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팔도

색인 팔도

조선 팔도 팔도(八道)는 1895년까지의 조선의 광역 행정 구역을 이르는 명칭이.

127 처지: 량강도, 돈의문, 도 (행정 구역), 동북 방언, 동남 방언, 동여도, 라선특별시, , 감영, 백두대간, 바다, 강릉시, 강원도, 강원도 (북), 강원도 (남), 경기 방언, 경기도, 경기도 (조선), 경주시, 경상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경성군, 고려의 행정 구역, 고종실록, 공주시, 광주광역시, 관동 지방, 관북 지방, 관찰사, 관서 지방, 부산광역시, 길주군, 금야군, 김정호, 김치, 대관령, 대구광역시, 대전광역시,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대한제국 고종, 남포특별시, 나주시, 울산광역시, 자강도, 평양직할시, 평안도, 평안북도, 평안남도, ..., 이십삼부, 이시애의 난, 인천광역시, 제주도,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어, 전라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전주시, 조선, 조선 중종, 조선 태조, 조선 태종, 조선 세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청주시, 충주시, 충청 방언, 충청도, 충청북도, 충청남도, 상주시, 태백산맥, 수도권, 수도권 (대한민국), 영동 방언, 영동 지방, 영남 지방, 영흥군, 영서 지방, 호남 지방, 호서 지방, 세종특별자치시, 서북 방언, 서남 방언, 서울특별시, 함경도, 함경북도, 함경남도, 함흥시, 해주시, 해서, 한민족, 한반도, 한국 북부, 한국 남부, 한국의 지방 구분, 한국의 행정 구역, 한성부, 안변군, 안주시, 아리랑, 십삼도, 원주시, 황주군, 황해, 황해 방언, 황해도, 황해북도, 황해남도, 1413년, 1416년, 1467년, 1470년, 1509년, 1600년, 1601년, 1602년, 1857년, 1895년, 1896년, 1946년, 1954년, 2006년, 7월 1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77 더) »

량강도

량강도(兩江道)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북부의 도이.

새로운!!: 팔도와 량강도 · 더보기 »

돈의문

의문 돈의문(敦義門)은 조선의 수도인 한양의 4대문(大門) 중의 하나로 서쪽의 대문이.

새로운!!: 팔도와 돈의문 · 더보기 »

도 (행정 구역)

(道)는 행정 구역의 이름이.

새로운!!: 팔도와 도 (행정 구역) · 더보기 »

동북 방언

동북 방언(東北方言)은 한국어의 대방언권 중 하나이.

새로운!!: 팔도와 동북 방언 · 더보기 »

동남 방언

동남 방언(東南方言)은 영남 지방에서 사용되는 한국어의 방언이.

새로운!!: 팔도와 동남 방언 · 더보기 »

동여도

〈동여도〉(東輿圖)는 23규(糾)로 이루어진 한국 옛 지도 가운데 가장 정밀한 지도이.

새로운!!: 팔도와 동여도 · 더보기 »

라선특별시

선특별시(羅先特別市)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동북부에 있는 도시이.

새로운!!: 팔도와 라선특별시 · 더보기 »

자의 마을 리 리(里)는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에서 사용하는 길이를 나타내는 단위이.

새로운!!: 팔도와 리 · 더보기 »

감영

영(監營)은 조선시대 때 각 지역의 관찰사(觀察使)가 상주하며 업무를 보던 관청이.

새로운!!: 팔도와 감영 · 더보기 »

백두대간

백두대간(白頭大幹)은 백두산에서 뻗어 내린 겨레의 큰 줄기라는 의미를 뜻.

새로운!!: 팔도와 백두대간 · 더보기 »

바다

북해, 덴마크 연안 바다 또는 해양()은 지구 표면에서 전체 또는 일부가 육지로 둘러싸인 거대한 소금물이.

새로운!!: 팔도와 바다 · 더보기 »

강릉시

강릉시의 로고 강릉시(江陵市)는 대한민국 강원도 동해안 중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팔도와 강릉시 · 더보기 »

강원도

조선 후기 강원도 강원도(江原道)는 관동 지방(關東地方)에 해당하는 지역이.

