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

색인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

전라북도 기념물은 지방기념물 중에서 전라북도 내에 있는 문화재를 의미.

152 처지: 동고산성, 만석보지, 마이산, 마이산탑, 마산동굴, 무장읍성, 무주 백련사 계단, 무주 백련사지, 무주 구천동 주목군총, 문학대, 백제의익산사적지대, 반계선생유적지, 간재선생유지, 고창 죽림리 지석묘군, 고창 신재효 고택, 부안 백산성, 부안 대항리 패총, 부안 채석강·적벽강 일원, 부안 사산리 와요지, 부안 실상사지, 귀정사지, 금마 도토성, 금구산성, 금사동토성, 구군산세관본관, 두승산성, 남강정사, 남고사지, 남원 만인의총, 남원 금남재, 남원 교룡산성, 남원 초촌리 고분군, 남원 유곡리와 두락리 고분군, 남원 사직단, 남원읍성, 내소사, 논개사당, 효감천, 우덕리산성, 우금산성, 장수 타루비, 장수 합미성, 이매창 묘, 이병기 선생 생가, 이치전적지, 이석정선생생가, 인촌선생 생가, 익산 미륵산성, 익산 백제토기 도요지, 익산 낭산산성, ..., 익산 나바위성당, 익산 웅포리 고분군, 익산 왕궁리 유적, 은선리토성, 적벽강, 전라북도,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01호 ~ 제200호), 전주 남고산성, 전주 숲정이, 정읍 고사부리성, 정읍 내장사지, 정읍 운학리 고분군, 정읍 은선리와 도계리 고분군, 정읍 전봉준 유적, 정읍 지사리 고분군, 정읍 황토현 전적, 정충사지, 정유재란 호벌치 전적지, 조경단, 진안 성재봉 태평봉수대, 지행당, 천주교 순교자묘, 천호산성, 척문리산성, 칠연의총, 유애사, 영은사지, 오목대, 최호장군 유지, 삼세오충렬유적, 성미산성, 서현사지, 아막성, 원통사지, 웅치전적지, 완주 위봉산성, 10월 31일, 11월 17일, 11월 27일, 11월 28일, 11월 3일, 12월 10일, 12월 20일, 12월 21일, 12월 27일, 12월 2일, 12월 31일, 1971년, 1973년, 1974년, 1976년, 1977년, 1979년, 1980년, 1981년, 1982년, 1983년, 1984년, 1985년, 1986년, 1987년, 1988년, 1991년, 1992년, 1993년, 1994년, 1995년, 1996년, 1997년, 1998년, 1999년, 1월 23일, 1월 9일, 2003년, 2004년, 2006년, 2008년, 2018년, 2월 26일, 3월 29일, 3월 8일, 4월 11일, 4월 1일, 4월 23일, 4월 26일, 4월 2일, 4월 3일, 4월 6일, 5월 28일, 6월 20일, 6월 23일, 7월 18일, 8월 10일, 8월 16일, 8월 24일, 8월 30일, 8월 31일, 9월 17일, 9월 20일, 9월 24일, 9월 27일, 9월 9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02 더) »

동고산성

동고산성(東固山城)은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교동에 있는 산성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동고산성 · 더보기 »

만석보지

만석보지(萬石洑址)는 전라북도 정읍시 이평면 하송리에 있는 만석보가 있던 장소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만석보지 · 더보기 »

마이산

마이산(馬耳山)은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에 있는 산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마이산 · 더보기 »

마이산탑

마이산탑(馬耳山塔)은 전라북도 진안군 마이산에 쌓여 있는, 80여 기의 돌탑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마이산탑 · 더보기 »

마산동굴

마산동굴(馬山洞窟)은 전라북도 무주군 적상면에 있는 동굴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마산동굴 · 더보기 »

무장읍성

창 무장현 관아와 읍성(高敞 茂長縣 官衙와 邑城)는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에 있는 조선시대의 성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무장읍성 · 더보기 »

무주 백련사 계단

무주 백련사 계단(茂朱 白蓮寺 戒壇)은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백련사에 있는 계단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무주 백련사 계단 · 더보기 »

