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정세권

색인 정세권

정세권(鄭世權, 1888년 4월 10일~1965년 9월 14일)은 일제 강점기의 부동산 개발업자로 북촌과 익선동, 봉익동, 성북동, 혜화동, 창신동, 서대문, 왕십리, 행당동 등 경성 전역에 한옥 대단지를 건설하였.

26 처지: 뚝섬, 돈의문, 물산장려운동, 가회동, 경상남도, 경성부, 고성군 (경상남도), 봉익동, 북촌 한옥마을, 누동궁, 낙원동 (서울), 이극로, 일제 강점기, 종로동 (서울), 창신동, 혜화동, 행당동, 삼청동, 성북동, 한글 학회, 한글학회 큰 사전, 한옥, 안재홍, 하이면, 완친왕, 왕십리동.

뚝섬

뚝섬(纛島)은 서울특별시 성동구 성수동 일대에 있었던, 한강에 홍수가 날 때마다 지대가 낮아 물길이 생겼던 일시적인 섬이.

새로운!!: 정세권와 뚝섬 · 더보기 »

돈의문

의문 돈의문(敦義門)은 조선의 수도인 한양의 4대문(大門) 중의 하나로 서쪽의 대문이.

새로운!!: 정세권와 돈의문 · 더보기 »

물산장려운동

경성 방직 주식 회사의 국산품 애용 선전 광고. 물산장려운동(物産奬勵運動)은 일제 강점기 1920년대 일제의 경제적 수탈정책에 맞서 전개하였던 범국민적 민족경제 자립실천운동이.

새로운!!: 정세권와 물산장려운동 · 더보기 »

가회동

회동(嘉會洞)은 서울특별시 종로구의 법정동이자 행정동이.

새로운!!: 정세권와 가회동 · 더보기 »

경상남도

경상남도(慶尙南道)는 대한민국 남동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정세권와 경상남도 · 더보기 »

경성부

경성부(京城府) 또는 게이조 부()는 일제 강점기 때에 존재했던 행정 구역으로, 현재의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에 해당.

새로운!!: 정세권와 경성부 · 더보기 »

고성군 (경상남도)

성군청 고성군(固城郡)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남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정세권와 고성군 (경상남도) · 더보기 »

봉익동

봉익동(鳳翼洞)은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법정동으로, 행정동인 종로1·2·3·4가동 아래에 있. 북으로 권농동, 동으로는 훈정동, 남으로는 종로3가, 서쪽은 묘동으로 둘러싸인 긴 사다리꼴 모양의 지형을 이루고 있.

새로운!!: 정세권와 봉익동 · 더보기 »

북촌 한옥마을

북촌 한옥마을 북촌 한옥마을은 경복궁과 창덕궁, 종묘의 사이에 위치한 서울의 전통(일제 강점기 시대 전후의 근현대) 한옥 거주 지역이.

새로운!!: 정세권와 북촌 한옥마을 · 더보기 »

누동궁

동궁(樓洞宮)은 한성 북부 안국방 즉 현재 종로구 익선동 166번지에 있던 궁으로 철종의 사친 전계대원군의 사손들의 사저이자 종택이기도 하며, 누동궁 내에는 불천지위 3위를 모신 전계궁이 있었던 곳이.

새로운!!: 정세권와 누동궁 · 더보기 »

낙원동 (서울)

낙원동(樂園洞)은 서울시 종로구의 법정동이.

새로운!!: 정세권와 낙원동 (서울) · 더보기 »

이극로

이극로(李克魯, 문화어: 리극로, 1893년 8월 28일 ~ 1978년)는 전의예안이씨 대종중 전서공파 28대세손 울산 화수회 문중 예조참판 함장파 15대세 후손으로 경상남도 의령(宜寧) 출생, 호는 "고루"이며, 일제강점기 때 활동한 독립운동가 조선어학회 회장이자 한글학자로, 복역하다 해방과 함께 출소하셨고 당 간사자격으로 백범 김구 선생을 대동한 바 있으며 전란속에 잔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정세권와 이극로 · 더보기 »

일제 강점기

일제강점기(1910년 8월 29일 ~ 1945년 8월 15일)는 한국의 역사에서 한국의 근현대사를 시대별로 나누었을 때 주요 시대 중 하나로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가 일본 제국의 식민 지배 아래 놓였던 시기이.

새로운!!: 정세권와 일제 강점기 · 더보기 »

종로동 (서울)

종로동(鍾路洞)은 서울특별시 종로구의 행정동군이.

새로운!!: 정세권와 종로동 (서울) · 더보기 »

창신동

낙산에서 바라본 창신2동 창신동(昌信洞)은 서울특별시 종로구의 법정동이.

새로운!!: 정세권와 창신동 · 더보기 »

혜화동

혜화동(惠化洞)은 서울특별시 종로구의 법정동이자 행정동으로, 행정동 혜화동은 법정동 혜화동, 명륜1가, 명륜2가, 명륜3가, 명륜4가, 와룡동을.

새로운!!: 정세권와 혜화동 · 더보기 »

행당동

행당동(杏堂洞)은 서울특별시 성동구의 법정동이.

새로운!!: 정세권와 행당동 · 더보기 »

삼청동

삼청동(三淸洞)은 서울특별시 종로구의 법정동이자 행정동이.

새로운!!: 정세권와 삼청동 · 더보기 »

성북동

성북동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정세권와 성북동 · 더보기 »

한글 학회

학회(—學會)는 한글과 한국어의 연구를 위해 이루어진 학술 단체이.

새로운!!: 정세권와 한글 학회 · 더보기 »

한글학회 큰 사전

학회 큰 사전, 또는 우리말 큰사전은 조선어학회가 1933년부터 본격적으로 제작한 '조선어사전'을 광복 이후 다듬어 만들기 시작해, 1947년부터 발간되기 시작해 1957년 완간된 최초의 대형 한국어 사전이.

새로운!!: 정세권와 한글학회 큰 사전 · 더보기 »

한옥

옥 한옥(韓屋)은 전통 한국 건축 양식을 사용한 재래식 집을 말. 조선집(朝鮮―)이.

새로운!!: 정세권와 한옥 · 더보기 »

안재홍

안재홍(安在鴻, 1891년 12월 30일 ~ 1965년 3월 1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 통일운동가, 정치가이며 언론인, 역사가, 언어학자이.

새로운!!: 정세권와 안재홍 · 더보기 »

하이면

이면(下二面)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고성군에 있는 면이.

새로운!!: 정세권와 하이면 · 더보기 »

완친왕

완친왕(完親王, 1868년 5월 31일 ~ 1880년 1월 12일)은 조선의 왕족이자 대한제국의 황자이며 추존 친왕이.

새로운!!: 정세권와 완친왕 · 더보기 »

왕십리동

왕십리제2동(往十里第2洞)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동구의 동이.

새로운!!: 정세권와 왕십리동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