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조선의 과학과 기술

색인 조선의 과학과 기술

조선시대의 과학과 기술은 조선 전기와 후기가 그 발전 양상에 차이가 있. 조선시대의 전기와 후기는 임진왜란을 경계로 나누어지는데, 전기에는 주로 활자, 의학, 천문학, 무기 제조 기술 등 실생활에 밀접한 관련이 있는 과학 기술이 발전하였고, 후기에는 서양 문물의 전래로 인하여 그들의 문화를 연구하는 활동이 두드러졌.

61 처지: 동의보감, 동의수세보원, 망원경, 간의, 간의대, 박연 (1595년), 박세당, 거북선, 과학, 불랑기포, 기상, 기술, 비격진천뢰, 농업, 자명종, 자격루, 임진왜란, 이익, 이제마, 이순신, 이수광, 일성정시의, 의방유취, 의사, 의학, 의학자, 전순의, 정약용, 조총, 조선, 조선 광해군, 조선 효종, 조선 인조, 조선의 문화, 조선의 학문, 조선의 활자, 중국, 지봉유설, 천문, 천문학, 측우기, 칠정산, 태양력, 색경, 혼천의, 향약제생집성방, 역법, 역대병요, 허임, 허준, ..., 서양, 소간의, 해멀, 앙부일구, 시헌력, 홍대용, 활자, 화포, 화차 (무기), 1631년, 1653년.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1 더) »

동의보감

《동의보감》(東醫寶鑑)은 허준 등이 지은 한의학에 대한 임상의학 백과사전으로서, 1596년(선조 29)부터 편찬하여 1610년(광해 2)에 완성된 의학서이.

새로운!!: 조선의 과학과 기술와 동의보감 · 더보기 »

동의수세보원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은 조선 후기에 동무 이제마가 저술한 것으로 4권 2책으로 되어 있. 이제마는 고종 30년(1893년)에 착수하여 고종 31년(1894)에 《동의수세보원》상·하 3권을 완성함으로써 사상의학설을 제창하였.

새로운!!: 조선의 과학과 기술와 동의수세보원 · 더보기 »

망원경

스커버리 우주왕복선에서 바라본 허블 우주망원경 망원경(望遠鏡)은 렌즈나 거울 등의 광학기기를 이용하여 가시광선·적외선·자외선·엑스선 등의 전자기파를 모아 멀리 있는 물체를 관측하는 장치이.

새로운!!: 조선의 과학과 기술와 망원경 · 더보기 »

간의

의 세종대왕릉에 전시된 간의 간의(簡儀)는 조선 세종때 제작된 천문 관측기구이.

새로운!!: 조선의 과학과 기술와 간의 · 더보기 »

간의대

의대(簡儀臺)는 조선시대의 천문대이.

새로운!!: 조선의 과학과 기술와 간의대 · 더보기 »

박연 (1595년)

알크마르의 마을인 더레이프에 설치되어 있는 박연 기념 동상 박연(朴淵, 朴燕, 朴延, 1595년 ~ ?) 또는 얀 얀스 벨테브레()는 조선 후기의 무신이.

새로운!!: 조선의 과학과 기술와 박연 (1595년) · 더보기 »

박세당

박세당(朴世堂, 1629년 음력 8월 10일~1703년 음력 8월 21일)은 조선 후기의 학자이자 문신으로 소론의 지도자 중 한사람이며 박태보의 아버지이.

새로운!!: 조선의 과학과 기술와 박세당 · 더보기 »

거북선

서울특별시의 전쟁기념관에 있는 거북선 모형 대한민국의 5원 주화 거북선 또는 귀선(龜船)은 조선 시대의 군함이.

새로운!!: 조선의 과학과 기술와 거북선 · 더보기 »

과학

원자의 보어 모형은 실험에 의해 검증된 과학 이론으로, 나중에 보다 정교한 실험을 통해 부분적으로 반증되었다. 이와 같은 사례는 과학사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과학(科學, Science)은 사물의 구조·성질·법칙 등을 관찰 가능한 방법으로 얻어진 체계적·이론적인 지식의 체계를 말. 좁게는 인류가 경험주의와 방법론적 자연주의에 근거하여 실험을 통해 얻어낸 자연계에 대한 지식들을 의미.

새로운!!: 조선의 과학과 기술와 과학 · 더보기 »

불랑기포

국립진주박물관 소장 불랑기포 불랑기포(佛郞機砲)는 중국 명나라 시대에 도입한 서양식 후장포이.

