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제2연평해전

색인 제2연평해전

제2연평해전(第二延坪海戰)은 2002년 6월 29일 연평도 근해 북방한계선 부근 해상에서 일어난 남북한 간의 군사적 충돌이.

114 처지: CNN, 동아일보, 박동혁 (1981년), 강릉지역 무장공비 침투사건, 경비정, 고이즈미 준이치로, 공격, 북방한계선, 북한이탈주민, 부상, 기관포, 김무열, 김대중, 김정일, 김영식, 대청해전, 대위, 대한민국, 대한민국 국방부, 대한민국 국가보훈처, 대한민국 국가안전보장회의, 대한민국 해경 경비정 제863호 침몰 사건, 대한민국 해군, 대한민국 해군 56함 침몰 사건, 대한민국 해군 방송선 피랍 사건, 대한민국의 국무총리, 교전규칙, 국가안전보장회의, 국군수도병원, 승무원, 슈트, 작전 중 사망, 이명박, 이회창, 이희완 (군인), 이중배상금지, 이준 (1940년), 이한동, 일본, 일본의 내각총리대신, 제1연평해전, 제2함대 (대한민국), 전쟁기념관, 전초아, 전사, 정전 (군사), 조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인민군 해군, 조선일보, ..., 중위, 진구, 참수리급 고속정, 청와대, 천안함 침몰 사건, 초계정, 충무무공훈장, 쿠키뉴스, 윤영하, 윤영하급 고속함, 오연호, 현역, 연평도, 연평도 포격, 연평해전, 연평해전 (영화), 사이타마 시, 터키, 서울공항, 서울대학교, 서산시, 소령, 함포, 해군, 한반도 분쟁, 한진중공업, 실크웜 (유도탄), 황장엽, 화랑무공훈장, K6, KF-16, M60, P-15 테르밋, SO-1급 초계정, SSM-700K 해성, STX조선해양, 10월, 12월 11일, 1999년, 2000년, 2000년 남북정상회담, 2002년, 2002년 FIFA 월드컵, 2004년, 2004년 7월, 2007년, 2008년 4월, 2009년, 2009년 11월, 2010년, 2010년 11월, 2013년, 6·15 남북 공동선언, 6월 15일, 6월 28일, 6월 29일, 6월 2일, 6월 30일, 6월 7일, 7월 23일, 7월 28일, 7월 2일, 9월 23일, 9월 2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64 더) »

CNN

이블 뉴스 네트워크(Cable News Network, 약칭 CNN)는 케이블 텔레비전 망 등을 통해 뉴스 프로그램을 24시간 동안 전달하는 미국의 생방송 뉴스 전문 텔레비전 방송사이.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CNN · 더보기 »

동아일보

《동아일보》(東亞日報, Dong-A Ilbo)는 신문 발행 업체인 동아일보사가 서울에서 발행하는 대한민국의 일간 신문이.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동아일보 · 더보기 »

박동혁 (1981년)

박동혁(朴東赫, 1981년 8월 25일 ~ 2002년 9월 20일)은 2002년 6월 29일에 발발한 제2연평해전에서 부상을 입고 전사한 대한민국의 해군 수병이.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박동혁 (1981년) · 더보기 »

강릉지역 무장공비 침투사건

강릉지역 무장공비 침투사건(江陵地域武裝共匪侵透事件)은 1996년 9월 북한 상어급 잠수함이 강릉시 부근에서 좌초된 후 잠수함에 탑승한 인민무력부 정찰국 소속 특수부대원 26명이 강릉 일대로 침투한 사건이.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강릉지역 무장공비 침투사건 · 더보기 »

경비정

경비정(警備艇)은 연안, 호수, 하천에서 밀수 등을 비롯한 각종 위법행위를 단속하는 데 사용되는 소형선박이.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경비정 · 더보기 »

고이즈미 준이치로

이즈미 준이치로(1942년 1월 8일 ~)는 일본의 정치인이.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고이즈미 준이치로 · 더보기 »

