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지눌

색인 지눌

(知訥, 1158년~1210년 4월 22일(음력 3월 27일))은 고려의 승려이.

68 처지: 돈오돈수, 도굴산문, 도의, 백암, 개성특급시, 간화선, 번뇌, 고려, 고려 명종, 고려 희종, 보우 (고려), 본성, 불교 용어 목록/ㅎ, 부처, 금강반야바라밀경,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김군수, 대구 동화사 보조국사 지눌 진영, 대장경, 대한불교조계종, 교종, 구경각, 국자감 (고려), 담양군, 승과, 음력 3월 27일, 의천, , 정혜결사문, 정혜쌍수, 조계종, 조계산, 조선 숙종, 중생, 지리산, 창평군, 초발심자경문, 육조단경, 팔공산, 순천 송광사 보조국사 감로탑, 순천 송광사 보조국사비, 혜능, 혜심, 예천군, 선 (불교), 성철, 서흥군, 송광사, 한국의 불교 사상, 학가산, ..., 원돈성불론, 황해도, 화엄경, 화엄종, 1158년, 1182년, 1185년, 1188년, 1190년, 1197년, 1200년, 1204년, 1210년, 1301년, 1382년, 1678년, 4월 22일, 821년.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8 더) »

돈오돈수

오돈수(頓悟頓修, Subitism)는 한국불교에서, 찰나에 깨달아 부처가 되어, 더는 수행할 것이 없다는 이론이.

새로운!!: 지눌와 돈오돈수 · 더보기 »

도굴산문

산문, 도굴산파, 사굴산문(闍崛山門) 또는 사굴산파(闍崛山派)는 신라 말기와 고려 초기에 성립된 선종 구산의 하나이.

새로운!!: 지눌와 도굴산문 · 더보기 »

도의

승려 도의 도의(道義: fl. 821)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승려이.

새로운!!: 지눌와 도의 · 더보기 »

백암

백암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지눌와 백암 · 더보기 »

개성특급시

성특급시(開城特級市)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북도의 남부에 있는 도시이.

새로운!!: 지눌와 개성특급시 · 더보기 »

간화선

화선(看話禪)의 '간(看)'이란 잘 살펴 본다는 의미이며, '화(話)'란 화두(話頭)를 말. 즉, 화두를 살펴 깨달음을 얻는 하나의 방편이.

새로운!!: 지눌와 간화선 · 더보기 »

번뇌

번뇌(煩惱,, ,)는 그 본질적 성질이 부적정(不寂靜: 고요하지 않음)인 마음작용들을 말. 번뇌의 본질적인 작용은 번뇌가 일어나게 되면, 그 번뇌를 대치(對治)하지 않는 한, 그 자체의 본질적인 성질에 근거하여 그 번뇌가 일으키는 부적정한 영향력 즉 부적정한 업이 몸과 마음에 상속되어 전전(展轉)하게 하는 것이.

새로운!!: 지눌와 번뇌 · 더보기 »

고려

(高麗, 918년~1392년)는 918년 태봉의 궁예를 축출하고 왕건이 즉위한 이후, 이성계에 의해 멸망하기까지 한반도 대부분을 지배하였던 국가이.

새로운!!: 지눌와 고려 · 더보기 »

고려 명종

명종(明宗, 1131년 11월 8일 (음력 10월 17일) ~ 1202년 12월 3일 (음력 11월 17일)은 고려 제19대 국왕(재위: 1170년 ~ 1197년)이다. 휘는 호(晧), 자는 지단(之旦), 묘호는 명종, 시호는 황명광효대왕(皇明光孝大王)이다. 인종과 공예태후 임씨(任氏)의 셋째 아들이며 의종의 동생이다.

새로운!!: 지눌와 고려 명종 · 더보기 »

고려 희종

희종(熙宗, 1181년 6월 21일 (음력 5월 8일) ~ 1237년 8월 31일 (음력 8월 10일)은 고려 제21대 국왕(재위: 1204년 ~ 1211년)이다. 휘는 영(韺), 자는 불피(不陂), 묘호는 희종(熙宗), 본래 묘호는 정종(貞宗)이며 시호는 인목성효대왕(仁穆成孝大王)이다. 신종과 선정왕후의 맏아들이다. 1204년부터 1211년까지 재위하는 동안 최충헌(崔忠獻)이 실권을 맡았다.

새로운!!: 지눌와 고려 희종 · 더보기 »

보우 (고려)

보우(普愚: 1301년 10월 23일(음력 9월 21일)~1383년 1월 27일(음력 1382년 12월 24일))는 고려 말 고승으로 불교 개혁에 힘쓴 승려이.

새로운!!: 지눌와 보우 (고려) · 더보기 »

본성

본성(本性)은 개별 존재가 본래 갖추고 있는 성품 또는 성질을 말. 본성을 줄여서 간단히 성(性)이라고도 하고 다른 말로는 성품(性品)이.