새로운!!: 조선의 과학과 기술와 불랑기포 · 더보기 »

기상

상 현상 중의 하나인 구름(적란운) 기상(氣象)은 강수, 바람, 구름 등 대기 중에서 일어나는 각종 현상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

새로운!!: 조선의 과학과 기술와 기상 · 더보기 »

기술

술(技術)은 과학, 공학, 기능과 관련하여 다양한 뜻으로 쓰인.

새로운!!: 조선의 과학과 기술와 기술 · 더보기 »

비격진천뢰

비격진천뢰를 날리는 대완구 비격진천뢰(飛擊震天雷)는 조선 중기에 군사목적으로 사용된 폭탄이.

새로운!!: 조선의 과학과 기술와 비격진천뢰 · 더보기 »

농업

농사를 짓는 모습. 농업(農業)은 농경(農耕)이라고도 하며, 흙이나 토지를 이용하여 인간에게 유익한 식물(곡물, 채소, 과일, 화훼, 약재, 섬유 등)의 재배와 생산 그리고 가축들의 생산 및 품질 관리에 관계되는 온갖 활동과 연구를 일컫.

새로운!!: 조선의 과학과 기술와 농업 · 더보기 »

자명종

본적인 디지털 시계 라디오 디지털 자명종 시계 바늘을 돌려서 울리게 하는 자명종 자명종(自鳴鐘) 또는 알람 시계(alarm 時計)는 사람이 지정한 날짜 및 시간에 소리가 울리도록 만든 시계이.

새로운!!: 조선의 과학과 기술와 자명종 · 더보기 »

자격루

자격루(自擊漏)는 조선 세종 때의 물시계로, 자동으로 시간마다 종이 울리도록 한 국가 표준시계이.

새로운!!: 조선의 과학과 기술와 자격루 · 더보기 »

임진왜란

임진왜란(壬辰倭亂)은 1592년(선조 25) 일본이 조선을 침략하면서 시작되어 1598년(선조 31)까지 이어진 전쟁이.

새로운!!: 조선의 과학과 기술와 임진왜란 · 더보기 »

이익

이익(利益)은 단순히 말해 수입에서 지출을 뺀 현금흐름(캐시 플로, cash flow)을 가리.

새로운!!: 조선의 과학과 기술와 이익 · 더보기 »

이제마

이제마(李濟馬, 1837년 4월 23일 ~ 1900년 11월 12일)는 조선 후기의 한의학자(漢醫學者), 문관(文官), 무관(武官), 시인(詩人)이며, 조선 왕족의 방계 혈족이.

새로운!!: 조선의 과학과 기술와 이제마 · 더보기 »

이순신

광화문 광장의 이순신 동상 이순신(李舜臣, 1545년 4월 28일 ~ 1598년 12월 16일 (음력 11월 19일))은 조선 중기의 무신이.

새로운!!: 조선의 과학과 기술와 이순신 · 더보기 »

이수광

이수광(李睟光, 1563년 3월 14일(음력 2월 20일)~ 1629년 1월 19일(음력 1628년 12월 26일))은 조선 중기의 왕족 출신 문신이자 성리학자, 실학자, 외교관이.

새로운!!: 조선의 과학과 기술와 이수광 · 더보기 »

일성정시의

일성정시의(日星定時儀)는 1437년 5월 19일(조선 세종 19년 음력 4월 15일)에 처음 만들어졌으며, 세종이 이천, 정인지, 정초에게 명하여 해시계와 별시계의 기능을 하나로 모아 고안하여 낮과 밤의 시각을 측정할 수 있도록 만들게 하여 장영실 등이 만든 주야간 시계이.

새로운!!: 조선의 과학과 기술와 일성정시의 · 더보기 »

의방유취

《의방유취》(醫方類聚)는 1445년(조선 세종 27년)에 완성된 의학서이.

새로운!!: 조선의 과학과 기술와 의방유취 · 더보기 »

의사

의사(醫師, medical doctor, physician, surgeon)는 의학의 전문가로서 인체와 질병, 손상, 각종 신체 혹은 정신의 이상을 연구하고 진단, 치료함으로써 인간의 건강을 증진하고 유지하며 회복시키는 일을 수행하는 사람을 말. 의료법에 의하면 의료진은 의사·치과의사·한의사·조산사(助産師)·간호사(看護師)로 나누고 있으며, 이 중 의사는 의료와 보건지도에 종사함을 임무.

새로운!!: 조선의 과학과 기술와 의사 · 더보기 »

의학

고대 그리스에서 치료의 신으로 숭배되었던 아스클레피오스 의학(醫學)은 인체의 구조와 기능을 조사하여 인체의 보건, 질병이나 상해의 치료 및 예방에 관한 방법과 기술을 연구하는 학문이.