공격

공격(攻擊) 은 둘 이상의 동물이나 집단 간에 벌어지는 폭력현상이.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공격 · 더보기 »

북방한계선

북방한계선 북방한계선(北方限界線,, 줄여서 NLL)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이에 설정된 사실상의 남북 해상 군사 분계선을 말. 이중 서해 북방한계선(西海北方限界線)은 대한민국 서해 5도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남도 해안 사이에 설정된 해상 경계선으로, 1999년 제1연평해전 이후 군사적인 분쟁 이슈로 떠오르고 있.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북방한계선 · 더보기 »

북한이탈주민

북한이탈주민(北韓離脫住民) 또는 탈북자(脫北者), 탈북민(脫北民) 혹은 새터민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이탈하여 대한민국으로 망명한 주민을 가리.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북한이탈주민 · 더보기 »

부상

부상에는 다음과 같은 동음이의어가 있.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부상 · 더보기 »

기관포

1903년의 QF 1 pounder Mk II "pom-pom" 기관포(機關砲)는 구경은 평균 20mm 이상이고 포탄을 자동적으로 장전하는 장치가 있으며 방아쇠를 당기면 포탄이 연속으로 발사되어 목표물을 관통하면서 폭발하여 파괴 효과를 높이는 무기이.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기관포 · 더보기 »

김무열

무열(1982년 5월 22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김무열 · 더보기 »

김대중

중(金大中, 1924년 1월 6일 ~ 2009년 8월 18일)은 대한민국의 제15대 대통령이.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김대중 · 더보기 »

김정일

정일(金正日, 1941년 2월 16일 ~ 2011년 12월 17일)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최고지도자이.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김정일 · 더보기 »

김영식

영식은 다음 사람을 가리.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김영식 · 더보기 »

대청해전

청해전(大靑海戰)은 2009년 11월 10일 11시 27분, 대한민국 해군과 조선인민군 해군 간에 일어난 소규모 전투로 대한민국 해군이 승리한 해전이.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대청해전 · 더보기 »

대위

위(大尉)는 군대 계급 중 하나이.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대위 · 더보기 »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대한민국 · 더보기 »

대한민국 국방부

국방부(國防部,, 약칭: MND)는 국방에 관련된 군정 및 군령과 그 밖에 군사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대한민국 국방부 · 더보기 »

대한민국 국가보훈처

국가보훈처(國家報勳處,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약칭: 보훈처, MPVA)는 국가유공자 및 그 유족에 대한 보훈, 제대군인의 보상·보호 및 보훈선양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대한민국 국가보훈처 · 더보기 »

대한민국 국가안전보장회의

국가안전보장회의(國家安全保障會議, National Security Council, 약칭: NSC)는 국가 안전 보장에 관련되는 대외 정책·군사 정책과 국내 정책의 수립에 관하여 국무회의의 심의에 앞서 대통령의 자문에 응하는 대통령 직속 헌법기관이.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대한민국 국가안전보장회의 · 더보기 »

대한민국 해경 경비정 제863호 침몰 사건

경 경비정 제863호 침몰 사건은 1974년 6월 28일에 거진 앞바다에서 오징어잡이 어선을 보호하던 대한민국 해경 경비정 863함이 조선인민군 해군 함정 3척의 공격을 받고 침몰한 사건이.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대한민국 해경 경비정 제863호 침몰 사건 · 더보기 »

대한민국 해군

민국 해군(大韓民國 海軍)은 해상작전 및 상륙작전을 수행하고, 대한민국 국군(國軍)의 주요 조직으로 상륙작전을 주임무로 수행하는 해병대를 예하에 두고 있. 평시에는 전쟁 억제와 해양주권 및 권익을 보호하고 국가 대외 정책을 지원하며, 전시에는 해양 통제와 군사력 투사, 해상교통로 보호를 주 역할로 하고 있. 2014년 병력은 해병대 28,000명을 포함 총 69,000여 명이며, 전력은 수상함 163척(고속정 80여 척 포함), 잠수함 10여 척, 항공기 60여 대를 보유하고 있으며 차기 군함들을 비롯해 모든 군함들은 선체 전체에 광범위하게 스텔스 설계를 적용하고 레이더 반사율을 줄이기 위해 경사설계를 적용하고 상륙전력으로 상륙돌격장갑차와 전차 등 4종 400여 대를 보유하고 있.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대한민국 해군 · 더보기 »

