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조영 통상 조약

색인 조영 통상 조약

조영통상조약(Treaty of friendship and Commerce Between Great Britain and Corea)은 1883년 11월 26일 조선과 영국 사이에 전문 13조의 조영수호통상조약(朝英修好通商條約), 부속통상장정(附續通商章程), 세칙장정(稅則章程), 선후속약(善後續約)의 영문 조약 필사본이.

57 처지: 러시아, 마건충, 민영목, 강화도 조약, 거문도 사건, 경기도, 경상도, 불평등 조약, 부산광역시, 김병시, 김기수, 김홍집, 대한제국 고종, 국립중앙도서관, 나가사키 시, 흥선대원군, 인천광역시, 일본, 제2차 세계 대전, 제주도, 정여창 (청나라), 조미 수호 통상 조약, 조영하, 조선, 조선 정조, 조선 순조, 종교, 청나라, 충청도, 치외법권, 영국, 영사관, 여권, 서울 양화나루와 잠두봉 유적,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서상우, 해리 파크스, 한국, 원산시, 홍주, 10월 27일, 11월 26일, 12월 26일, 1797년, 1832년, 1876년, 1882년, 1883년, 1884년, ..., 1885년, 1945년, 1998년, 4월 21일, 4월 28일, 6월 6일, 8월.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7 더) »

러시아

시아 연방() 또는 러시아()는 동유럽과 북아시아에 걸쳐 있는 연방제 국가로, 세계에서 가장 영토가 넓은 국가이.

새로운!!: 조영 통상 조약와 러시아 · 더보기 »

마건충

마건충(1845년 2월 9일 - 1900년 8월 14일)은 청나라 말의 사상가, 외교관, 정치가, 언어학자이.

새로운!!: 조영 통상 조약와 마건충 · 더보기 »

민영목

민영목(閔泳穆, 1826년~ 1884년 10월 18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정치인으로, 민씨 척족세력의 거두의 한사람이었.

새로운!!: 조영 통상 조약와 민영목 · 더보기 »

강화도 조약

조일수호조규를 묘사한 그림 조일수호조규(朝日修好條規) 또는 강화도 조약(江華島條約)은 1876년 2월 27일(고종 13년 음력 2월 3일) 조선과 일본 제국 사이에 체결된 조약이.

새로운!!: 조영 통상 조약와 강화도 조약 · 더보기 »

거문도 사건

문도 사건(巨文島事件)은 1885년(고종 22년) 영국이 조선의 전라도에 있는 거문도를 불법 점거한 사건이.

새로운!!: 조영 통상 조약와 거문도 사건 · 더보기 »

경기도

경기도(京畿道)는 대한민국의 북서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조영 통상 조약와 경기도 · 더보기 »

경상도

경상도 경상도(慶尙道)는 경상남도, 경상북도와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울산광역시 일대를 관할했던 행정 구역으로 영남 지방(嶺南地方)에 해당.

새로운!!: 조영 통상 조약와 경상도 · 더보기 »

불평등 조약

불평등 조약(不平等條約)은 조약을 맺은 두 나라 사이에서 한 나라에게 불리한 조건을 지게 맺어진 조약을 가리.

새로운!!: 조영 통상 조약와 불평등 조약 · 더보기 »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釜山廣域市)는 대한민국 동남부 해안에 있는 광역시이.

새로운!!: 조영 통상 조약와 부산광역시 · 더보기 »

김병시

병시(金炳始, 1832년~1898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의정대신으로 자는 성초(聖初), 호는 용암(蓉庵), 시호는 충문(忠文)이.

새로운!!: 조영 통상 조약와 김병시 · 더보기 »

김기수

수는 다음 사람을 가리.

새로운!!: 조영 통상 조약와 김기수 · 더보기 »

김홍집

홍집은 다음과 같은 사람이 있.

새로운!!: 조영 통상 조약와 김홍집 · 더보기 »

대한제국 고종

종(高宗, 1852년 9월 8일 ~ 1919년 1월 21일)은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 (재위: 1897년 ~ 1907년)이자, 조선의 제26대 마지막 왕(재위: 1863년 ~ 1897년)이.

새로운!!: 조영 통상 조약와 대한제국 고종 · 더보기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國立中央圖書館, National Library of Korea)은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의 소속기관이.

새로운!!: 조영 통상 조약와 국립중앙도서관 · 더보기 »

나가사키 시

사키 역 부근의 시가지 나가사키 시()는 일본 규슈 북서쪽에 있는 도시이.