새로운!!: 조선의 과학과 기술와 의학 · 더보기 »

의학자

의학자는 의학을 연구하는 과학자이.

새로운!!: 조선의 과학과 기술와 의학자 · 더보기 »

전순의

전순의(全循義, ? ~ ?)는 조선 전기의 의관이.

새로운!!: 조선의 과학과 기술와 전순의 · 더보기 »

정약용

화성성역의궤에 실린 거중기 정약용(丁若鏞, 1762년 8월 5일(음력 6월 16일) ~ 1836년 4월 7일(음력 2월 22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실학자·저술가·시인·철학자·과학자·공학자이다. 본관은 나주, 자는 미용(美庸), 호는 다산(茶山)·사암(俟菴)·탁옹(籜翁)·태수(苔叟)·자하도인(紫霞道人)·철마산인(鐵馬山人)·문암일인(門巖逸人), 당호는 여유당(與猶堂)이다. 시호는 문도(文度)이다.

새로운!!: 조선의 과학과 기술와 정약용 · 더보기 »

조총

조총(鳥銃)은 전근대 조선과 중국에서 사용된 아쿼버스급 화승총이.

새로운!!: 조선의 과학과 기술와 조총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조선의 과학과 기술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광해군

광해군(光海君, 1575년 6월 4일 (음력 4월 26일) ~ 1641년 8월 7일 (음력 7월 1일))은 조선의 제15대 임금이.

새로운!!: 조선의 과학과 기술와 조선 광해군 · 더보기 »

조선 효종

효종의 한글편지 효종(孝宗, 1619년 7월 3일 (음력 5월 22일) ~ 1659년 6월 23일 (음력 5월 4일), 재위: 1649년 ~ 1659년)은 조선의 제17대 임금이.

새로운!!: 조선의 과학과 기술와 조선 효종 · 더보기 »

조선 인조

인조(仁祖, 1595년 12월 7일 (음력 11월 7일) ~ 1649년 6월 17일 (음력 5월 8일), 재위 기간: 1623년 ~ 1649년)는 조선의 제16대 임금이.

새로운!!: 조선의 과학과 기술와 조선 인조 · 더보기 »

조선의 문화

이 문서는 조선시대의 문화에 대해 설명한 글이.

새로운!!: 조선의 과학과 기술와 조선의 문화 · 더보기 »

조선의 학문

조선시대의 학문은 조선 시대 전반에 걸쳐 유학의 일파인 성리학이 융성하였고, 중기부터 도교가 도학이라는 이름으로 퍼지기 시작.

새로운!!: 조선의 과학과 기술와 조선의 학문 · 더보기 »

조선의 활자

이 문서는 조선시대의 활자에 대해 설명한 글이.

새로운!!: 조선의 과학과 기술와 조선의 활자 · 더보기 »

중국

중국()은 동아시아와 중앙아시아, 그리고 태평양 서부 연안의 도서 지방을 포괄하는 지명이.

새로운!!: 조선의 과학과 기술와 중국 · 더보기 »

지봉유설

《지봉유설》 목판본 《지봉유설》(芝峰類說)은 1614년(광해군 6년)에 지봉 이수광(李睟光)이 지은 일종의 백과사전적 저서이.

새로운!!: 조선의 과학과 기술와 지봉유설 · 더보기 »

천문

문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조선의 과학과 기술와 천문 · 더보기 »

천문학

불규칙은하인 대마젤란 은하의 별 생성영역. 초신성 잔해의 하나인 게 성운 천문학(天文學)은 별이나 행성, 혜성, 은하와 같은 천체와, 지구 대기의 바깥쪽으로부터 비롯된 현상(예를 들면,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을 연구하는 자연과학의 한 분야이.

새로운!!: 조선의 과학과 기술와 천문학 · 더보기 »

측우기

측우기 측우기(測雨器)는 조선 시대에 강우량 분포를 측정하던 기구로서, 세계 최초의 강우량 측정기이.

새로운!!: 조선의 과학과 기술와 측우기 · 더보기 »

칠정산

《칠정산》(七政算)은 운동하는 천체의 위치를 계산하는 방법을 서술한 역서이.

새로운!!: 조선의 과학과 기술와 칠정산 · 더보기 »

태양력

양력(太陽曆)은 태양을 기준으로 하는 달력이.

새로운!!: 조선의 과학과 기술와 태양력 · 더보기 »

색경

색경(穡經)은 조선 숙종 때의 문신인 서계 박세당이 지은 농업책이.