대한민국 해군 56함 침몰 사건

56함 피격침몰 사건(당포함 침몰 사건)은 1967년 1월 19일에 대한민국 강원도 거진 동쪽 해상에서 명태잡이 어선을 보호하던 대한민국 해군 초계호위함 PCE-56 당포함(650톤 급)이 조선인민군 해안포의 공격으로 침몰된 사건이.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대한민국 해군 56함 침몰 사건 · 더보기 »

대한민국 해군 방송선 피랍 사건

방송선 피랍 사건은 1970년 6월에 연평도 부근의 공해에서 어선단 보호 임무를 수행하고 있던 대한민국 해군의 120톤 급의 방송선이 조선인민군 해군의 공격을 받아, 승무원 20여 명이 대부분 사살당하여 피랍된 사건이.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대한민국 해군 방송선 피랍 사건 · 더보기 »

대한민국의 국무총리

국무총리의 휘장 국무총리(國務總理)는 대한민국의 정무직 공무원으로 현행 대한민국 헌법 하에서 대통령을 보좌하며, 행정에 관하여 대통령의 명령을 받아 행정 각부를 통할(통괄 및 관할)하는 역할을 맡는다(헌법 제86조 제2항).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대한민국의 국무총리 · 더보기 »

교전규칙

소말리아 난민 구호 작전(Operation Provide Relief)의 교전규칙 교전규칙(交戰規則)은 군대의 도발적으로 여겨질 수 있는 무력이나 행동을 적용할 수 있는 환경, 조건, 정도, 방식 등을 정의하는 규칙 또는 지시를 말. 교전수칙(交戰守則)이.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교전규칙 · 더보기 »

국가안전보장회의

2011년 5월 2일, 미국 오바마 대통령이 백악관 상황실에 소집한 NSC에서, 실시간 생방송으로 CIA와 데브그루 해군 특수부대가 파키스탄 현장에서 빈 라덴을 사살하는 오퍼레이션 제로니모를 지시하고 지켜보고 있다. 국가안전보장회의(國家安全保障會議, National Security Council)는 대통령, 외무장관, 국방장관이 지하벙커에서 모여 전시 작전권을 행사하는 곳이.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국가안전보장회의 · 더보기 »

국군수도병원

국군수도병원(國軍首都病院)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위치한 대한민국 국군의무사령부 산하에 있는 대한민국 국군을 치료하기 위한 병원이.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국군수도병원 · 더보기 »

승무원

승무원(乘務員)은 이동을 위한 탈것 등에 탑승하여 주어진 업무를 맡아서 하는 사람을 말. 탈것의 종류에 따라 앞에 해당 명칭이 추가로 붙. 승무원의 예로는 우주왕복선 승무원, 항공 승무원, KTX 승무원, 철도 승무원, 버스 승무원 등이 있. 분류:교통 관련 직업.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승무원 · 더보기 »

슈트

성 슈트 슈트(suit)는 재킷과 치마 또는 재킷과 바지를 같은 옷감으로 만들어 셔츠나 블라우스와 함께 입는 한 벌의 양복이.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슈트 · 더보기 »

작전 중 사망

노르망디 상륙작전 중. 작전 중 사망(作戰中死亡) 혹은 전사(戰死)는 군대와 시민 수비대 혹은 게릴라 같은 구성원들이 전투에 참가하여, 그 활동 중 사망하는 것을 말. 보통 전몰은 전쟁으로 사망하는 것을 공통적으로 지칭하지만, 전투에 휘말린 민간인 희생자와 출정 중인, 직접 전투에 상관없는 병사자.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작전 중 사망 · 더보기 »

