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정동제일교회

색인 정동제일교회

정동제일교회(貞洞第一敎會)는 대한민국에 최초로 세워진 감리교 교회 중에 하나이.

48 처지: 덕수궁, 목사, 민족대표 33인, 감리교, 배재학당, 개신교, 박동완, 병원, 부녀자, 기독교대한감리회, 기독교청년회, 대한민국, 대한민국 독립유공자, 대한민국 국가보훈처, 대한민국의 사적, 대한제국, 교회, 내리교회, 이승만, 이필주, 이화학당, 정동 (서울), 조선, 중구 (서울특별시), 유관순, 윤치호, 파이프 오르간, 새문안교회, 예배, 현순, 최병헌, 어린이, 헨리 아펜젤러, 서울특별시, 서재필, 손정도, 신흥우, 105인 사건, 10월 11일, 11월 22일, 1885년, 1887년, 1897년, 1902년, 1918년, 1919년, 1977년, 3·1 운동.

덕수궁

덕수궁(德壽宮)은 서울 중구 정동(貞洞)에 있는 조선과 대한제국의 궁궐로서, 대한민국의 사적 제124호이며 면적은 63,069m2이.

새로운!!: 정동제일교회와 덕수궁 · 더보기 »

목사

목사(牧師)는 개신교의 성직자이.

새로운!!: 정동제일교회와 목사 · 더보기 »

민족대표 33인

민족대표 33인(民族代表三十三人)은 1919년 3·1 운동 때 발표된 기미독립선언서에 서명한 33명을 가리.

새로운!!: 정동제일교회와 민족대표 33인 · 더보기 »

감리교

리교회(監理敎會)는 성서를 중심으로 한 이성, 전통, 체험을 기독교의 근간으로 이해하는 복음주의적이며 경건한 신학적 입장을 가진 개신교 교파이.

새로운!!: 정동제일교회와 감리교 · 더보기 »

배재학당

배재학당의 모습 배재학당(培材學堂)은 1885년 8월 3일, 미국의 감리교 선교사인 헨리 아펜젤러가 서울에 세운 한국 최초의 근대식 중등교육기관이며, 배재중학교, 배재고등학교, 배재대학교의 전신이.

새로운!!: 정동제일교회와 배재학당 · 더보기 »

개신교

신교(改新敎) 또는 프로테스탄트(Protestantism)는 16세기 교회의 개혁가들의 종교개혁을 통해 생겨난 기독교의 한 전통이.

새로운!!: 정동제일교회와 개신교 · 더보기 »

박동완

박동완(朴東完, 1885년 12월 27일 ~ 1941년 2월 23일)은 한국의 감리교 목사이며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정동제일교회와 박동완 · 더보기 »

병원

병원 - 브라질 병원()은 질병이나 질환에 대해 의료를 제공하고 환자가 입원하는 시설이.

새로운!!: 정동제일교회와 병원 · 더보기 »

부녀자

부녀자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정동제일교회와 부녀자 · 더보기 »

기독교대한감리회

독교대한감리회 (基督敎大韓監理會)는 대한민국에서 존 웨슬리 신학과 감리교 신앙과 제도를 따르는 개신교 교단으로 세계감리교협의회 정식 소속 교단이.

새로운!!: 정동제일교회와 기독교대한감리회 · 더보기 »

기독교청년회

독교청년회(YMCA, Young Men's Christian Association)는 영국의 복음주의자들이 1844년 결성한 기독교 민간단체이.

새로운!!: 정동제일교회와 기독교청년회 · 더보기 »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정동제일교회와 대한민국 · 더보기 »

대한민국 독립유공자

독립유공자(獨立有功者)는 '독립유공자예우에관한법률'에 따른 순국선열과 애국지사를 말. 이러한 순국선열과 애국지사의 숭고한 독립정신을 계승, 선양하고 민족정기와 민족단결을 고취하며 조국의 평화통일과 민족중흥의 역사적 대업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1982년 1월 29일, 한국독립유공자협회(韓國獨立有功者協會)가 설립되었.