새로운!!: 조선의 과학과 기술와 색경 · 더보기 »

혼천의

1585년 카셀에서 요스트 뷔르기(Jost Bürgi), 안토니우스 아이젠호이트(Antonius Eisenhoit)가 제작한 혼천의와 천문시계. 현재는 스웨덴 스톡홀름에 위치한 북유럽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혼천의(渾天儀)는 천체 관측 기구로 천구의(天球儀), 혼의(渾儀), 선기옥형(璇璣玉衡)이라고도 불린.

새로운!!: 조선의 과학과 기술와 혼천의 · 더보기 »

향약제생집성방

《향약제생집성방》(鄕藥齊生集成方)은 조선 초에 김희선 등이 편찬한 의학서로서, 대한민국의 보물 제1178호로 지정된 책이.

새로운!!: 조선의 과학과 기술와 향약제생집성방 · 더보기 »

역법

1871~1872년 힌두 달력의 한 페이지 역법(曆法)은 천체의 운행 등을 바탕으로 한 해의 주기적 시기를 밝히는 방법이.

새로운!!: 조선의 과학과 기술와 역법 · 더보기 »

역대병요

역대병요(歷代兵要)는 수양대군이 세종의 명을 받아 총재하여 편찬된 동국 전쟁 사서이.

새로운!!: 조선의 과학과 기술와 역대병요 · 더보기 »

허임

전라도 나주에서 태어난 허임 (許任)은 조선 선조 때의 명의이.

새로운!!: 조선의 과학과 기술와 허임 · 더보기 »

허준

준(許浚, 1539년~1615년)은 조선 중기의 의관·의학자이.

새로운!!: 조선의 과학과 기술와 허준 · 더보기 »

서양

서양(西洋)은 대체로 유럽과 북아메리카 등의 영미 문화권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조선의 과학과 기술와 서양 · 더보기 »

소간의

소간의(小簡儀)는 조선 시대의 천문 관측기구이.

새로운!!: 조선의 과학과 기술와 소간의 · 더보기 »

해멀

멀(Hamel, Hammel)은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유럽어권 언어에서는 하멜 또는 하멀이.

새로운!!: 조선의 과학과 기술와 해멀 · 더보기 »

앙부일구

앙부일구(仰釜日晷)는 1434년 조선 세종대왕 16년 이후로 제작·사용된 해시계로, 과학·역사·예술적 가치를 인정받아 1985년 8월 9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845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조선의 과학과 기술와 앙부일구 · 더보기 »

시헌력

시헌력(時憲曆)은 청대에 완성된 서양천문학의 영향을 받아 만들어진 역법으로, 청나라와 조선 등에서 사용되었.

새로운!!: 조선의 과학과 기술와 시헌력 · 더보기 »

홍대용

홍대용(洪大容, 1731년 5월 12일 ~ 1783년 11월 17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실학자이자 과학 사상가이.

새로운!!: 조선의 과학과 기술와 홍대용 · 더보기 »

활자

속 활자. 활자(活字)는 글을 인쇄하기 위해 만든 글자틀을 말. 낱글자를 사각기둥 위에 양각으로 새. 좁은 의미의 활자는 주로 활판 인쇄에 사용되며 사각기둥 모양의 금속 윗면에 글자를 거꾸로 새긴 것을 말. 과거에는 나무에 새긴 것(목활자), 흙으로 만든 것(흙활자) 등도 사용되었으나 새김면이 약해 부서지기 쉽고 먹이 스며들어 약해지는 문제가 있어 많이 보급되지는 못. 금속 활자 기술이 널리 보급되고 금속 활자를 이용한 인쇄술과 인쇄기가 개발되어 활자가 대중화되었.

새로운!!: 조선의 과학과 기술와 활자 · 더보기 »

화포

화포는 다음을 가리.

새로운!!: 조선의 과학과 기술와 화포 · 더보기 »

화차 (무기)

화차의 복원 모습. 구멍 속에 끼인 막대 같은 것이 신기전이다. 발사하면 한번에 많은 수의 적을 공격할 수 있다. 화차(火車)는 조선 초기에 발명되어 조선 중기까지 사용된 무기의 일종이.

새로운!!: 조선의 과학과 기술와 화차 (무기) · 더보기 »

1631년

1631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의 과학과 기술와 1631년 · 더보기 »

1653년

1653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의 과학과 기술와 1653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조선의 과학, 조선의 과학 기술, 조선의 과학기술, 조선의 기술.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