이명박

이명박(李明博, 1941년 12월 19일 ~)은 대한민국의 제17대 대통령이.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이명박 · 더보기 »

이회창

이회창(李會昌, 1935년 6월 2일 ~)은 대한민국의 대법관 출신 정치인이.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이회창 · 더보기 »

이희완 (군인)

이희완(1976년 ~)은 대한민국의 해군 장교로 2002년 6월 29일 제2연평해전에서 침몰한 참수리357호의 부정장이었.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이희완 (군인) · 더보기 »

이중배상금지

이중배상금지란 군인,군무원과 경찰공무원이 직무 중 죽거나 다쳐도 국가에 손해배상을 할 수 없고 법정보상금만 받는 제. 민간인과 일반공무원은 보상금도 받고 국가에 대해 손해배상도 따로 청구할 수 있으나 군인,군무원과 경찰은 할 수 없.1964년 베트남 전쟁에 한국군이 참전 이후 사상자와 그에 대한 배상금이 급증하자 박정희 정권은 배상청구권을 제한하는 입법안을 국회로 넘겼고, 1967년 2월 6일자로 구 국가배상법과 국가배상금 청구절차법을 폐지한 이후 단일법으로 제정하는 안이 국회를 통과하여, 같은 해 4월 3일자로 시행되었.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이중배상금지 · 더보기 »

이준 (1940년)

이준(李俊, 1940년 6월 30일 ~)은 대한민국의 군인을 지낸 정치가이며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대장이.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이준 (1940년) · 더보기 »

이한동

이한동(李漢東, 1934년 12월 5일 ~)은 대한민국의 정치가이.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이한동 · 더보기 »

일본

일본국(닛폰코쿠), 약칭 일본(日本,, 닛폰)은 동아시아에 있는 국. 국토는 태평양에 있는 일본 열도의 네 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홋카이도, 혼슈, 시코쿠, 규슈를 중심으로 주변에 산재한 작은 섬으로 구성되어 있. 총 면적은 37만 7835 km2인데 이는 노르웨이(스발바르 제도와 얀마옌을 포함한 경우)보다 작으며 독일보.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일본 · 더보기 »

일본의 내각총리대신

일본 내각총리대신 관저 자위대에서 사용하고 있는 내각총리대신기 내각총리대신()은 일본의 정부수반이며, 내각의 수장인 국무대신이.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일본의 내각총리대신 · 더보기 »

제1연평해전

제1연평해전(第一延坪海戰)은 1999년 6월 15일에 서해 연평도 부근 해상에서 일어난 대한민국 해군과 조선인민군 해군 간의 교전을 말. 조선인민군 해군 경비정이 연평도 서쪽 NLL을 2 km 침범하여 일어났고 조선인민군 해군의 경비정 1척 침몰, 5척 파손, 사상자 50(전사 20, 부상 30)여명이 발생하였.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제1연평해전 · 더보기 »

제2함대 (대한민국)

제2함대(第二艦隊)는 서해 해역을 경비 및 방위하는 대한민국 해군의 함대이.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제2함대 (대한민국) · 더보기 »

전쟁기념관

전쟁기념관(戰爭記念館)은 전쟁과 관련한 기록과 물품을 전시, 보관 하는 곳이.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전쟁기념관 · 더보기 »

전초아

전초아(1979년 9월 19일 ~)는 대한민국의 가수이.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전초아 · 더보기 »

전사

전사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전사 · 더보기 »

정전 (군사)

정전(停戰)은 전쟁을 멈추고, 상대방에 대한 공격적 행동을 중단하는 것이.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정전 (군사) · 더보기 »

조국

조국(祖國)은 한자 문화권에서 자신이 태어난 나라를 가리키는 말로, 조상 때부터 살아온 나라, 또는 국적이 속하여 있는 나라를 의미.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조국 · 더보기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북부에 위치한 국가이.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더보기 »

조선인민군 해군

조선인민군 해군(朝鮮人民軍海軍)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해군으로 1946년 6월 5일에 창설되었.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조선인민군 해군 · 더보기 »

