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주교후

색인 주교후

1789년 신성로마제국의 주교후령. 주교후(主敎侯)는 중세 유럽의 작위로서, 천주교 주교이면서 동시에 세속 영지를 소유하고 그 영지에 대한 주권을 가진 자이.

19 처지: 동방 기독교, 로마 가톨릭교회, 로마 제국, 마인츠 대주교령, 부르주아지, 비잔티움 제국, 대주교, 트리어, 전제 정치, 주권, 주교,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 쾰른 선제후국, 수도원장후, 선거군주제, 선제후, 세속, 신성 로마 제국, 황제교황주의.

동방 기독교

동방 기독교(Eastern Christianity)는 동방 정교회(Eastern Orthodox Church), 오리엔트 정교회(Oriental Orthodox church), 아시리아 동방교회 (Assyrian of of the East), 동방 가톨릭교회 (Eastern Catholic churches, 동방 예배의식을 유지한채 로마 가톨릭교회와 교류하는)등 4 개 주요 교회로 구성.

새로운!!: 주교후와 동방 기독교 · 더보기 »

로마 가톨릭교회

마 가톨릭교회(), 천주교(天主敎) 또는 가톨릭교회()는 전 세계적으로 약 12억 명의 신자를 가진 세계 최대 규모의 기독교 교파이.

새로운!!: 주교후와 로마 가톨릭교회 · 더보기 »

로마 제국

마 제국은 아우구스투스가 황제 지배 체제 혹은 원수정(principatus)을 사실상 시작한 기원전 27년부터 몰락까지의 로마를 일컫.

새로운!!: 주교후와 로마 제국 · 더보기 »

마인츠 대주교령

마인츠 선제후국(Kurfürstentum Mainz, Electoratus Moguntinus) 또는 마인츠 대주교령 780년-782년 그리고 1802년까지 신성로마제국에서 영향력 있는 성직자이자 영주였.

새로운!!: 주교후와 마인츠 대주교령 · 더보기 »

부르주아지

부르주아지()는 원래 중산층이란 뜻이었으나 마르크스주의 이후 현대에는 자본가 계급을 뜻. 형용사형은 부르주아()이.

새로운!!: 주교후와 부르주아지 · 더보기 »

비잔티움 제국

마 제국 또는 동로마 제국, 중세 로마 제국, 비잔티움 제국, 비잔틴 제국()은 중세 시대에 콘스탄티노폴리스 천도 이후의 로마 제국을 일컫는 명칭으로, 수도는 콘스탄티노폴리스(현재의 이스탄불)였고 로마 황제가 다스.

새로운!!: 주교후와 비잔티움 제국 · 더보기 »

대주교

른 대주교 페르디난트 아우구스트 폰 슈피겔. 대주교(大主敎,,, 또는)는 기독교에서 대교구라고 불리는 교구를 관리하는 직위에 있는 고위 성직자이.

새로운!!: 주교후와 대주교 · 더보기 »

트리어

리어의 위치 트리어(독일어: Trier, 프랑스어: Trèves, 에스파냐어: Treveris, 이탈리아어: Treviri)는 과거 갈리아 제국의 수도였으며 고대로마시대부터 현재까지 2000년이 넘는 도시역사를 간직한 독일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이.

새로운!!: 주교후와 트리어 · 더보기 »

전제 정치

전제 정치(專制政治)는 군주·귀족·독재자·계급 정당의 어느 것이나를 불문하고, 지배자가 국가의 모든 권력을 장악하여 아무런 제한이나 구속없이 마음대로 그 권력을 운용하는 정치 체제를 말. 민주 정치·입헌 정치·공화 정치의 반대 개념이.

새로운!!: 주교후와 전제 정치 · 더보기 »

주권

주권(主權)의 개념에 대해서는 정치학자들마다 다양한 정의가 존재.

새로운!!: 주교후와 주권 · 더보기 »

주교

카를로 세레사. 주교(主敎)는 교구나 관구의 사목 책임을 지고 감독하는 기독교의 성직자를 말. 사교(司敎)라고도 하며, 영어로는 Bishop, Right Rev..

새로운!!: 주교후와 주교 · 더보기 »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

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의 휘장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世界總大主敎)는 새 로마 콘스탄티노폴리스의 관구 대주교로 동방 정교회의 주교들 가운데 동등한 가운데 첫 번째(primus inter pares) 주교이.

새로운!!: 주교후와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 · 더보기 »

쾰른 선제후국

른 선제후국(Kurfürstentum Köln)은 신성 로마 제국의 중요 선제후 국가였고 10세기에서 19세기 존재했었.

새로운!!: 주교후와 쾰른 선제후국 · 더보기 »

수도원장후

바잉가르텐 수도원장 세바스티안 힐러(1697년 - 1730년). 1555년부터 바잉가르텐 수도원장이 제국의회에서 슈바벤 지역의 수도원장들을 대표해 집합적인 1표를 행사했다. 수도원장후()는 어떤 봉건영지, 특히 신성로마제국의 봉건영지의 직무상 영주로 기능한 성직자에게 부여된 칭호이.

새로운!!: 주교후와 수도원장후 · 더보기 »

선거군주제

선거군주제(選擧君主制)은 군주를 선거에 따라 선출하는 제도이.

새로운!!: 주교후와 선거군주제 · 더보기 »

선제후

선제후 회의 삽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쾰른 대주교, 마인츠 대주교, 트리어 대주교, 라인 궁중백, 작센 공, 브란덴부르크 변경백 그리고 보헤미아 국왕) 선제후(選帝侯)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를 선정하는 역할을 하였던 신성로마제국의 선거인단이.

새로운!!: 주교후와 선제후 · 더보기 »

세속

세속(勢速)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주교후와 세속 · 더보기 »

신성 로마 제국

신성 로마 제국()은 중세에서 근대 초까지 이어진 기독교 성향이 강한 유럽 국가들의 정치적 연방체이.

새로운!!: 주교후와 신성 로마 제국 · 더보기 »

황제교황주의

6세기 이탈리아에서 발견된 유스틴 황제 2세(Justin II, Emperor: 565-574) 시대의 황금 십자가, 구멍이 나 있다 황제교황주의(皇帝敎皇主義, caesaropapism)는 세속의 황제(국가원수)가 기독교의 수장보다 더 높은 권위를 가지는 것으로서 교회에 영향을 미치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서 근대에 들어서면서 만들어진 용어이.

새로운!!: 주교후와 황제교황주의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주교공, 주교령, 주교후령, 영주 주교.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