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정인섭

색인 정인섭

정인섭(鄭寅燮, 일본식 이름: 東原寅燮, 1905년 3월 31일 ~ 1983년 9월 16일)은 한국의 문학평론가, 번역문학가, 영문학자이.

47 처지: 매일신보,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민주노동당 (대한민국), 경상남도, 극예술연구회, 김진섭 (1903년), 대한민국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국제펜클럽, 울주군, 울산광역시, 이하윤, 일본, 일제 강점기, 조지 버나드 쇼, 조선문인협회,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 중앙대학교, 친일 문학인 42인 명단,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 유치진, 태평양 전쟁, 색동회, 에드거 앨런 포, 연희전문학교, 프롤레타리아, 서울대학교, 서울특별시, 손진태, 송석하 (민속학자), 해외문학파, 한글 맞춤법 통일안, 한글 학회, 한국, 한국외국어대학교, 와세다 대학, 1905년, 1922년, 1926년, 1929년, 1931년, 1932년, 1940년, 1983년, 2002년, 2008년, 3월 31일, 9월 16일.

매일신보

1910년 8월 30일자 매일신보 창간호. 1945년 8월 15일자 매일신보 《매일신보》(每日申報, 每日新報)는 일제 강점기 동안 발행된 조선총독부의 기관지이.

새로운!!: 정인섭와 매일신보 · 더보기 »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이 문서는 민족문제연구소가 2009년 11월 8일에 편찬한 친일인명사전에 수록된 자들에 관한 명단을.

새로운!!: 정인섭와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 더보기 »

민주노동당 (대한민국)

민국의 시계열적 정당 지도 민주노동당(民主勞動黨)은 2000년 1월 30일 창당하여 2011년까지 존재했던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진보주의 정당이.

새로운!!: 정인섭와 민주노동당 (대한민국) · 더보기 »

경상남도

경상남도(慶尙南道)는 대한민국 남동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정인섭와 경상남도 · 더보기 »

극예술연구회

극예술연구회(劇藝術硏究會)는 일제 강점기인 1931년에 창립된 신극 운동 단체이.

새로운!!: 정인섭와 극예술연구회 · 더보기 »

김진섭 (1903년)

섭(金晉燮, 1903년 8월 24일 ~ ?)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 건국 초기의 문학평론가, 수필가, 시인, 문인이며 독문학자, 방송인이.

새로운!!: 정인섭와 김진섭 (1903년) · 더보기 »

대한민국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반민규명위 보고서 대한민국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大韓民國 親日反民族行爲眞相糾明委員會, 약칭 반민규명위)는 일제강점하 반민족행위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이 2004년 3월 22일 공포되면서 이 법률의 시행령에 따라 2005년 5월 31일 대통령 소속으로 발족한 기구이.

새로운!!: 정인섭와 대한민국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 더보기 »

국제펜클럽

국제펜클럽(International PEN)은 국제 문학인 단체이.

새로운!!: 정인섭와 국제펜클럽 · 더보기 »

울주군

울주군(蔚州郡)은 대한민국 울산광역시 서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정인섭와 울주군 · 더보기 »

울산광역시

울산광역시(蔚山廣域市)는 대한민국 남동부 해안에 있는 광역시이.

새로운!!: 정인섭와 울산광역시 · 더보기 »

이하윤

이하윤(異河潤, 1906년 4월 9일 ~ 1974년 3월 12일)은 대한민국의 언론인 겸 시인, 번역문학가이자 영문학자이.

새로운!!: 정인섭와 이하윤 · 더보기 »

일본

일본국(닛폰코쿠), 약칭 일본(日本,, 닛폰)은 동아시아에 있는 국. 국토는 태평양에 있는 일본 열도의 네 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홋카이도, 혼슈, 시코쿠, 규슈를 중심으로 주변에 산재한 작은 섬으로 구성되어 있. 총 면적은 37만 7835 km2인데 이는 노르웨이(스발바르 제도와 얀마옌을 포함한 경우)보다 작으며 독일보.