새로운!!: 정동제일교회와 대한민국 독립유공자 · 더보기 »

대한민국 국가보훈처

국가보훈처(國家報勳處,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약칭: 보훈처, MPVA)는 국가유공자 및 그 유족에 대한 보훈, 제대군인의 보상·보호 및 보훈선양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

새로운!!: 정동제일교회와 대한민국 국가보훈처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사적

사적(史蹟)은 기념물 가운데 선사시대의 유적 및 고분, 정치 및 전쟁에 관한 유적, 제사ㆍ신앙에 관한 유적, 산업ㆍ교통ㆍ토목에 관한 유적, 교육ㆍ사회사업 관계 유적, 분묘와 비석 등의 유적으로 중요한 것을 말. 다음은 대한민국 문화재청이 지정한 대한민국의 사적지 목록이.

새로운!!: 정동제일교회와 대한민국의 사적 · 더보기 »

대한제국

제국()은 1897년(광무 원년) 10월 12일부터 1910년 8월 29일까지 한반도와 그 부속 도서를 통치하였던 전제군주제 국가이.

새로운!!: 정동제일교회와 대한제국 · 더보기 »

교회

회(敎會)는 일반적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구주로 고백하는 기독교인들의 신앙 공동체를 일컫는 말이.

새로운!!: 정동제일교회와 교회 · 더보기 »

내리교회

리교회 내리교회(內里敎會)는 대한민국의 감리회 교회이.

새로운!!: 정동제일교회와 내리교회 · 더보기 »

이승만

이승만(李承晩, 1875년 5월 1일(음력 3월 26일) ~ 1965년 7월 19일) 또는 리승만은 조선과 대한제국 및 대한민국의 개화파, 언론인, 정치인이며,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대통령, 대한민국의 제1·2·3대 대통령이.

새로운!!: 정동제일교회와 이승만 · 더보기 »

이필주

이필주(李弼柱, 1870년 1월 13일(1869년 음력 12월 12일) ~ 1942년 4월 21일)는 한국의 감리교 목사이며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정동제일교회와 이필주 · 더보기 »

이화학당

쓰개치마를 쓰고 등교중인 1900년대의 이화학당 여학생 이화학당(梨花學堂, 리화학당)은 1886년에 조선 한성부에 설립된 근대 교육기관으로 한국 초기의 여성교육 기관의.

새로운!!: 정동제일교회와 이화학당 · 더보기 »

정동 (서울)

정동(貞洞)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중구에 속하는 법정동으로 덕수궁의 북서쪽에 위치하고 있. 정동이란 이름은 조선 태조 이성계의 계비인 신덕왕후의 정릉(貞陵)이 현재 정동 4번지에 있던 데에서 유래되었.

새로운!!: 정동제일교회와 정동 (서울)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정동제일교회와 조선 · 더보기 »

중구 (서울특별시)

중구(中區)는 서울특별시의 중앙부에 있는 자치구이.

새로운!!: 정동제일교회와 중구 (서울특별시) · 더보기 »

유관순

순(柳寬順, 유관순, 1902년 12월 16일 ~ 1920년 9월 28일) 열사는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정동제일교회와 유관순 · 더보기 »

윤치호

윤치호(尹致昊, 일본식 이름:, 1865년 1월 23일 ~ 1945년 12월 9일)는 조선, 대한제국의 개혁, 민권운동가·문신이자 외교관·언론인·교육자, 한국의 정치가·교육자·사상가·언론인·종교가이며 기독교운동가였.

새로운!!: 정동제일교회와 윤치호 · 더보기 »

파이프 오르간

독일 뢰타 마리엔교회 질버만오르간 - 1722년 완공 파이프 오르간(pipe-organ)은 오르간의 하나로서, 여러 길이의 관을 음계적으로 배열하고, 이에 바람을 보내어 소리를 내는 건반 악기이.

새로운!!: 정동제일교회와 파이프 오르간 · 더보기 »

새문안교회

새문안교회는 한국 최초의 조직 교회로 1887년 9월 27일 화요일 저녁, 서울 정동에 위치한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 목사의 사랑채에서 언더우드 목사의 주재하에 한국인 서상륜 등 세례교인 14인과 존 로스 목사가 참석한 가운데 첫 예배가 시작.