조선일보

2000년 이후의 조선일보 메인타이틀 《조선일보》(朝鮮日報,)는 대한민국의 신문 출판 기업인 조선일보사(朝鮮日報社,)가 대한민국 서울에서 발행하는 조간 일간지이.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조선일보 · 더보기 »

중위

중위(中尉)는 군대 계급 중 하나이.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중위 · 더보기 »

진구

(晉久, 1980년 7월 20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진구 · 더보기 »

참수리급 고속정

수리급 고속정(大鷲型哨戒艇)은 백구급 미사일 고속정의 제조 단가가 비싸 Low급 전력으로 개발된 대한민국 해군의 주력 고속정으로, 소령이 편대장으로 지휘하며 대위가 정장으로 지휘.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참수리급 고속정 · 더보기 »

청와대

청와대 정문 청와대(靑瓦臺, Cheongwadae, Blue House)는 대한민국의 대통령과 관계된 행정기관을 말. 집무공간인 본관, 공식행사공간인 영빈관, 주거공간인 관저, 외빈 접견 장소인 상춘재, 비서 부속기구인 대통령비서실, 경호 부속기구인 대통령경호처, 대언론 창구인 춘추관을.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청와대 · 더보기 »

천안함 침몰 사건

300px 천안함 침몰 사건은 2010년 3월 26일에 백령도 근처 해상에서 대한민국 해군의 초계함인 PCC-772 천안이 피격되어 침몰한 사건이.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천안함 침몰 사건 · 더보기 »

초계정

정(哨戒艇)은 적의 습격에 대비하여 엄중한 감시로 경계하는 함정이.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초계정 · 더보기 »

충무무공훈장

충무무공훈장은 대한민국 3번째 무공훈장이.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충무무공훈장 · 더보기 »

쿠키뉴스

스((KUKINEWS)는 2005년 11월 11일 창간된 한국의 종합 인터넷 언론이다. 쿠키뉴스를 발행하는 쿠키미디어(주)는 1998년 국민일보 인터넷뉴스팀으로 출발하여 2008년 법인 독립하였는데, 쿠키뉴스 외에 쿠키건강TV(케이블/IPTV/위성방송)도 운영하고 있다. 2014년 5월까지는 국민일보의 인터넷판이 쿠키뉴스였으나, 이후 서비스가 분리되며 현재는 국민일보 인터넷판과 쿠키뉴스는 별도로 서비스되고 있다. 본사는 서울특별시 마포구 월드컵북로 400에 소재해있으며, 경기남북본부, 경북본부, 경남본부, 전북본부 등 지역본부를 운영하고 있다.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쿠키뉴스 · 더보기 »

윤영하

윤영하(尹永夏, 1973년 11월 24일 ~ 2002년 6월 29일)는 대한민국의 군인으로 2002년 6월 29일 제2연평해전에서 전사하였.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윤영하 · 더보기 »

윤영하급 고속함

윤영하급 미사일 고속함은 대한민국 해군의 차기 고속함으로, 본래 참수리급 고속정의 후계함 사업으로 개발된 미사일 고속함이.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윤영하급 고속함 · 더보기 »

오연호

오연호(1964년 9월 18일 ~)는 대한민국의 언론인이.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오연호 · 더보기 »

현역

현역(現役)은 입대 직후부터 상시 근무하는 군인을 가리.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현역 · 더보기 »

연평도

연평도(延坪島)는 경기만 북서쪽에 있는 대한민국 관할의 섬으로, 소연평도 등 주변의 부속 섬과 함께 인천광역시 옹진군 연평면에 속. 2016년 12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연평면의 인구는 2천209 명, 1천372 가구이.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연평도 · 더보기 »

연평도 포격

K-9 자주포 연평도 포격(延坪島 砲擊)은 2010년 11월 23일 오후 2시 30분 경, 북한이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옹진군 연평면의 대연평도를 향해 포격을 가한 사건이.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연평도 포격 · 더보기 »

