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조선군 (일본군)

색인 조선군 (일본군)

일본 제국 조선군(朝鮮軍) 또는 조선 주둔 일본군(朝鮮 駐屯 日本軍)은 일제 강점기에 일본인이 조선 지역을 수비하기 위한 일환으로 주둔군이었.

49 처지: 러일 전쟁, 데라우치 히사이치, 라남구역, 라선특별시, 미군, 미나미 지로, 방위총사령부, 가와시마 요시유키, 경성부, 고이소 구니아키, 고즈키 요시오, 대본영, 군단, 나카무라 고타로, 용산구, 우에다 겐키치, 우쓰노미야 다로, 평양직할시, 이타가키 세이시로, 일본 제국, 일본 제국 육군, 일제 강점기, 을사조약, 제17방면군, 제19사단 (일본), 조선총독부, 중일 전쟁, 진해, 진해구, 청진 상륙 작전, 청진시, 영흥, 오쿠보 하루노, 헌병 (일본군), 선봉군, 소련, 함경북도, 한반도, 한국의 독립운동, 한성부, 안도 사다요시, 하세가와 요시미치, 하야시 센주로, 아카시 모토지로, 아키야마 요시후루, 원산시, 1937년, 3·1 운동, 9월 9일.

러일 전쟁

일 전쟁()은 1904년 2월 8일에 발발하여 1905년 가을까지 계속된 전쟁으로 러시아 제국과 일본 제국이 한반도에서 주도권을 쟁취하려는 무력 충돌이었.

새로운!!: 조선군 (일본군)와 러일 전쟁 · 더보기 »

데라우치 히사이치

우치 히사이치 (1879년 8월 8일 ~ 1946년 6월 12일) 는 일본 제국 육군 원수로,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에 일본군 남방총군의 총사령관이었.

새로운!!: 조선군 (일본군)와 데라우치 히사이치 · 더보기 »

라남구역

역(羅南區域)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북도 청진시에 속하는 구역으로 시의 남서쪽에 위. 인구는 2008년 기준으로 112,343명이.

새로운!!: 조선군 (일본군)와 라남구역 · 더보기 »

라선특별시

선특별시(羅先特別市)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동북부에 있는 도시이.

새로운!!: 조선군 (일본군)와 라선특별시 · 더보기 »

미군

주한 미군의 기계화 보병. 공군의 기초군사훈련 모습. 1991년 사막의 폭풍 작전에 참가한 미군 F-15E. 일본에 배치된 F-22. 미합중국 군대() 또는 미국군(美國軍) 혹은 단순히 미군(美軍)은 미국의 군대이.

새로운!!: 조선군 (일본군)와 미군 · 더보기 »

미나미 지로

미나미 지로(Minami Jirou, 1874년 8월 10일 ~ 1955년 12월 5일)는 일본의 군인, 정치가이며 병과는 육군 기병이었.

새로운!!: 조선군 (일본군)와 미나미 지로 · 더보기 »

방위총사령부

방위총사령부()는 일본 제국 육군의 사령부였.

새로운!!: 조선군 (일본군)와 방위총사령부 · 더보기 »

가와시마 요시유키

와시마 요시유키 (1878년 5월 25일 ~ 1945년 9월 8일) 은 육군대장과 육군대신을 역임한 일본제국 육군의 군인이.

새로운!!: 조선군 (일본군)와 가와시마 요시유키 · 더보기 »

경성부

경성부(京城府) 또는 게이조 부()는 일제 강점기 때에 존재했던 행정 구역으로, 현재의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에 해당.

새로운!!: 조선군 (일본군)와 경성부 · 더보기 »

고이소 구니아키

이소 구니아키(1880년 3월 22일 ~ 1950년 11월 3일) 는 일본의 육군 군인, 정치인이.

새로운!!: 조선군 (일본군)와 고이소 구니아키 · 더보기 »

고즈키 요시오

요시오(1886년 11월 7일 ~ 1971년 4월 3일)는 일본의 군인이.

새로운!!: 조선군 (일본군)와 고즈키 요시오 · 더보기 »

대본영

본영(大本營)은 전시(戰時) 중 또는 사변(事變) 중에 설치된 일본 제국 육군 및 해군의 최고 통수 기관이.

새로운!!: 조선군 (일본군)와 대본영 · 더보기 »

군단

NATO 병과기호 표준에 따른 아군 보병 군단 표시 군단(軍團)은 야전군과 사단의 중간에 해당하는 전술 단위 부대이.