무주 백련사지

무주 백련사지(茂朱 白蓮寺址)는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에 있는, 신라 신문왕 때 백련선사가 숨어 살던 절터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무주 백련사지 · 더보기 »

무주 구천동 주목군총

무주 구천동 주목군총(茂朱 九千洞 朱木群叢)은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삼공리에 있는 덕유산의 향적봉을 오르는 8부 능선에서부터 정상에 이르기까지 나이 약 300∼500년 생의 나무 1,000그루가 이루고 있는 주목나무 숲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무주 구천동 주목군총 · 더보기 »

문학대

문학대(文學臺)는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에 있는 건축물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문학대 · 더보기 »

백제의익산사적지대

백제의익산사적지대는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에 있는 사적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백제의익산사적지대 · 더보기 »

반계선생유적지

반계 선생 유적지(磻溪 先生 遺蹟地)는 전라북도 부안군 보안면 우동리에 있는, 반계 유형원(1622∼1673) 선생의 유적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반계선생유적지 · 더보기 »

간재선생유지

재 선생 유지(艮齋 先生 遺址)는 전라북도 부안군 계화면 계화리에 있는, 전우(1841∼1922)선생이 학문을 연구하던 곳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간재선생유지 · 더보기 »

고창 죽림리 지석묘군

창 죽림리 지석묘군(高敞 竹林里 支石墓群)은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죽림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의 지석묘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고창 죽림리 지석묘군 · 더보기 »

고창 신재효 고택

창 신재효 고택(高敞 申在孝 古宅)은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에 있는, 판소리 이론가면서 판소리를 집대성한 신재효(1812∼1884)가 살던 집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고창 신재효 고택 · 더보기 »

부안 백산성

부안 백산성(扶安 白山城)은 전라북도 부안군 백산면 용계리에 있는 산성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부안 백산성 · 더보기 »

부안 대항리 패총

부안 대항리 패총(扶安 大項里 貝塚)은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대항리에 있는 패총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부안 대항리 패총 · 더보기 »

부안 채석강·적벽강 일원

부안 채석강·적벽강 일원(扶安 彩石江·赤壁江 一圓)은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격포리에 있는 자연명승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부안 채석강·적벽강 일원 · 더보기 »

부안 사산리 와요지

부안 사산리 와요지(扶安 士山里 瓦窯址)는 전라북도 부안군 주산면 사산리에 있는 와요지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부안 사산리 와요지 · 더보기 »

부안 실상사지

부안 실상사지(扶安 實相寺址)는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중계리에 있는 절 터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부안 실상사지 · 더보기 »

귀정사지

정사지(歸政寺址)는 전라북도 남원시 산동면 대상리에 있는 절 터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귀정사지 · 더보기 »

금마 도토성

마 도토성(金馬 都土城)은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서고도리의 해발 87m의 굿대숲 위에 흙으로 쌓은 성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금마 도토성 · 더보기 »

금구산성

산성(金溝山城)은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에 있는 산성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금구산성 · 더보기 »

금사동토성

사동토성(金寺洞土城)은 전라북도 정읍시 영원면 은선리에 있는 토성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금사동토성 · 더보기 »

구군산세관본관

산세관본관(舊群山稅關本館)은 대한제국 때에 군산에 세관을 설치하면서 건축된 건물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구군산세관본관 · 더보기 »

두승산성

승산성(斗升山城)은 전라북도 정읍시 고부면에 있는 산성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두승산성 · 더보기 »

남강정사

강정사(南崗精舍)는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 상신리에 있는 건축물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남강정사 · 더보기 »

남고사지

사지(南固寺址)는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남고산성에 있는 절 터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남고사지 · 더보기 »

남원 만인의총

원 만인의총(南原 萬人義塚)은 전라북도 남원시 향교동에 있. 조선 선조 30년 정유재란 때 남원성을 끝까지 지키다가 순절한 민·관·군의 합장유적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남원 만인의총 · 더보기 »