연평해전

연평해전이란 연평도 인근 해상에서 발생한 대한민국과 북한간의 해전을 뜻하며, 구체적으로는 다음을 뜻.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연평해전 · 더보기 »

연평해전 (영화)

《연평해전》은 2015년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이.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연평해전 (영화) · 더보기 »

사이타마 시

사이타마 시()는 사이타마현 남동부에 있는 현청 소재지이.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사이타마 시 · 더보기 »

터키

공화국() 또는 단순히 터키()는 서남아시아의 아나톨리아와 유럽 남동부 발칸 반도의 동부 트라키아에 걸친 나라이.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터키 · 더보기 »

서울공항

서울공항 또는 서울비행장 (Seoul Air Base)은 대한민국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있는 공군 기지이.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서울공항 · 더보기 »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 정장(Emblem) 서울대학교(서울大學校, Seoul National University)는 대한민국의 국립대학이.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서울대학교 · 더보기 »

서산시

서산시(瑞山市)는 대한민국 충청남도 서북부 태안반도에 있는 시이.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서산시 · 더보기 »

소령

소령(少領) 또는 소좌(少佐)는 군대 계급 중 하나이.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소령 · 더보기 »

함포

USS '아이오와'호의 9문의 16인치포 동시 사격(1984년) 함포(艦砲)는 말그대로 군함에 장비된 대포이.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함포 · 더보기 »

해군

국적 함대 CTF-150 오만 해의 항구적 자유 작전(Operation Enduring Freedom) 중 5개국 다왼쪽부터 오른쪽으로, F-570 마에스트랄레, D-612 드 그라세; CVN-74 존 스테니스, R-91 샤를르드골 호 (R 91), F-711 수쿠프; CG-73 포트로열, L-12 오세안, CV-67 존 케네디, F-831 판 암스텔, D-560 루이지 두란트 데 라 펜넬 해군(海軍)은 바다를 주무대로 하여 해상 전투 및 상륙 작전(해병대)을 위해 작전과 관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편성된 군종이.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해군 · 더보기 »

한반도 분쟁

반도 분쟁(韓半島 紛爭)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분단에 기초한 분쟁으로, 양국 모두 한반도 전체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 냉전 시기에 북한은 소련, 중화인민공화국을 비롯한 여러 공산국가들의 지지를 받았으며, 대한민국은 미국과 동맹국의 지원을 받았.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한반도 분쟁 · 더보기 »

한진중공업

중공업(韓進重工業, Hanjin Heavy Industries & Construction)은 대한민국의 조선업체이자 건설업체이며, 한진중공업그룹의 주력업체이.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한진중공업 · 더보기 »

실크웜 (유도탄)

실크웜 미사일. 중국판 스틱스 미사일이다. 실크웜 미사일. 중국판 스틱스 미사일이다. 실크웜 미사일. 중국판 스틱스 미사일이다. YJ-6 실크웜 미사일() 또는 HY-2 하이잉()은 중국의 대함 미사일이.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실크웜 (유도탄) · 더보기 »

황장엽

황장엽(黃長燁, 1923년 2월 17일 ~ 2010년 10월 10일)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황장엽 · 더보기 »

화랑무공훈장

화랑무공훈장 화랑무공훈장은 대한민국 4번째 무공훈장이.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화랑무공훈장 · 더보기 »

K6

K6에는 다음 뜻이 있.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K6 · 더보기 »

KF-16

KF-16은 대한민국 공군의 주력 F-16 전투기이.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KF-16 · 더보기 »

M60

M60 또는 M-60은 다음을 가리.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M60 · 더보기 »

P-15 테르밋

P-15 테르밋은 소련 라두가 설계국에서 개발한 대함미사일 체계이.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P-15 테르밋 · 더보기 »

SO-1급 초계정

SO-1급 초계정(Project 201 So-I Class)은 1995년 하바로프스크에 위치한 제레노돌스크 조선소와 케르치 조선소에서 최초로 진수된 초계정으로, 1958년 이후 후속함들은 배수량 200톤까지 증가하여, 67년까지 생산되었.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SO-1급 초계정 · 더보기 »