새로운!!: 조선군 (일본군)와 군단 · 더보기 »

나카무라 고타로

무라 고타로 (1881년 8월 28일 ~ 1947년 8월 29일) 는 일본제국 육군의 대장으로, 1930년대에 매우 짧은 기간 동안 육군대신을.

새로운!!: 조선군 (일본군)와 나카무라 고타로 · 더보기 »

용산구

용산구(龍山區)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한강 위쪽 중간에 있는 자치구이.

새로운!!: 조선군 (일본군)와 용산구 · 더보기 »

우에다 겐키치

우에다 겐키치 (1875년 3월 8일 ~ 1962년 9월 11일) 는 일본 제국 육군의 군인으로, 할힌골 전투(노몬한 사건) 발발 당시에 관동군의 사령관이었.

새로운!!: 조선군 (일본군)와 우에다 겐키치 · 더보기 »

우쓰노미야 다로

우쓰노미야 다로(宇都宮太郞, 1861년 4월 27일 ~ 1922년 2월 15일)는 일본 제국의 육군 군인이.

새로운!!: 조선군 (일본군)와 우쓰노미야 다로 · 더보기 »

평양직할시

평양직할시(平壤直轄市)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새로운!!: 조선군 (일본군)와 평양직할시 · 더보기 »

이타가키 세이시로

이타가키 세이시로(1885년 1월 21일 ~ 1948년 12월 23일) 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제국 육군의 장군이.

새로운!!: 조선군 (일본군)와 이타가키 세이시로 · 더보기 »

일본 제국

일본 제국(日本 帝國)은 1868년 1월 3일부터 1947년 5월 3일 사이의 일본의 입헌 군주제를 기반으로 한 특수한 정치 체제(국가 체제), 혹은 일본 제국주의 시기를 의미.

새로운!!: 조선군 (일본군)와 일본 제국 · 더보기 »

일본 제국 육군

일본 제국 육군 혹은 대 일본 제국 육군()은 1871년 일본 제국의 육군으로 창설되었으며 1945년 일본국 헌법 9조항에 의하여 무력 이용을 포기함으로써 없어지게 되었.

새로운!!: 조선군 (일본군)와 일본 제국 육군 · 더보기 »

일제 강점기

일제강점기(1910년 8월 29일 ~ 1945년 8월 15일)는 한국의 역사에서 한국의 근현대사를 시대별로 나누었을 때 주요 시대 중 하나로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가 일본 제국의 식민 지배 아래 놓였던 시기이.

새로운!!: 조선군 (일본군)와 일제 강점기 · 더보기 »

을사조약

중명전에 전시된 을사조약 문서 을사조약(乙巳條約) 혹은 제2차 한일 협약(第二次韓日協約)은 1905년 11월 17일 대한제국의 외부대신 박제순과 일본 제국의 주한 공사 하야시 곤스케에 의해 체결된 불평등 조약이.

새로운!!: 조선군 (일본군)와 을사조약 · 더보기 »

제17방면군

제17방면군()은 다운폴 작전에 대비하여 한반도에 창설되었던 일본 제국 육군의 방면군이었.

새로운!!: 조선군 (일본군)와 제17방면군 · 더보기 »

제19사단 (일본)

제19사단()은 한반도 북부 라남에 주둔하여 나남사단으로도 알려진 일본 제국 육군의 사단이.

새로운!!: 조선군 (일본군)와 제19사단 (일본) · 더보기 »

조선총독부

조선총독부의 휘장 조선총독부(朝鮮總督府, 거버먼트 제네럴 오브 코리아)는 일본 제국이 1910년 10월 1일 한일 병합 조약 체결일부터 1945년 9월 2일까지 한반도에 대한 통치를 위해 운영하던 직속기관이었.

새로운!!: 조선군 (일본군)와 조선총독부 · 더보기 »

중일 전쟁

중일 전쟁(中日戰爭)은 1937년 7월 7일 일본의 중국 대륙 침략으로 시작되어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날 때까지 계속된 중화민국과 일본제국 사이의 전쟁이.

새로운!!: 조선군 (일본군)와 중일 전쟁 · 더보기 »

진해

(鎭海)는 아래의 지명을 가리.

새로운!!: 조선군 (일본군)와 진해 · 더보기 »

진해구

청 진해구(鎭海區)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창원시의 동남부에 있는 구이.

새로운!!: 조선군 (일본군)와 진해구 · 더보기 »

청진 상륙 작전

청진 상륙 작전()은 만주 전략공세작전을 펼쳤던 소련군이 청진시에 상륙한 작전이.

새로운!!: 조선군 (일본군)와 청진 상륙 작전 · 더보기 »

청진시

청진시(淸津市)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북도 동해안에 있는 시이자 함경북도청 소재지이.