새로운!!: 정동제일교회와 새문안교회 · 더보기 »

예배

예배(禮拜)는 문자적으로는 ‘예를 갖추어 절한다’ 라는 뜻으로, 종교에서 신앙의 대상에게 존경과 숭앙하는 마음을 표현하는 것을 말. 각 종교마다 예배의 구체적 의미와 형식은 차이를 보일 수 있.

새로운!!: 정동제일교회와 예배 · 더보기 »

현순

현순(玄楯, 1880년 2월 28일 ~ 1968년 7월 11일)은 일제 강점기 감리교회의 목사이며 한국의 독립운동가, 목회자이.

새로운!!: 정동제일교회와 현순 · 더보기 »

최병헌

정동제일감리교회 앞마당의 최병헌목사상 최병헌(崔炳憲, 1858년 ~ 1927년)은 구한말 및 일제 강점기의 개신교 목회자, 교육자, 번역가이.

새로운!!: 정동제일교회와 최병헌 · 더보기 »

어린이

대한민국의 어린이. 대한민국의 어린이들. 예루살렘의 어린이들. 나미비아의 어린이들. 중국 시베이의 어린이들. 어린이는 보통 만 6세 이상 13세 미만의 연령대에 속한 사람을 가리키는 말로, 넓은 의미로는 유아(만 1~5세)를.

새로운!!: 정동제일교회와 어린이 · 더보기 »

헨리 아펜젤러

헨리 거하드 아펜젤러(Henry Gerhard Appenzeller, 1858년 2월 6일 ~ 1902년 6월 11일)는 1885년 조선에 입국하여 활동한 미국 감리교(북감리회) 선교사이.

새로운!!: 정동제일교회와 헨리 아펜젤러 · 더보기 »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는 대한민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새로운!!: 정동제일교회와 서울특별시 · 더보기 »

서재필

서재필(徐載弼, 1864년 1월 7일 ~ 1951년 1월 5일, 미국 귀화명은 필립 제이슨(Philip Jaisohn))은 조선의 무신, 대한제국의 정치인, 언론인이자 미국 국적의 한국 독립운동가, 의사였.

새로운!!: 정동제일교회와 서재필 · 더보기 »

손정도

이시영 사이) 손정도(孫貞道, 1872년 7월 26일 ~ 1931년 2월 19일)는 한국의 독립운동가, 감리교 목사이.

새로운!!: 정동제일교회와 손정도 · 더보기 »

신흥우

신흥우(申興雨, 일본식 이름: 高霊興雨, 1883년 3월 26일(음력 2월 18일) ~ 1959년 3월 15일)는 한국의 개화 운동가이자 감리교 목회자이.

새로운!!: 정동제일교회와 신흥우 · 더보기 »

105인 사건

105인 사건(百五人事件)은 1911년에 일어난 일본이 한국의 민족운동을 탄압하기 위한 사건들 중 하나이.

새로운!!: 정동제일교회와 105인 사건 · 더보기 »

10월 11일

10월 1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84번째(윤년일 경우 28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정동제일교회와 10월 11일 · 더보기 »

11월 22일

11월 2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26번째(윤년일 경우 32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정동제일교회와 11월 22일 · 더보기 »

1885년

1885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정동제일교회와 1885년 · 더보기 »

1887년

1887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정동제일교회와 1887년 · 더보기 »

1897년

1897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정동제일교회와 1897년 · 더보기 »

1902년

1902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정동제일교회와 1902년 · 더보기 »

1918년

1918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정동제일교회와 1918년 · 더보기 »

1919년

1919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정동제일교회와 1919년 · 더보기 »

1977년

1977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정동제일교회와 1977년 · 더보기 »

3·1 운동

3·1 운동(三一運動) 또는 3·1 만세 운동(三一萬歲運動)은 일제 강점기에 있던 한국인들이 일제의 지배에 항거하여 1919년 3월 1일 한일병합조약의 무효와 한국의 독립을 선언하고 비폭력 만세운동을 시작한 사건이.

새로운!!: 정동제일교회와 3·1 운동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정동 제일 교회, 정동감리교회, 정동교회, 정동제일감리교회, 서울 정동교회.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