새로운!!: 조영 통상 조약와 나가사키 시 · 더보기 »

흥선대원군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1820년 12월 21일(음력 11월 16일) ~ 1898년 2월 22일(음력 2월 2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이자 정치가, 화가이며 조선의 추존왕이.

새로운!!: 조영 통상 조약와 흥선대원군 · 더보기 »

인천광역시

인천광역시(仁川廣域市)는 대한민국의 서해안에 있는 광역시이.

새로운!!: 조영 통상 조약와 인천광역시 · 더보기 »

일본

일본국(닛폰코쿠), 약칭 일본(日本,, 닛폰)은 동아시아에 있는 국. 국토는 태평양에 있는 일본 열도의 네 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홋카이도, 혼슈, 시코쿠, 규슈를 중심으로 주변에 산재한 작은 섬으로 구성되어 있. 총 면적은 37만 7835 km2인데 이는 노르웨이(스발바르 제도와 얀마옌을 포함한 경우)보다 작으며 독일보.

새로운!!: 조영 통상 조약와 일본 · 더보기 »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또는 World War II)은 1939년 9월 1일부터 1945년 9월 2일까지 치러진, 인류 역사상 가장 많은 인명 피해와 재산 피해를 남긴 가장 파괴적인 전쟁이.

새로운!!: 조영 통상 조약와 제2차 세계 대전 · 더보기 »

제주도

제주도(濟州島, Jeju-do)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큰 섬으로, 제주특별자치도에 속하며, 한반도 남쪽 바다 건너에 있. 섬의 면적은 1833.2 km²인데 이는 대한민국 면적의 1.83%에 해당.

새로운!!: 조영 통상 조약와 제주도 · 더보기 »

정여창 (청나라)

정여창 정여창(1836년 11월 18일 ~ 1895년 2월 12일)은 청의 군인으로서 청 후기에 일어난 여러 반란과 국외 문제에서 활약했으며 청일 전쟁 당시 대패하고 자살.

새로운!!: 조영 통상 조약와 정여창 (청나라) · 더보기 »

조미 수호 통상 조약

조·미수호통상조약(朝美修好通商條約)은 1882년(고종 19년) 조선과 미국 간에 조인된 조약이.

새로운!!: 조영 통상 조약와 조미 수호 통상 조약 · 더보기 »

조영하

조영하(趙寧夏, 1845년 6월 ~ 1884년 12월 5일)는 조선의 문신, 무신, 척신, 정치가, 시인이.

새로운!!: 조영 통상 조약와 조영하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조영 통상 조약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정조

정조 (正祖, 1752년 10월 28일(음력 9월 22일) ~ 1800년 8월 18일(음력 6월 28일))는 조선의 제22대 왕이며, 대한제국의 추존 황제이.

새로운!!: 조영 통상 조약와 조선 정조 · 더보기 »

조선 순조

순조(純祖, 1790년 7월 29일 (음력 6월 18일) ~ 1834년 12월 13일 (음력 11월 13일))는 조선의 제23대 왕(재위 1800년-1834년)이며 대한제국의 추존황제이.

새로운!!: 조영 통상 조약와 조선 순조 · 더보기 »

종교

슬라브 신이교의 상징. 종교(宗敎)란 규정된 믿음을 공유하는 이들로 이루어진 신앙 공동체와 그들이 가진 신앙 체계나 문화적 체계(cultural system)를 말. 종교는 인간과 관련된 존재의 우주적 질서(a cosmic order of existence)이.

새로운!!: 조영 통상 조약와 종교 · 더보기 »

청나라

청국(大淸國)은 1618년에, 여진 열국을 돌보는의 현명한 한(英明汗)이었던 누르가치가 건국한 대금()을 근간으로, 아들 태종 숭덕제는 대금에서 대청()으로 국호를 바꾸어 중국 대륙을 대표적으로 지배하는 제국였.

새로운!!: 조영 통상 조약와 청나라 · 더보기 »

충청도

조선후기 충청도 충청도(忠淸道)는 충청남도, 충청북도와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일대를 관할했던 행정구역으로 호서 지방(湖西地方)에 해당.

새로운!!: 조영 통상 조약와 충청도 · 더보기 »

치외법권

외 법권(治外法權, extraterritoriality)은, 일반적으로 외교적 협상의 결과에 따른, 해당지역 법의 관할권에서 면제되는 상태를 말. 또한 외국의 대사관이나 군사기지, 유엔의 사무소와 같은 물리적 공간에 적용될 수 있. 치외법권이 국제적으로 가장 널리 인정되는 케이스는 외국 국가수반 및 개인 소지품(belongings)과, 외교관 및 외교관 개인의 소지품(belongings), 외국 영해에 있는 선박이.