새로운!!: 조선군 (일본군)와 청진시 · 더보기 »

영흥

영흥에는 다음과 같은 동음이의어가 있.

새로운!!: 조선군 (일본군)와 영흥 · 더보기 »

오쿠보 하루노

오쿠보 하루노(1846년 10월 8일(고카 3년 8월 18일) ~ 1915년(다이쇼 4년) 1월 26일)는 일본 제국의 군인이.

새로운!!: 조선군 (일본군)와 오쿠보 하루노 · 더보기 »

헌병 (일본군)

병()은 일본 제국 육군에서 행정, 사법 경찰을 맡은 병과였.

새로운!!: 조선군 (일본군)와 헌병 (일본군) · 더보기 »

선봉군

선봉군(先鋒郡)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라선특별시에 위치한 군이.

새로운!!: 조선군 (일본군)와 선봉군 · 더보기 »

소련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약칭 소비에트 연방()또는 소련(蘇聯) 은 1922년 12월 30일부터 1991년 12월 26일까지 유라시아 북부에 존재하였던 세계 최초의 공산주의 국가였.

새로운!!: 조선군 (일본군)와 소련 · 더보기 »

함경북도

경북도(咸鏡北道)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북동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조선군 (일본군)와 함경북도 · 더보기 »

한반도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한반도의 모양 한반도(韓半島)는 정치지리학적으로 동아시아에 위치해 있으며, 지형학적으로 유라시아 대륙의 동북쪽 끝에 있는 반도이.

새로운!!: 조선군 (일본군)와 한반도 · 더보기 »

한국의 독립운동

국의 독립운동(韓國-獨立運動)은 대한민국의 대표적 역사운동이.

새로운!!: 조선군 (일본군)와 한국의 독립운동 · 더보기 »

한성부

경복궁 앞 근정문 근정전 어좌의 모습 한성(漢城)은 조선의 도읍지(수도)였.

새로운!!: 조선군 (일본군)와 한성부 · 더보기 »

안도 사다요시

안도 사다요시(1853년 10월 20일(가에이 6년 8월 19일) ~ 1932년(쇼와 7년) 8월 29일)는 일본 제국의 육군 군인이며 화족이.

새로운!!: 조선군 (일본군)와 안도 사다요시 · 더보기 »

하세가와 요시미치

세가와 요시미치(1850년 10월 1일 ~ 1924년 1월 27일)는 일본의 군인, 정치인, 외교관이.

새로운!!: 조선군 (일본군)와 하세가와 요시미치 · 더보기 »

하야시 센주로

야시 센주로(1876년 2월 23일 ~ 1943년 2월 4일)는 일본제국 육군의 군인이자 정치가로, 제33대 내각총리대신을.

새로운!!: 조선군 (일본군)와 하야시 센주로 · 더보기 »

아카시 모토지로

아카시 모토지로(1864년 9월 1일(겐지 원년 8월 1일) ~ 1919년(다이쇼 8년) 10월 26일)는 메이지, 다이쇼 시대의 일본 제국 육군의 군인이며 화족이.

새로운!!: 조선군 (일본군)와 아카시 모토지로 · 더보기 »

아키야마 요시후루

아키야마 요시후루(1859년 2월 9일 ~ 1930년 11월 4일)는 일본제국육군의 군인으로, 계급은 일본 제국 육군 대장, 지위 등급은 ‘종이위’(從二位), 훈장 등급은 훈일등(勳一等), 공적의 등급은 ‘공이급’(功二級)이.

새로운!!: 조선군 (일본군)와 아키야마 요시후루 · 더보기 »

원산시

원산시(元山市)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강원도 동해안 영흥만에 있는 시이자 강원도 인민위원회의 소재지이.

새로운!!: 조선군 (일본군)와 원산시 · 더보기 »

1937년

1937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군 (일본군)와 1937년 · 더보기 »

3·1 운동

3·1 운동(三一運動) 또는 3·1 만세 운동(三一萬歲運動)은 일제 강점기에 있던 한국인들이 일제의 지배에 항거하여 1919년 3월 1일 한일병합조약의 무효와 한국의 독립을 선언하고 비폭력 만세운동을 시작한 사건이.

새로운!!: 조선군 (일본군)와 3·1 운동 · 더보기 »

9월 9일

9월 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52번째(윤년일 경우 25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조선군 (일본군)와 9월 9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조선 주둔 일본군, 조선군 (일본 제국), 조선군 (일본), 조선군사령부, 조선주차군사령부.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