SSM-700K 해성

SSM-700K해성은 대한민국이 국내 기술로 독자 개발에 성공한 함대함 순항 미사일이.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SSM-700K 해성 · 더보기 »

STX조선해양

STX조선해양은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조선업체이.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STX조선해양 · 더보기 »

10월

10월(十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열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평년인 경우 이 달과 그 해의 1월은 같은 요일로 시작하고 같은 요일로 끝나고 2월하고도 항상 같은 요일로 끝. 그 다음 해가 윤년일 경우에는 그 다음해 9월과 12월과 같은 요일로 시작.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10월 · 더보기 »

12월 11일

12월 1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45번째(윤년일 경우 34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12월 11일 · 더보기 »

1999년

1999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1999년 · 더보기 »

2000년

2000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며, 이 해는 20세기와 제2천년기의 마지막 해이.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2000년 · 더보기 »

2000년 남북정상회담

2000년 남북정상회담(二千年南北頂上會談)은 대한민국 대통령 김대중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방위원장 김정일이 평양에서 2000년 6월 13일부터 6월 15일까지 2박 3일 동안 진행한 회담이.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2000년 남북정상회담 · 더보기 »

2002년

2002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며, 이 해는 21세기의 첫 대규모 행사의 해이.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2002년 · 더보기 »

2002년 FIFA 월드컵

2002년 FIFA 월드컵()은 17번째 FIFA 월드컵 대회로, 2002년 5월 31일에서 6월 30일까지 대한민국과 일본에서 열. 이 대회는 아시아에서 열린 첫 FIFA 월드컵 대회이자 유럽과 아메리카 밖에서 열린 첫 대회이며, 골든골 제도가 시행된 마지막 FIFA 월드컵이자 전 대회 우승국 자동 출전권이 적용된 마지막 FIFA 월드컵이.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2002년 FIFA 월드컵 · 더보기 »

2004년

2004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2004년 · 더보기 »

2004년 7월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2004년 7월 · 더보기 »

2007년

2007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2007년 · 더보기 »

2008년 4월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2008년 4월 · 더보기 »

2009년

2009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2009년 · 더보기 »

2009년 11월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2009년 11월 · 더보기 »

2010년

2010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2010년 · 더보기 »

2010년 11월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2010년 11월 · 더보기 »

2013년

2013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2013년 · 더보기 »

6·15 남북 공동선언

경기도 파주 통일전망대에 전시된 6·15 남북 공동선언 원문 6·15 남북 공동선언(6·15 南北 共同宣言)은 2000년 6월 15일 평양에서 대한민국의 김대중 대통령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정상회담을 통해서 발표한 공동 선언이.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6·15 남북 공동선언 · 더보기 »

6월 15일

6월 1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66번째(윤년일 경우 16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6월 15일 · 더보기 »

6월 28일

6월 2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79번째(윤년일 경우 18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6월 28일 · 더보기 »

6월 29일

6월 2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80번째(윤년일 경우 18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6월 29일 · 더보기 »

6월 2일

6월 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53번째(윤년일 경우 15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6월 2일 · 더보기 »

6월 30일

6월 3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81번째(윤년일 경우 18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6월 30일 · 더보기 »

6월 7일

6월 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58번째(윤년일 경우 15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6월 7일 · 더보기 »

7월 23일

7월 2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04번째(윤년일 경우 20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7월 23일 · 더보기 »

7월 28일

7월 2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09번째(윤년일 경우 21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7월 28일 · 더보기 »

7월 2일

7월 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83번째(윤년일 경우 18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7월 2일 · 더보기 »

9월 23일

9월 2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66번째(윤년일 경우 26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9월 23일 · 더보기 »

9월 2일

9월 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45번째(윤년일 경우 24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제2연평해전와 9월 2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제 2 연평해전, 제2 연평해전, 제2차 서해교전.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