새로운!!: 팔도와 강원도 · 더보기 »

강원도 (북)

강원도(江原道)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남동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팔도와 강원도 (북) · 더보기 »

강원도 (남)

강원도(江原道, Gangwon Province)는 대한민국의 북동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팔도와 강원도 (남) · 더보기 »

경기 방언

경기 방언(京畿方言)은 대한민국의 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 등 수도권과 강원도의 영서 지방(영월·정선·평창은 제외), 그리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황해북도 개성특급시에서 주로 쓰이는 한국어의 방언(사투리)이.

새로운!!: 팔도와 경기 방언 · 더보기 »

경기도

경기도(京畿道)는 대한민국의 북서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팔도와 경기도 · 더보기 »

경기도 (조선)

조선 후기 경기도 경기도(京畿道)는 경기도,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의 대부분 지역, 개성특급시 일대를 관할했던 행정 구역으로 경기 지방(京畿 地方)에 해당.

새로운!!: 팔도와 경기도 (조선) · 더보기 »

경주시

경주시(慶州市)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동남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팔도와 경주시 · 더보기 »

경상도

경상도 경상도(慶尙道)는 경상남도, 경상북도와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울산광역시 일대를 관할했던 행정 구역으로 영남 지방(嶺南地方)에 해당.

새로운!!: 팔도와 경상도 · 더보기 »

경상북도

경상북도(慶尙北道)는 대한민국 동남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팔도와 경상북도 · 더보기 »

경상남도

경상남도(慶尙南道)는 대한민국 남동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팔도와 경상남도 · 더보기 »

경성군

경성군(鏡城郡)은 함경북도 중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팔도와 경성군 · 더보기 »

고려의 행정 구역

의 행정 구역은 성종 초부터 정비되었으며, 전국을 5도 양계와 경기로 크게 나뉘었.

새로운!!: 팔도와 고려의 행정 구역 · 더보기 »

고종실록

《고종통천융운조극돈륜정성광의명공대덕요준순휘우모탕경응명입기지화신열외훈홍업계기선력건행곤정영의홍휴수강문헌무장인익정효태황제실록》(高宗統天隆運肇極敦倫正聖光義明功大德堯峻舜徽禹謨湯敬應命立紀至化神烈巍勳洪業啓基宣曆乾行坤定英毅弘休壽康文憲武章仁翼貞孝太皇帝實錄), 간단히 《고종실록》(高宗實錄)은 일제 강점기에 편찬된 실록이.

새로운!!: 팔도와 고종실록 · 더보기 »

공주시

공주시(公州市)는 대한민국 충청남도 중앙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팔도와 공주시 · 더보기 »

광주광역시

광주광역시(光州廣域市)는 대한민국의 남서부에 있는 광역시이.

새로운!!: 팔도와 광주광역시 · 더보기 »

관동 지방

동 지방(關東地方)은 강원도 일대를 가리키는 한국의 지역 구분 용어이.

새로운!!: 팔도와 관동 지방 · 더보기 »

관북 지방

북 지방(關北地方)은 현재의 함경남도, 함경북도, 량강도, 라선특별시 일대를 가리키는 한국의 지역 구분 용어이.

새로운!!: 팔도와 관북 지방 · 더보기 »

관찰사

사(觀察使)는, 중국 당대(唐代)에서 비롯하여 훗날 한국의 조선(朝鮮), 나아가 헤이안 시대(平安時代) 초기 일본에도 설치되었던 지방행정 감찰을 맡은 관직이.

새로운!!: 팔도와 관찰사 · 더보기 »

관서 지방

서 지방(關西地方)은 현재의 평양직할시, 평안남도, 평안북도, 자강도 일대를 가리키는 조선의 지역 구분 용어이.

새로운!!: 팔도와 관서 지방 · 더보기 »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釜山廣域市)는 대한민국 동남부 해안에 있는 광역시이.

새로운!!: 팔도와 부산광역시 · 더보기 »

길주군

주군(吉州郡)은 함경북도에 있는 군이.

새로운!!: 팔도와 길주군 · 더보기 »

금야군

야군(金野郡)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남도 남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팔도와 금야군 · 더보기 »

김정호

정호(金正浩, ? ~ 1864년)는 조선 후기 대표적 지리학자이며 지도 제작자이.

새로운!!: 팔도와 김정호 · 더보기 »

김치

배추, 무 등을 굵은 소금에 절여 씻은 다음 고춧가루, 파, 마늘, 생강 등의 양념과 젓갈을 넣어 버무려 만드는 한국의 저장 발효식품이.