남원 금남재

원 금남재(南原 錦南齋)는 전라북도 남원시 노암동에 있는 재실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남원 금남재 · 더보기 »

남원 교룡산성

원 교룡산성(南原 蛟龍山城)은 전라북도 남원시 산곡동에 있는, 해발 518m의 교룡산의 천연적인 지형지세를 이용하여 돌로 쌓은 산성으로, 둘레는 3120m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남원 교룡산성 · 더보기 »

남원 초촌리 고분군

원 초촌리 고분군(南原 草村里 古墳群)은 전라북도 남원시 이백면 초촌리에 있는 고분군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남원 초촌리 고분군 · 더보기 »

남원 유곡리와 두락리 고분군

원 유곡리와 두락리 고분군(南原 酉谷里와 斗洛里 古墳群)은 전라북도 남원시 인월면에 있는 고분군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남원 유곡리와 두락리 고분군 · 더보기 »

남원 사직단

원 사직단(南原 社稷檀)은 전라북도 남원시 향교동에 있는, 땅의 신(社)과 곡식의 신(稷)에게 제사하기 위해 쌓은 제단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남원 사직단 · 더보기 »

남원읍성

원읍성(南原邑城)은 전라북도 남원시 동충동에 있는 조선시대 읍성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남원읍성 · 더보기 »

내소사

소사(來蘇寺)는 전라북도 부안군 진서면 석포리에 있는 절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내소사 · 더보기 »

논개사당

사당(論介祠堂)은 전라북도 장수군 장수읍 두산리에 있는 사당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논개사당 · 더보기 »

효감천

효감천(孝感泉)은 전라북도 고창군 신림면 외화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샘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효감천 · 더보기 »

우덕리산성

우덕리산성(優德里山城)은 전라북도 정읍시 덕천면에 있는 산성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우덕리산성 · 더보기 »

우금산성

우금산성(禹金山城)은 전라북도 부안군 상서면 감교리 개암사의 뒷산에 있는 돌로 쌓은 산성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우금산성 · 더보기 »

장수 타루비

비(墮淚碑)는 전라북도 장수군 천천면, 장척 마을의 산 기슭 도로가에 자리하고 있는 비석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장수 타루비 · 더보기 »

장수 합미성

합미성(合米城)은 전라북도 장수군 장수읍, 해발 800m의 산능선 정상에 자리하고 있는 산성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장수 합미성 · 더보기 »

이매창 묘

이매창 묘(李梅窓 墓)는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읍 서외리에 있는 무덤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이매창 묘 · 더보기 »

이병기 선생 생가

이병기 선생 생가(李秉岐 先生 生家)는 전라북도 익산시 여산면에 있는, 국문학자이자 시조작가인 가람 이병기(1891∼1968)의 생가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이병기 선생 생가 · 더보기 »

이치전적지

이치전적지(梨峙戰蹟地)는 전라북도 완주군 운주면 산북리에 있는, 임진왜란 전적지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이치전적지 · 더보기 »

이석정선생생가

이석정 선생 생가(李石亭 先生 生家)는 전라북도 김제시 백산면 상정리에 있는 건축물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이석정선생생가 · 더보기 »

인촌선생 생가

인촌선생 생가(仁村先生 生家)는 전라북도 고창군 부안면 봉암리에 있는, 대한민국 제2대 부통령이었던 인촌 김성수(1891∼1955) 선생이 태어난 곳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인촌선생 생가 · 더보기 »

익산 미륵산성

익산 미륵산성(益山 彌勒山城)은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미륵산에 있는 산성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익산 미륵산성 · 더보기 »

익산 백제토기 도요지

익산 백제토기 도요지(益山 百濟土器 陶窯址)는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에 있는 요지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익산 백제토기 도요지 · 더보기 »

익산 낭산산성

익산낭산산성(益山郎山山城)은 전라북도 익산시 낭산면에 있는 0의 익산낭산산성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익산 낭산산성 · 더보기 »

익산 나바위성당

익산 나바위성당(益山 나바위聖堂)은 전라북도 익산시 망성면에 있는 대한제국 시대의 성당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익산 나바위성당 · 더보기 »