새로운!!: 조영 통상 조약와 치외법권 · 더보기 »

영국

이트 브리튼 북아일랜드 연합왕국(-聯合王國), 약칭 브리튼() 또는 연합왕국(聯合王國,, UK) 혹은 영국(英國)은 유럽 북서부 해안의 브리튼 제도에 위치한 주권국이자 섬나라로, 북해, 영국 해협, 아일랜드 해 및 대서양에 접하여 있으며 그레이트 브리튼 섬의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 및 아일랜드 섬 북부의 북아일랜드로 네 개의 구성국으로 이루어져 있는 연합국가이.

새로운!!: 조영 통상 조약와 영국 · 더보기 »

영사관

주재 대한민국 총영사관 영사관(領事館) 또는 총영사관(總領事館)은 영사가 주재국에서 직무를 보는 기관이.

새로운!!: 조영 통상 조약와 영사관 · 더보기 »

여권

여권(旅券) 또는 패스포트()는 해외 여행을 하는 사람을 위해 정부가 발행하는 공식 신분증명서이.

새로운!!: 조영 통상 조약와 여권 · 더보기 »

서울 양화나루와 잠두봉 유적

서울 양화나루와 잠두봉 유적(서울 楊花나루와 蠶頭峰 遺蹟)은 한강의 동북쪽 강변에 있는 사적 제399호로 지정된 양화나루와 잠두봉 일원을 말. 한강의 이 지역의 교량으로는 서북쪽에 길이가 약 1.2km인 양화대교, 동남쪽에 역시 약 1.2km 짜리 당산철교가 서로 약 400m 간격으로 놓여있.

새로운!!: 조영 통상 조약와 서울 양화나루와 잠두봉 유적 · 더보기 »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는 대한민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새로운!!: 조영 통상 조약와 서울특별시 · 더보기 »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는 지방유형문화재 중에서 서울특별시에 있는 문화재를 의미.

새로운!!: 조영 통상 조약와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 더보기 »

서상우

서상우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조영 통상 조약와 서상우 · 더보기 »

해리 파크스

리 스미스 파크스(Sir Harry Smith Parkes, CGMG, KCB, 1828년 2월 24일 – 1885년 3월 22일) 경은 영국의 대중국 외교관으로 애로호 사건을 크게 불려 제2차 아편전쟁을 일으킨 장본인이.

새로운!!: 조영 통상 조약와 해리 파크스 · 더보기 »

한국

국(韓國) 또는 조선(朝鮮)은 한민족의 나라를 말. 현대사에서 한국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

새로운!!: 조영 통상 조약와 한국 · 더보기 »

원산시

원산시(元山市)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강원도 동해안 영흥만에 있는 시이자 강원도 인민위원회의 소재지이.

새로운!!: 조영 통상 조약와 원산시 · 더보기 »

홍주

홍주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조영 통상 조약와 홍주 · 더보기 »

10월 27일

11월 2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00번째(윤년일 경우 30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조영 통상 조약와 10월 27일 · 더보기 »

11월 26일

11월 2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30번째(윤년일 경우 33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조영 통상 조약와 11월 26일 · 더보기 »

12월 26일

12월 2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60번째(윤년일 경우 36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조영 통상 조약와 12월 26일 · 더보기 »

1797년

1797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영 통상 조약와 1797년 · 더보기 »

1832년

1832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조영 통상 조약와 1832년 · 더보기 »

1876년

1876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조영 통상 조약와 1876년 · 더보기 »

1882년

1882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영 통상 조약와 1882년 · 더보기 »

1883년

1883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영 통상 조약와 1883년 · 더보기 »

1884년

1884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조영 통상 조약와 1884년 · 더보기 »

1885년

1885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영 통상 조약와 1885년 · 더보기 »

1945년

1945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영 통상 조약와 1945년 · 더보기 »

1998년

1998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영 통상 조약와 1998년 · 더보기 »

4월 21일

4월 2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11번째(윤년일 경우 11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조영 통상 조약와 4월 21일 · 더보기 »

4월 28일

4월 2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18번째(윤년일 경우 11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조영 통상 조약와 4월 28일 · 더보기 »

6월 6일

6월 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57번째(윤년일 경우 15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조영 통상 조약와 6월 6일 · 더보기 »

8월

8월(八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여덟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이 달부터 연말까지는 2의 배수가 오는 달마다 31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11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끝. 또한, 윤년인 경우 이 달과 그 해의 2월은 같은 요일로 시작되며, 다음 해도 평년인 경우 다음 해 5월과 같은 요일이.

새로운!!: 조영 통상 조약와 8월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조·영 통상 조약, 조영통상조약.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