새로운!!: 팔도와 김치 · 더보기 »

대관령

format.

새로운!!: 팔도와 대관령 · 더보기 »

대구광역시

광역시(大邱廣域市)는 대한민국의 동남부 내륙에 있는 광역시이.

새로운!!: 팔도와 대구광역시 · 더보기 »

대전광역시

전광역시(大田廣域市)는 대한민국의 중앙부에 있는 광역시이.

새로운!!: 팔도와 대전광역시 · 더보기 »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팔도와 대한민국 · 더보기 »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민국의 행정구역 지도 시, 군, 자치구 전체 지도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大韓民國의 行政 區域)은 대한민국의 통치권을 행사하는 지역에서 1개의 특별시, 6개의 광역시, 8개의 도, 1개의 특별자치시, 1개의 특별자치도로 구성.

새로운!!: 팔도와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 더보기 »

대한제국 고종

종(高宗, 1852년 9월 8일 ~ 1919년 1월 21일)은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 (재위: 1897년 ~ 1907년)이자, 조선의 제26대 마지막 왕(재위: 1863년 ~ 1897년)이.

새로운!!: 팔도와 대한제국 고종 · 더보기 »

남포특별시

의 위성사진. 동서로 흐르는 것이 대동강, 강 북안이 남포 시가지, 왼쪽 끝에 있는 댐이 서해갑문 서해갑문 남포특별시(南浦特別市)는 한반도 북서부 해안에 위치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항구 도시이.

새로운!!: 팔도와 남포특별시 · 더보기 »

나주시

주시(羅州市)는 대한민국 전라남도 중서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팔도와 나주시 · 더보기 »

울산광역시

울산광역시(蔚山廣域市)는 대한민국 남동부 해안에 있는 광역시이.

새로운!!: 팔도와 울산광역시 · 더보기 »

자강도

자강도(慈江道)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북부 압록강 중류에 있는 도이.

새로운!!: 팔도와 자강도 · 더보기 »

평양직할시

평양직할시(平壤直轄市)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새로운!!: 팔도와 평양직할시 · 더보기 »

평안도

조선후기 평안도 평안도(平安道)는 조선 시대의 행정 구역이.

새로운!!: 팔도와 평안도 · 더보기 »

평안북도

평안북도(平安北道)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서북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팔도와 평안북도 · 더보기 »

평안남도

평안남도(平安南道)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서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팔도와 평안남도 · 더보기 »

이십삼부

23부제 이십삼부제(二十三府制, 23부제)는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에 시행된 조선의 지방 제도로, 최상위 행정 구역을 부(府)로 개편하고 그 하위 행정 구역을 군(郡) 으로 명칭을 통일하여 부군제(府郡制)라고도 부른.

새로운!!: 팔도와 이십삼부 · 더보기 »

이시애의 난

이시애의 난(李施愛-亂)은 1467년(세조 13년) 5월부터 8월까지 함경도 길주의 호족 이시애 등이 세조의 집권 정책에 반대해 일으킨 반란이.

새로운!!: 팔도와 이시애의 난 · 더보기 »

인천광역시

인천광역시(仁川廣域市)는 대한민국의 서해안에 있는 광역시이.

새로운!!: 팔도와 인천광역시 · 더보기 »

제주도

제주도(濟州島, Jeju-do)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큰 섬으로, 제주특별자치도에 속하며, 한반도 남쪽 바다 건너에 있. 섬의 면적은 1833.2 km²인데 이는 대한민국 면적의 1.83%에 해당.

새로운!!: 팔도와 제주도 · 더보기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濟州特別自治道)는 대한민국 남해상의 섬을 관할하는 특별자치도이.

새로운!!: 팔도와 제주특별자치도 · 더보기 »

제주어

제주어(濟州語) 또는 제주도 사투리, 제주 방언, 제주말은 추자군도를 제외한 제주특별자치도 전역에서 쓰이는 대한민국의 지역언어이.

새로운!!: 팔도와 제주어 · 더보기 »

전라도

전라도(全羅道)는 전라북도와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제주특별자치도 일대를 관할했던 행정구역으로 호남 지방(湖南地方)에 해당.

