寺 銅鐘)은 전라남도 영광군 불갑면 불갑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동종이.

새로운!!: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제301호 ~ 제400호)와 영광 불갑사 동종 · 더보기 »

영광 불갑사 대웅전 삼세불회도

영광 불갑사 대웅전 삼세불회도(靈光 佛甲寺 大雄殿 三世佛會圖)는 전라남도 영광군 불갑면, 불갑사 대웅전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화이.

새로운!!: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제301호 ~ 제400호)와 영광 불갑사 대웅전 삼세불회도 · 더보기 »

영광 불갑사 지장시왕도

영광 불갑사 지장시왕도(靈光 佛甲寺 地藏十王圖)은 전라남도 영광군 불갑면 불갑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화이.

새로운!!: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제301호 ~ 제400호)와 영광 불갑사 지장시왕도 · 더보기 »

영광 불갑사 팔상전 영산회상도

영광 불갑사 팔상전 영산회상도(靈光 佛甲寺 八相殿 靈山會上圖)는 전라남도 영광군 불갑면 불갑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화이.

새로운!!: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제301호 ~ 제400호)와 영광 불갑사 팔상전 영산회상도 · 더보기 »

여수 흥국사 중수사적비

여수 흥국사 중수사적비(麗水 興國寺 重修事蹟碑)는 전라남도 여수시에 있는 조선시대의 사적비이.

새로운!!: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제301호 ~ 제400호)와 여수 흥국사 중수사적비 · 더보기 »

해남 미황사 응진당 목조석가여래삼존상 및 나한상 일괄

미황사 응진당 목조석가여래삼존상 및 나한상 일괄(海南 美黃寺 應眞堂 木造釋迦如來三尊像 및 羅漢像 一括)은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미황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상이.

새로운!!: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제301호 ~ 제400호)와 해남 미황사 응진당 목조석가여래삼존상 및 나한상 일괄 · 더보기 »

화순 문달환 초상

화순 문달환 초상(和順 文達煥 肖像)은 전라남도 화순군 춘양면에 있는 일제강점기의 초상화이.

새로운!!: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제301호 ~ 제400호)와 화순 문달환 초상 · 더보기 »

화순 춘산영당 최익현 초상

화순 춘산영당 최익현 초상(和順 春山影堂 崔益鉉 肖像)는 전라남도 화순군 춘양면 춘산영당에 있는 일제강점기의 초상화이.

새로운!!: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제301호 ~ 제400호)와 화순 춘산영당 최익현 초상 · 더보기 »

12월 19일

12월 1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53번째(윤년일 경우 35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제301호 ~ 제400호)와 12월 19일 · 더보기 »

12월 20일

12월 2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54번째(윤년일 경우 35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제301호 ~ 제400호)와 12월 20일 · 더보기 »

12월 31일

12월 3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65번째(윤년일 경우 366번째) 날에 해당하며, 한 해의 마지막 날이.

새로운!!: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제301호 ~ 제400호)와 12월 31일 · 더보기 »

2009년

2009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제301호 ~ 제400호)와 2009년 · 더보기 »

2010년

2010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제301호 ~ 제400호)와 2010년 · 더보기 »

2011년

2011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제301호 ~ 제400호)와 2011년 · 더보기 »

2013년

2013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제301호 ~ 제400호)와 2013년 · 더보기 »

2014년

2014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제301호 ~ 제400호)와 2014년 · 더보기 »

2015년

2015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제301호 ~ 제400호)와 2015년 · 더보기 »

2016년

2016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제301호 ~ 제400호)와 2016년 · 더보기 »

2017년

2017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제301호 ~ 제400호)와 2017년 · 더보기 »

2018년

2018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제301호 ~ 제400호)와 2018년 · 더보기 »

3월 20일

3월 2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79번째(윤년일 경우 8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제301호 ~ 제400호)와 3월 20일 · 더보기 »

4월 19일

4월 1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09번째(윤년일 경우 11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제301호 ~ 제400호)와 4월 19일 · 더보기 »

5월 27일

5월 2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47번째(윤년일 경우 14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제301호 ~ 제400호)와 5월 27일 · 더보기 »

7월 27일

7월 2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08번째(윤년일 경우 20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제301호 ~ 제400호)와 7월 27일 · 더보기 »

7월 7일

7월 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88번째(윤년일 경우 18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제301호 ~ 제400호)와 7월 7일 · 더보기 »

8월 26일

8월 2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38번째(윤년일 경우 23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제301호 ~ 제400호)와 8월 26일 · 더보기 »

8월 6일

8월 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18번째(윤년일 경우 21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제301호 ~ 제400호)와 8월 6일 · 더보기 »

9월 7일

9월 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50번째(윤년일 경우 25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제301호 ~ 제400호)와 9월 7일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