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정미수

색인 정미수

정미수(鄭眉壽, 1456년 ~ 1512년 음력 4월 15일)는 조선의 문신이.

32 처지: 돈녕부, 갑자사화, 경기도, 경혜공주, 광주광역시, 김포시, 대명률, 남양주시, 당상관, 자 (이름), 음력 4월 15일, 전라도, 전의 이씨, 정국공신, 정희왕후, 정종 (영양위), 정순왕후 (조선 단종), 조선, 조선 문종, 조선 단종, 조선 세조, 조선왕조실록, 중종반정, 수렴청정, 현덕왕후, 연산군일기, 사릉, 해주 정씨, 시호, 왕비, 1456년, 1512년.

돈녕부

녕부(敦寧府)는 조선 시대의 왕과 왕비의 친인척을 관리하던 관청이.

새로운!!: 정미수와 돈녕부 · 더보기 »

갑자사화

갑자사화 (甲子士禍)는 1504년(연산군 10년) 연산군의 어머니 폐비 윤씨의 복위 문제로 인하여 일어난 사화이.

새로운!!: 정미수와 갑자사화 · 더보기 »

경기도

경기도(京畿道)는 대한민국의 북서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정미수와 경기도 · 더보기 »

경혜공주

경혜공주(敬惠公主, 1436년 ~ 1473년 음력 12월 30일)는 문종과 현덕왕후 사이에서 태어난 딸로, 단종의 친누이이.

새로운!!: 정미수와 경혜공주 · 더보기 »

광주광역시

광주광역시(光州廣域市)는 대한민국의 남서부에 있는 광역시이.

새로운!!: 정미수와 광주광역시 · 더보기 »

김포시

시(金浦市)는 대한민국 경기도 중서부 에 위치하고 있는 시이.

새로운!!: 정미수와 김포시 · 더보기 »

대명률

《대명률》(大明律)은 1397년에 반포되어 명·청시대의 약 500년간을 통하여 형률(刑律)의 근본(根本)이 된 중국의 법전이.

새로운!!: 정미수와 대명률 · 더보기 »

남양주시

양주시청 1청사(구 미금시청) 남양주시(南楊州市)는 대한민국 경기도의 중동부에 위치하고 있는 시이.

새로운!!: 정미수와 남양주시 · 더보기 »

당상관

당상관(堂上官)은 조선의 관직 가운데 정책 결정에 참여하고 정치적 책임을 갖는 정 3품 이상의 자리를 가리.

새로운!!: 정미수와 당상관 · 더보기 »

자 (이름)

자(字)는 한자 문화권, 특히 중국이나 한국, 일본에서 성년이 되는 관례 때 받는 이름인 관명과 함께 스스럼없이 부를 수 있도록 짓는 새로운 이름을 말. 이는 이름이 부모가 주신 것으로서 부모님이나 스승, 왕(혹은 황제)외에는 함부로 부르지 못하는 것으로 인식하던 데에 기인.

새로운!!: 정미수와 자 (이름) · 더보기 »

음력 4월 15일

음력 4월 15일은 음력 4월의 15번째 날이.

새로운!!: 정미수와 음력 4월 15일 · 더보기 »

전라도

전라도(全羅道)는 전라북도와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제주특별자치도 일대를 관할했던 행정구역으로 호남 지방(湖南地方)에 해당.

새로운!!: 정미수와 전라도 · 더보기 »

전의 이씨

전의 이씨(全義 李氏)는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정미수와 전의 이씨 · 더보기 »

정국공신

정국공신(靖國功臣)은 조선 중종 때인 1506년 중종 반정에 공을 세운 사람들에게 내린 작위이.

새로운!!: 정미수와 정국공신 · 더보기 »

정희왕후

정희왕후 윤씨(貞熹王后 尹氏, 1418년 12월 8일 (음력 11월 11일) ~ 1483년 5월 6일 (음력 3월 30일))는 조선 세조의 왕비이.

새로운!!: 정미수와 정희왕후 · 더보기 »

정종 (영양위)

정종(鄭悰, ? ~ 1461년)은 조선의 문신이며, 문종의 부마이.

새로운!!: 정미수와 정종 (영양위) · 더보기 »

정순왕후 (조선 단종)

정순왕후 송씨(定順王后 宋氏, 1440년 ~ 1521년 7월 7일 (음력 6월 4일)) 는 조선 단종(端宗)의 정비이.

새로운!!: 정미수와 정순왕후 (조선 단종)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정미수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문종

문종(文宗, 1414년 11월 15일 (음력 10월 3일) ~ 1452년 6월 1일 (음력 5월 14일), 재위 1450년 ~ 1452년)은 조선의 제5대 임금이.

새로운!!: 정미수와 조선 문종 · 더보기 »

조선 단종

종(端宗, 1441년 8월 9일 (음력 7월 23일) ~ 1457년 11월 7일 (음력 10월 21일), 재위 1452년~1455년)은 조선의 제6대 왕이.

새로운!!: 정미수와 조선 단종 · 더보기 »

조선 세조

세조(世祖, 1417년 11월 2일 (음력 9월 24일) ~ 1468년 9월 23일 (음력 9월 8일), 재위 1455년~1468년)는 조선의 제7대 임금, 시인이.

새로운!!: 정미수와 조선 세조 · 더보기 »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은 태조(1392년)부터 철종(1863년)까지 25대에 걸친 472년간 조선 왕조의 역사적 사실을 연월일순(年月日順)에 따라 편년체로 기술한 역사서이.

새로운!!: 정미수와 조선왕조실록 · 더보기 »

중종반정

중종반정(中宗反正)은 1506년 9월 18일(음력 9월 2일) 연산군이 폐위되고 진성대군 이역(李懌)이 옹립된 사건을 말.

새로운!!: 정미수와 중종반정 · 더보기 »

수렴청정

수렴청정(垂簾聽政)은 동아시아에서 나이 어린 왕이 즉위했을 때 왕의 어머니나 할머니, 또는 큰어머니(적모, 백모)나 작은어머니(숙모)가 대리로 정치를 맡는 일을 말한다(→섭정).

새로운!!: 정미수와 수렴청정 · 더보기 »

현덕왕후

현덕왕후 권씨(顯德王后 權氏, 1418년 4월 17일 (음력 3월 12일) ~ 1441년 8월 10일 (음력 7월 24일))는 조선 문종의 왕비이.

새로운!!: 정미수와 현덕왕후 · 더보기 »

연산군일기

《연산군일기》(燕山君日記)는 1494년 음력 12월부터 1506년 음력 1월까지 조선 연산군 시대의 사실을 기록한 실록이.

새로운!!: 정미수와 연산군일기 · 더보기 »

사릉

사릉(思陵)은 조선 제6대 단종의 비 정순왕후 송씨의 능이.

새로운!!: 정미수와 사릉 · 더보기 »

해주 정씨

주 정씨(海州 鄭氏)는 황해도 해주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정미수와 해주 정씨 · 더보기 »

시호

시호(諡號)는 죽은 인물에게 국가에서 내려주거나 죽은 군주에게 다음 군주가 올리는 특별한 이름으로, 동양의 군주제 국가에서 시행되었.

새로운!!: 정미수와 시호 · 더보기 »

왕비

왕비(王妃)는 제후왕의 부인인 비(妃)로서, 궁중에서 대왕대비와 왕대비 다음으로 높은 자리를.

새로운!!: 정미수와 왕비 · 더보기 »

145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정미수와 1456년 · 더보기 »

151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정미수와 1512년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