익산 웅포리 고분군

익산 웅포리고분군(益山 熊浦里 古墳群)은 전라북도 익산시 웅포면 웅포리에 있는 고분군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익산 웅포리 고분군 · 더보기 »

익산 왕궁리 유적

익산 왕궁리 유적(益山 王宮里 遺蹟)은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에 있는 백제의 유적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익산 왕궁리 유적 · 더보기 »

은선리토성

은선리토성(隱仙里土城)은 전라북도 정읍시 영원면 은선리 탑림마을의 서북쪽에 있는 산성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은선리토성 · 더보기 »

적벽강

적벽강은 금강의 다른 별칭으로 충청남도 금산군 부리면에 금강이 들어오면 이 구간을 적벽강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적벽강 · 더보기 »

전라북도

전라북도(全羅北道)는 대한민국의 서남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전라북도 · 더보기 »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01호 ~ 제200호)

전라북도 기념물은 지방기념물 중에서 전라북도 내에 있는 문화재를 의미.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01호 ~ 제200호) · 더보기 »

전주 남고산성

전주 남고산성(全州 南固山城)은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에 있는 백제의 성곽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전주 남고산성 · 더보기 »

전주 숲정이

전주 숲정이는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진북동에 있는 천주교 순교지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전주 숲정이 · 더보기 »

정읍 고사부리성

정읍 고사부리성(井邑 古沙夫里城)은 전라북도 정읍시 고부면 고부리에 있는 백제의 성곽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정읍 고사부리성 · 더보기 »

정읍 내장사지

장사지(內藏寺址)은 전라북도 정읍시 내장동, 내장산에 있는 옛 내장사터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정읍 내장사지 · 더보기 »

정읍 운학리 고분군

정읍 운학리 고분군(井邑 雲鶴里 古墳群)은 전라북도 정읍시 영원면 운학리, 천태산 서쪽 구릉지대에 있는 3기의 무덤들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정읍 운학리 고분군 · 더보기 »

정읍 은선리와 도계리 고분군

정읍 은선리와 도계리 고분군(井邑 隱仙里와 道溪里 古墳群)은 전라북도 정읍시 영원면 은선리와 도계리에 있는 고분군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정읍 은선리와 도계리 고분군 · 더보기 »

정읍 전봉준 유적

정읍 전봉준 유적(井邑 全琫準 遺蹟)은 전라북도 정읍시 이평면 장내리에 있는, 녹두장군 전봉준이 동학 농민 운동에 앞장서던 때 살았던 집을 복원한 유적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정읍 전봉준 유적 · 더보기 »

정읍 지사리 고분군

정읍 지사리 고분군(井邑 知士里 古墳群)은 전라북도 정읍시 영원면 은선리에 있는 고분군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정읍 지사리 고분군 · 더보기 »

정읍 황토현 전적

정읍 황토현 전적(井邑 黃土峴 戰蹟)은 동학 농민 운동 때 농민군이 관군과 처음으로 싸워 대승을 거둔 자리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정읍 황토현 전적 · 더보기 »

정충사지

정충사지(旌忠祠址)은 전라북도 정읍시 흑암동에 있는 정충사 터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정충사지 · 더보기 »

정유재란 호벌치 전적지

정유재란 호벌치 전적지(丁酉再亂 胡伐峙 戰蹟地)는 전라북도 부안군 상서면에 있는 정유재란 전적지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정유재란 호벌치 전적지 · 더보기 »

조경단

조경단(肇慶壇)는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덕진동에 있는 전주 이씨의 시조 이한(李翰)의 묘역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조경단 · 더보기 »

진안 성재봉 태평봉수대

안 태평봉수대(鎭安 太平烽燧臺)는 전라북도 진안군 주천면에 있는 조선시대의 봉수대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진안 성재봉 태평봉수대 · 더보기 »

지행당

행당(地行堂)은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에 있는 사당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지행당 · 더보기 »