새로운!!: 팔도와 전라도 · 더보기 »

전라북도

전라북도(全羅北道)는 대한민국의 서남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팔도와 전라북도 · 더보기 »

전라남도

전라남도(全羅南道)는 대한민국의 서남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팔도와 전라남도 · 더보기 »

전주시

전주시(全州市)는 대한민국 전라북도의 중앙부에 위치한 시이자 전라북도청 소재지이.

새로운!!: 팔도와 전주시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팔도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중종

중종(中宗, 1488년 4월 16일 (음력 3월 5일) ~ 1544년 11월 29일 (음력 11월 15일), 재위: 1506년~1544년)은 조선의 제11대 왕이.

새로운!!: 팔도와 조선 중종 · 더보기 »

조선 태조

조선 태조(朝鮮 太祖, 1335년 10월 27일 (음력 10월 11일) ~ 1408년 6월 18일 (음력 5월 24일), 재위: 1392년 8월 5일 (음력 7월 17일) ~ 1398년 10월 14일 (음력 9월 5일))는 고려 말의 무신 겸 정치가이자 조선의 초대 왕이.

새로운!!: 팔도와 조선 태조 · 더보기 »

조선 태종

종(太宗, 1367년 6월 13일 (음력 5월 16일) ~ 1422년 5월 30일 (음력 5월 10일) 재위 1400년 ~ 1418년)은 고려, 조선의 문신이자 조선의 제3대 임금이.

새로운!!: 팔도와 조선 태종 · 더보기 »

조선 세조

세조(世祖, 1417년 11월 2일 (음력 9월 24일) ~ 1468년 9월 23일 (음력 9월 8일), 재위 1455년~1468년)는 조선의 제7대 임금, 시인이.

새로운!!: 팔도와 조선 세조 · 더보기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북부에 위치한 국가이.

새로운!!: 팔도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더보기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은 1직할시 2특별시 9도로 이루어져 있. 기초 행정 구역으로는 시, 군, 구역이 있는데, 직할시와 특별시의 아래에는 구역, 군을 두고, 도의 아래에는 시, 군을.

새로운!!: 팔도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더보기 »

청주시

청주시(淸州市)는 대한민국 충청북도 중서부에 있는 시이자 충청북도청 소재지이.

새로운!!: 팔도와 청주시 · 더보기 »

충주시

충주시(忠州市)는 대한민국 충청북도 북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팔도와 충주시 · 더보기 »

충청 방언

충청도 사투리 또는 호서 사투리 호서 방언또는 충청 방언(忠淸方言)은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남도, 충청북도, 평택시 등 호서 지방(湖西地方)에서 주로 사용하는 사투리이.

새로운!!: 팔도와 충청 방언 · 더보기 »

충청도

조선후기 충청도 충청도(忠淸道)는 충청남도, 충청북도와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일대를 관할했던 행정구역으로 호서 지방(湖西地方)에 해당.

새로운!!: 팔도와 충청도 · 더보기 »

충청북도

충청북도(忠淸北道)는 대한민국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도이.

새로운!!: 팔도와 충청북도 · 더보기 »

충청남도

충청남도(忠淸南道)는 대한민국 중서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팔도와 충청남도 · 더보기 »

상주시

상주시(尙州市)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서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팔도와 상주시 · 더보기 »

태백산맥

백산맥(太白山脈, Taebaek Mountains)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강원도 원산시 부근의 추가령구조곡에서 대한민국 부산광역시에 이르는 산맥으로 한반도의 동부를 종단하는 산맥이.

새로운!!: 팔도와 태백산맥 · 더보기 »

수도권

수도권(首都圈, Capital region) 또는 수도 지역(首都 地域), 수도 지구(首都 地區)란 수도와 더불어 밀접한 관계를 맺는 주변 도시권 지역을 하나로 구분하여 부르는 말이.

새로운!!: 팔도와 수도권 · 더보기 »

수도권 (대한민국)

빨간색: 서울특별시, 보라색: 인천광역시, 초록색: 경기도, 청록색: 수도권 전철이 다니는 수도권 이외의 지역들(충청남도 천안시, 아산시, 강원도 춘천시) 대한민국의 수도권(首都圈)은 서울특별시와 인천광역시, 경기도 일대를 가리키는 한국의 지방 구분 용어이.