새로운!!: 정인섭와 일본 · 더보기 »

일제 강점기

일제강점기(1910년 8월 29일 ~ 1945년 8월 15일)는 한국의 역사에서 한국의 근현대사를 시대별로 나누었을 때 주요 시대 중 하나로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가 일본 제국의 식민 지배 아래 놓였던 시기이.

새로운!!: 정인섭와 일제 강점기 · 더보기 »

조지 버나드 쇼

조지 버나드 쇼(George Bernard Shaw, 1856년 7월 26일 ~ 1950년 11월 2일)는 아일랜드의 극작가 겸 소설가이자 수필가, 비평가, 화가, 웅변가이.

새로운!!: 정인섭와 조지 버나드 쇼 · 더보기 »

조선문인협회

조선문인협회(朝鮮文人協會)는 일제 강점기의 문학 단체이.

새로운!!: 정인섭와 조선문인협회 · 더보기 »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 통칭 카프()는 1925년 8월에 결성된 사회주의 문학단체이.

새로운!!: 정인섭와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 · 더보기 »

중앙대학교

중앙대학교(中央大學校, Chung-Ang University)는 서울특별시 동작구 흑석동에 있으며, 경기도 안성시 대덕면에 있는 대한민국의 사립대학이.

새로운!!: 정인섭와 중앙대학교 · 더보기 »

친일 문학인 42인 명단

일 문학인 42인 명단은 2002년 8월 14일 민족문학작가회의, 민족문제연구소, 계간 《실천문학》, 나라와 문화를 생각하는 국회의원 모임, 민족정기를 세우는 국회의원모임(회장 김희선)이 공동 발표한 문학 분야 친일 인물 42명에 관한 명단이.

새로운!!: 정인섭와 친일 문학인 42인 명단 · 더보기 »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

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親日反民族行爲705人名單)은 2009년 11월 27일 대한민국의 대통령 소속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반민규명위, 위원장 성대경)가 이명박 대통령과 국회에 보고한 일제 강점기 말기 친일반민족행위 관련자 705명에 관한 명단이.

새로운!!: 정인섭와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 · 더보기 »

유치진

유치진(柳致眞, 1905년 11월 19일 ~ 1974년 2월 10일)은 대한민국의 연극인, 극작가, 소설가이.

새로운!!: 정인섭와 유치진 · 더보기 »

태평양 전쟁

평양 전쟁, 또는 때때로 아시아-태평양 전쟁,은 제2차 세계 대전의 전역 중 하나로 태평양과 동아시아에서 벌어진 전쟁이.

새로운!!: 정인섭와 태평양 전쟁 · 더보기 »

색동회

색동회는 소파 방정환이 결성한 어린이 운동단체이.

새로운!!: 정인섭와 색동회 · 더보기 »

에드거 앨런 포

에드거 앨런 포(포우, 1809년 1월 19일 ~ 1849년 10월 7일)는 미국의 작가·시인·편집자·문학평론가이.

새로운!!: 정인섭와 에드거 앨런 포 · 더보기 »

연희전문학교

1918년의 연희전문학교 연희전문학교는 경신학교의 후신으로 세브란스의과대학과 함께 연세대학교의 공동 전신이.

새로운!!: 정인섭와 연희전문학교 · 더보기 »

프롤레타리아

IWW의 기관지 산업 노동자에 게재된 자본주의 비판. "자본주의... 그들은 우리를 통치하고, 속이며, 죽이고, 우리 대신 음식을 먹는다. 그러나 우리는 모두를 위해 일하며 모두를 먹여살린다". 프롤레타리아()는 사회적으로 하위 계급의 일원, 프롤레타리아트()는 하위 계급을 일컫.

새로운!!: 정인섭와 프롤레타리아 · 더보기 »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 정장(Emblem) 서울대학교(서울大學校, Seoul National University)는 대한민국의 국립대학이.

새로운!!: 정인섭와 서울대학교 · 더보기 »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는 대한민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새로운!!: 정인섭와 서울특별시 · 더보기 »

손진태

손진태(孫晉泰, 1900년 12월 28일 - ?)는 일제 강점기의 사학자, 민속학자로 호는 남창(南滄), 본관은 밀양이며 경상남도 동래군(현재의 부산광역시) 출신이.