천주교 순교자묘

주교순교자묘(天主敎殉敎者墓)는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에 있는 천주교 성지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천주교 순교자묘 · 더보기 »

천호산성

호산성(天壺山城)은 전라북도 익산시 여산면에 있는 백제의 산성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천호산성 · 더보기 »

척문리산성

척문리산성(尺門里山城)은 전라북도 남원시 이백면에 있는 산성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척문리산성 · 더보기 »

칠연의총

연의총(七淵義塚)은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에 있는 무덤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칠연의총 · 더보기 »

유애사

유애사(遺愛祠)는 전라북도 정읍시에 있는, 충무공 이순신(1545∼1598)을 모신 사당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유애사 · 더보기 »

영은사지

영은사지(靈隱寺址)는 전라북도 정읍시 내상동에 있는, 백제 무왕 37년(636)에 영은조사가 지은 절 터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영은사지 · 더보기 »

오목대

오목대(梧木臺)는 1380년(고려 우왕 6년)에 이성계가 운봉 황산에서 왜군을 무찌르고 돌아가던 중 자신의 고조부인 목조가 살았던 이 곳에 들러 승전을 자축한 곳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오목대 · 더보기 »

최호장군 유지

호장군 유지(崔湖將軍 遺址)는 전라북도 군산시 개정면 발산리에 있는, 조선 중기의 무신인 최호 장군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최호장군 유지 · 더보기 »

삼세오충렬유적

삼세오충렬유적(三世五忠烈遺蹟)은 전라북도 익산시 용안면 중신리에 있는, 해주오씨 오충신(五忠臣)의 무덤과 사당인 충렬사가 있는 곳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삼세오충렬유적 · 더보기 »

성미산성

성미산성(城嵋山城)은 전라북도 임실군 관촌면에 있는 삼국시대의 산성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성미산성 · 더보기 »

서현사지

서현사지(西峴祠址)는 전라북도 정읍시 태인면 태서리, 박문효(1568∼1593)의 사당이 있던 장소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서현사지 · 더보기 »

아막성

아막성(阿莫城)은 전라북도 남원시 아영면 성리, 아영고원에 있는 돌로 쌓은 산성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아막성 · 더보기 »

원통사지

원통사지(圓通寺址)는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죽천리에 있는, 신라시대 원통사 절터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원통사지 · 더보기 »

웅치전적지

웅치전적지(熊峙戰蹟地)는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신촌리에 있는, 임진왜란 전적지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웅치전적지 · 더보기 »

완주 위봉산성

완주 위봉산성(完州 威鳳山城)은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에 있는 조선시대의 성곽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완주 위봉산성 · 더보기 »

10월 31일

10월 3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04번째(윤년일 경우 30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10월 31일 · 더보기 »

11월 17일

11월 1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21번째(윤년일 경우 32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11월 17일 · 더보기 »

11월 27일

11월 2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31번째(윤년일 경우 33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11월 27일 · 더보기 »

11월 28일

11월 2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32번째(윤년일 경우 33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11월 28일 · 더보기 »

11월 3일

11월 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07번째(윤년일 경우 30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11월 3일 · 더보기 »

12월 10일

12월 1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44번째(윤년일 경우 34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12월 10일 · 더보기 »

12월 20일

12월 2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54번째(윤년일 경우 35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12월 20일 · 더보기 »

12월 21일

12월 2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55번째(윤년일 경우 35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12월 21일 · 더보기 »

12월 27일

12월 2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61번째(윤년일 경우 36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12월 27일 · 더보기 »

12월 2일

12월 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36번째(윤년일 경우 33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12월 2일 · 더보기 »

12월 31일

12월 3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65번째(윤년일 경우 366번째) 날에 해당하며, 한 해의 마지막 날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12월 31일 · 더보기 »

1971년

1971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1971년 · 더보기 »

1973년

1973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1973년 · 더보기 »

1974년

1974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1974년 · 더보기 »

1976년

1976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1976년 · 더보기 »

1977년

1977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1977년 · 더보기 »

1979년

1979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1979년 · 더보기 »