새로운!!: 팔도와 수도권 (대한민국) · 더보기 »

영동 방언

영동 방언(嶺東方言)은 강원도 영동 지방(강릉시, 동해시, 속초시, 삼척시, 태백시, 고성군, 양양군, 통천군)과 영서 지방 일부(영월군, 평창군, 정선군), 경상북도 울진군, 함경남도의 금야군 이남 지역에서 사용되는 한국어의 방언(사투리)이.

새로운!!: 팔도와 영동 방언 · 더보기 »

영동 지방

영동 지방(嶺東地方)은 강원도의 태백산맥 동쪽 지방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팔도와 영동 지방 · 더보기 »

영남 지방

영남 지방(嶺南地方)은 소백산맥 동남부에 위치한 한국의 지역 구분 용어이.

새로운!!: 팔도와 영남 지방 · 더보기 »

영흥군

영흥군(永興郡)은 함경남도 금야군과 요덕군(관평리 제외)의 이전 행정구역이.

새로운!!: 팔도와 영흥군 · 더보기 »

영서 지방

영서 지방(嶺西地方)은 강원도의 백두대간(태백산맥) 서쪽 지방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팔도와 영서 지방 · 더보기 »

호남 지방

호남 지방 호남 지방(湖南地方)은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라북도 일대를 가리키는 한국의 지역 구분 용어이.

새로운!!: 팔도와 호남 지방 · 더보기 »

호서 지방

호서 지방 호서 지방(湖西地方)은 대전광역시, 충청남도, 충청북도, 세종특별자치시 일대를 가리키는 한국의 지역 구분 용어이.

새로운!!: 팔도와 호서 지방 · 더보기 »

세종특별자치시

세종특별자치시(世宗特別自治市)는 대한민국 중앙부에 있는 특별자치시이.

새로운!!: 팔도와 세종특별자치시 · 더보기 »

서북 방언

서북 방언(西北方言) 또는 평안도 사투리는 평양직할시, 평안남도, 평안북도 및 자강도에서 쓰는 방언으로, 관서 지방에서 쓰인다고 하여 관서 방언(關西方言)이라고도 불린.

새로운!!: 팔도와 서북 방언 · 더보기 »

서남 방언

서남 방언(西南方言) 또는 호남 방언(湖南方言), 전라도 방언(全羅道方言), 전라도 사투리(全羅道사투리)는 한반도 서남부에서 사용되는 한국어의 방언 중 하나이.

새로운!!: 팔도와 서남 방언 · 더보기 »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는 대한민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새로운!!: 팔도와 서울특별시 · 더보기 »

함경도

조선후기 함경도 함경도(咸鏡道)는 조선 시대의 행정 구역이.

새로운!!: 팔도와 함경도 · 더보기 »

함경북도

경북도(咸鏡北道)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북동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팔도와 함경북도 · 더보기 »

함경남도

경남도(咸鏡南道)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동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팔도와 함경남도 · 더보기 »

함흥시

미국항공우주국 ''World Wind'' 사진 함흥시(咸興市)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남도 동해안에 있는 도시이자 함경남도청 소재지이.

새로운!!: 팔도와 함흥시 · 더보기 »

해주시

주시(海州市)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남도 중남부에 있는 시이자 황해남도청 소재지 그리고 황해남도의 유일한 시이.

새로운!!: 팔도와 해주시 · 더보기 »

해서

서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팔도와 해서 · 더보기 »

한민족

민족(韓民族)은 한반도와 그 주변의 만주, 연해주 등지에 살면서 공동 문화권을 형성하고 한국어를 사용하는 아시아계 민족이.

새로운!!: 팔도와 한민족 · 더보기 »

한반도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한반도의 모양 한반도(韓半島)는 정치지리학적으로 동아시아에 위치해 있으며, 지형학적으로 유라시아 대륙의 동북쪽 끝에 있는 반도이.

새로운!!: 팔도와 한반도 · 더보기 »

한국 북부

국 북부(韓國北部)는 남북으로 긴 한국(한반도)을 북부·중부·남부로 크게 3등분할 때에 사용되는 말로, 위도상으로는 대략 북위(北緯) 39° ~ 43°에 해당하며, 흔히 '북부 지역'이라고 일컫.

새로운!!: 팔도와 한국 북부 · 더보기 »

한국 남부

국 남부(韓國南部)는 남북으로 긴 한국(한반도)을 북부·중부·남부로 크게 3등분할 때에 사용되는 말로, 위도상으로는 대략 북위(北緯) 33° ~ 37°에 해당하며, 흔히 '남부 지역'이라고 일컫.