새로운!!: 정인섭와 손진태 · 더보기 »

송석하 (민속학자)

1930년대의 송석하. 송석하(宋錫夏, 1904년 10월 11일 ~ 1948년 8월 5일)는 일제 강점기와 미군정 대한민국 시대의 민속학자이.

새로운!!: 정인섭와 송석하 (민속학자) · 더보기 »

해외문학파

외문학파(海外文學派)는 일제 강점기에 잡지 《해외문학(海外文學》을 중심으로 외국문학에 대한 이론 및 작품의 번역 및 소개에 힘쓰던 시인들을 말한다. 프로문학 전성기에 이에 대한 문학사적인 반동으로 등장하여 신흥문학운동을 전개한 동인들이다. 1927년 도쿄에서 주로 외국 문학도들이 모여 해외문학연구회(海外文學硏究會)라는 동인회를 구성하고, 그 기관지 《해외문학》을 창간, 2호까지 냈다. 활약한 동인들은 김진섭, 이헌구, 정인섭, 이하윤, 함대훈, 서항석, 김광섭, 손우성(孫宇聲) 등으로 그들은 주로 외국문학에 대한 이론 및 작품의 번역·소개에 주력하였다. 그들은 새로운 외국 문학의 동향을 알리고 작품의 번역을 통해 새로운 문단의 조류로서 해외문학의 이식에 진지한 노력을 기울였다. 1930년 무렵 프로문학이 고조(高潮)에 달하였을 무렵부터는 이에 대한 비판과 논쟁이 전개되었고, 외국문학의 조류를 도입, 신흥문학운동을 주장하자 세칭 ‘해외문학파’라는 이름으로 불리었다. 1931-1932년은 카프와 해외문학파의 논쟁으로 문단의 주목을 끌었는데, 이헌구가 〈조선에 있어서 해외문학인의 임무와 장래〉(1932)에서 카프파를 비판한 것이 대표적인 것이다. 그 뒤 1931년 해외문학파가 중심이 되는 신극연구단체인 극예술연구회를 조직, 신극운동에 청신한 기풍을 불어넣었다.

새로운!!: 정인섭와 해외문학파 · 더보기 »

한글 맞춤법 통일안

맞춤법 통일안(- 法統一案, 발표 당시에는 ‘한글 마춤법 통일안’)은 1933년에 조선어 학회(지금의 한글 학회)가 정한 한글 맞춤법이.

새로운!!: 정인섭와 한글 맞춤법 통일안 · 더보기 »

한글 학회

학회(—學會)는 한글과 한국어의 연구를 위해 이루어진 학술 단체이.

새로운!!: 정인섭와 한글 학회 · 더보기 »

한국

국(韓國) 또는 조선(朝鮮)은 한민족의 나라를 말. 현대사에서 한국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

새로운!!: 정인섭와 한국 · 더보기 »

한국외국어대학교

벌 캠퍼스 전경 한국외국어대학교(韓國外國語大學校,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이문동과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에 있는 외국어 특성화 사립대학이.

새로운!!: 정인섭와 한국외국어대학교 · 더보기 »

와세다 대학

와세다 대학()은 일본의 명문 사립 대학이.

새로운!!: 정인섭와 와세다 대학 · 더보기 »

1905년

1905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정인섭와 1905년 · 더보기 »

1922년

1922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정인섭와 1922년 · 더보기 »

1926년

1926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정인섭와 1926년 · 더보기 »

1929년

1929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정인섭와 1929년 · 더보기 »

1931년

1931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정인섭와 1931년 · 더보기 »

1932년

1932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정인섭와 1932년 · 더보기 »

1940년

1940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정인섭와 1940년 · 더보기 »

1983년

1983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정인섭와 1983년 · 더보기 »

2002년

2002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며, 이 해는 21세기의 첫 대규모 행사의 해이.

새로운!!: 정인섭와 2002년 · 더보기 »

2008년

2008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정인섭와 2008년 · 더보기 »

3월 31일

3월 3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90번째(윤년일 경우 9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정인섭와 3월 31일 · 더보기 »

9월 16일

9월 1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59번째(윤년일 경우 26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정인섭와 9월 16일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