1980년

1980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1980년 · 더보기 »

1981년

1981년(1981年)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1981년 · 더보기 »

1982년

1982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1982년 · 더보기 »

1983년

1983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1983년 · 더보기 »

1984년

1984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1984년 · 더보기 »

1985년

1985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1985년 · 더보기 »

1986년

1986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1986년 · 더보기 »

1987년

1987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1987년 · 더보기 »

1988년

1988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1988년 · 더보기 »

1991년

1991년 9월 17일.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비롯한 많은 국가들이 '''유엔'''에 '''동시 가입'''했다. (사진은 유엔 본사) 1991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1991년 · 더보기 »

1992년

보스니아 내전으로 파괴된 도서관에서 한 첼리스트가 연주를 하고 있다. 1992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1992년 · 더보기 »

1993년

8월 7일 ~ 11월 7일 동안 열린 '''대전엑스포'''를 기념하기 위해 건립된 상징 조형물인 '''한빛탑'''. 1993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1993년 · 더보기 »

1994년

1994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1994년 · 더보기 »

1995년

1995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1995년 · 더보기 »

1996년

1996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1996년 · 더보기 »

1997년

1997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1997년 · 더보기 »

1998년

1998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1998년 · 더보기 »

1999년

1999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1999년 · 더보기 »

1월 23일

1월 2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3번째(윤년일 경우도 2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1월 23일 · 더보기 »

1월 9일

1월 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9번째(윤년일 경우도 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1월 9일 · 더보기 »

2003년

2003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2003년 · 더보기 »

2004년

2004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2004년 · 더보기 »

2006년

2006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2006년 · 더보기 »

2008년

2008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2008년 · 더보기 »

2018년

2018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2018년 · 더보기 »

2월 26일

2월 2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57번째(윤년일 경우도 5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2월 26일 · 더보기 »

3월 29일

3월 2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88번째(윤년일 경우 8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3월 29일 · 더보기 »

3월 8일

3월 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67번째(윤년일 경우 6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3월 8일 · 더보기 »

4월 11일

4월 1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01번째(윤년일 경우 10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4월 11일 · 더보기 »

4월 1일

4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91번째(윤년일 경우 9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4월 1일 · 더보기 »

4월 23일

4월 2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13번째(윤년일 경우 11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4월 23일 · 더보기 »

4월 26일

4월 2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16번째(윤년일 경우 11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4월 26일 · 더보기 »

4월 2일

4월 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92번째(윤년일 경우 9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4월 2일 · 더보기 »

4월 3일

4월 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93번째(윤년일 경우 9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4월 3일 · 더보기 »

4월 6일

4월 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96번째(윤년일 경우 9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4월 6일 · 더보기 »

5월 28일

5월 2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48번째(윤년일 경우 14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5월 28일 · 더보기 »

6월 20일

6월 2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71번째(윤년일 경우 17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6월 20일 · 더보기 »

6월 23일

6월 2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74번째(윤년일 경우 17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6월 23일 · 더보기 »

7월 18일

7월 1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99번째(윤년일 경우 20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7월 18일 · 더보기 »

8월 10일

8월 1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22번째(윤년일 경우 22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8월 10일 · 더보기 »

8월 16일

8월 1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28번째(윤년일 경우 22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8월 16일 · 더보기 »

8월 24일

8월 2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36번째(윤년일 경우 23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8월 24일 · 더보기 »

8월 30일

8월 3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42번째(윤년일 경우 24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8월 30일 · 더보기 »

8월 31일

8월 3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43번째(윤년일 경우 24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8월 31일 · 더보기 »

9월 17일

9월 1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60번째(윤년일 경우 26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9월 17일 · 더보기 »

9월 20일

9월 2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63번째(윤년일 경우 26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9월 20일 · 더보기 »

9월 24일

9월 2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67번째(윤년일 경우 26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9월 24일 · 더보기 »

9월 27일

9월 2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70번째(윤년일 경우 27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9월 27일 · 더보기 »

9월 9일

9월 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52번째(윤년일 경우 25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와 9월 9일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