새로운!!: 팔도와 한국 남부 · 더보기 »

한국의 지방 구분

국의 지방 구분 한반도의 지방은 주로 산맥이나 강을 경계로 자연적으로 구분되기도 하고, 도(道) 단위의 행정구역을 경계로 지방을 지칭.

새로운!!: 팔도와 한국의 지방 구분 · 더보기 »

한국의 행정 구역

국은 현재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두 정치체로 나뉘어 있.

새로운!!: 팔도와 한국의 행정 구역 · 더보기 »

한성부

경복궁 앞 근정문 근정전 어좌의 모습 한성(漢城)은 조선의 도읍지(수도)였.

새로운!!: 팔도와 한성부 · 더보기 »

안변군

삼공동농장 안변군(安邊郡)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강원도에 있는 군이.

새로운!!: 팔도와 안변군 · 더보기 »

안주시

안주시(安州市)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남도에 있는 도시이.

새로운!!: 팔도와 안주시 · 더보기 »

아리랑

아리랑은 한국의 대표적인 민요이.

새로운!!: 팔도와 아리랑 · 더보기 »

십삼도

십삼도 십삼도제(十三道制, 13도제)는 1896년 8월 4일에 시행된 조선의 지방 제도로, 직전년도인 1895년 6월 23일부터 시행된 23부제를 폐지하고 종전의 조선 팔도 중 남부(충청·전라·경상)와 북부(평안·함경)의 5개 도를 남·북도로 나누었.

새로운!!: 팔도와 십삼도 · 더보기 »

원주시

원주시(原州市)는 대한민국 강원도 서남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팔도와 원주시 · 더보기 »

황주군

황주군(黃州郡)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황해북도 서북단에 있는 군이.

새로운!!: 팔도와 황주군 · 더보기 »

황해

반도 주변 바다의 이름 황해(黃海) 또는 서해(西海))는 태평양의 일부로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 연안의 바다이다. 황하의 토사가 유입되어 바다의 색깔이 누런 빛을 띠기 때문에 황해(서해)라는 이름이 붙었다. 대한민국에서는 한반도 서쪽에 있는 바다라고 해서 서해라고도 부르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조선서해(朝鮮西海)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프랑스 지도 제작자 당빌이 만든 신중국지도첩(1737년)에 표기된 황해()가 국제 표준으로 쓰인다. 대한민국에서도 교과서나 지도 등에 황해라고 기술하는 경우가 있다.

새로운!!: 팔도와 황해 · 더보기 »

황해 방언

황해도 방언(黃海道方言)은 구 황해도 지방인 황해남도, 황해북도 및 백령도·연평도 등 서해 5도에서 주로 사용하는 사투리이.

새로운!!: 팔도와 황해 방언 · 더보기 »

황해도

조선후기 황해도 황해도(黃海道)는 1417년부터 1954년까지 존속한 한반도의 중서부에 있는 도(道)로, 1954년 이후로는 황해남도와 황해북도로 분리되었.

새로운!!: 팔도와 황해도 · 더보기 »

황해북도

황해북도(黃海北道)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남중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팔도와 황해북도 · 더보기 »

황해남도

황해남도(黃海南道)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서남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팔도와 황해남도 · 더보기 »

141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팔도와 1413년 · 더보기 »

141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팔도와 1416년 · 더보기 »

146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팔도와 1467년 · 더보기 »

147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팔도와 1470년 · 더보기 »

150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팔도와 1509년 · 더보기 »

1600년

1600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며, 이 해는 16세기의 마지막 해이.

새로운!!: 팔도와 1600년 · 더보기 »

1601년

1601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팔도와 1601년 · 더보기 »

1602년

1602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팔도와 1602년 · 더보기 »

1857년

1857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팔도와 1857년 · 더보기 »

1895년

1895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팔도와 1895년 · 더보기 »

1896년

1896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팔도와 1896년 · 더보기 »

1946년

1946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팔도와 1946년 · 더보기 »

1954년

1954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팔도와 1954년 · 더보기 »

2006년

2006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팔도와 2006년 · 더보기 »

7월 1일

7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82번째(윤년일 경우 18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팔도와 7월 1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8도, 8도제, 조선 8도, 조선 팔도, 조선팔도.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