새로운!!: 지눌와 본성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ㅎ

1.

새로운!!: 지눌와 불교 용어 목록/ㅎ · 더보기 »

부처

삼매에 든 고타마 붓다 (석굴암) 부처 또는 여래(如來), 세존(世尊), 붓다()는 인도 불교에서 "깨달은 자", "눈을 뜬 자"라는 뜻이.

새로운!!: 지눌와 부처 · 더보기 »

금강반야바라밀경

강반야바라밀경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蜜經)은 한국의 대표 불교 종단인 조계종의 소의 경전이.

새로운!!: 지눌와 금강반야바라밀경 · 더보기 »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世界大百科事典)은 2004년 도서출판 범한에서 출판한 백과사전으로, 다음(지금의 카카오)이 라이선스를 사들여 2008년 11월 한국어 위키백과에 기증.

새로운!!: 지눌와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 더보기 »

김군수

수(金君綏)는 고려 시대의 문신으로 김부식의 손자이.

새로운!!: 지눌와 김군수 · 더보기 »

대구 동화사 보조국사 지눌 진영

동화사 보조국사 지눌 진영(大邱 桐華寺 普照國師 知訥 眞影)은 대구광역시 동구, 동화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초상화이.

새로운!!: 지눌와 대구 동화사 보조국사 지눌 진영 · 더보기 »

대장경

대한민국 해인사에 보관중인 팔만대장경 대장경(大藏經)은 불경을 집대성한 경전을 말. 부처가 사용한 언어는 동부 인도의 속어(俗語)인 고대 마가다어라고 하는데 이 언어에 관한 한 문헌은 오늘날 전혀 존재하지 않으며 그것이 서북 인도의 속어인 팔리어로 옮겨져 스리랑카로부터 동남아시아로 전해지게 되었.

새로운!!: 지눌와 대장경 · 더보기 »

대한불교조계종

불교조계종(大韓佛敎曹溪宗)은 대한민국 불교 최대 종단(종파)이.

새로운!!: 지눌와 대한불교조계종 · 더보기 »

교종

종(敎宗)이란 부처의 교설 및 그것을 문자로 나타낸 경전을 바탕으로 하는 종지(宗旨)를 뜻하며, 불어종(佛語宗)이라고도 하고, 부처의 일심(一心)을 전하는 불심종(佛心宗)으로서의 선종(禪宗)의 입장에서 불교를 판별(判別)하여 교선2종(敎禪二宗)으로 나눈 데에서 비롯.

새로운!!: 지눌와 교종 · 더보기 »

구경각

삼매에 든 고타마 붓다 (석굴암) 구경각(究竟覺, ultimate enlightenment, final enlightenment, supreme enlightenment)은 불교의 수행이 완성되어 증득(證得)하게 된 완전한 깨달음을 가리키는데 곧 부처의 상태를 이룬 것이나 부처가 되는 자리를 뜻. 구경각을 가리키는 다른 낱말로는 다음의 것들이 있.

새로운!!: 지눌와 구경각 · 더보기 »

국자감 (고려)

국자감(國子監)은 992년(고려 성종 11)에 설립된 고려 시대 국립 고등 교육 기관으로 수도 개경에 위치하였.

새로운!!: 지눌와 국자감 (고려) · 더보기 »

담양군

양군(潭陽郡)은 대한민국 전라남도의 중북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지눌와 담양군 · 더보기 »

승과

승과(僧科) 또는 승과제도(僧科制度)는 고려 때 승려를 대상으로 한 과거제이.

새로운!!: 지눌와 승과 · 더보기 »

음력 3월 27일

음력 3월 27일은 음력 3월의 27번째 날이.

새로운!!: 지눌와 음력 3월 27일 · 더보기 »

의천

상화 의천(義天: 1055년 10월 30일(음력 9월 28일) ~ 1101년 10월 28일(음력 10월 5일))은 고려시대의 왕족 출신 승려, 작가이.

새로운!!: 지눌와 의천 · 더보기 »

정은 다음을 일컫는 말이.

새로운!!: 지눌와 정 · 더보기 »

정혜결사문

《정혜결사문(定慧結社文)》은 고려의 승려 보조국사 지눌(知訥: 1158-1210)이 송광사(松廣寺)에서 수선사(修禪社)를 결성할 때 그 취지를 적은 글이.

새로운!!: 지눌와 정혜결사문 · 더보기 »

정혜쌍수

정혜쌍수(定慧雙修)는 고려의 승려인 지눌(知訥: 1158-1210)이 제창한 사상으로, 의천의 교관겸수(敎觀兼修) 사상이 교종으로써 선종을 융섭하고자 한 것이라면 정혜쌍수 사상은 선종으로써 교종을 융섭한 것이.

새로운!!: 지눌와 정혜쌍수 · 더보기 »

조계종

조계종(曹溪宗)은 한국 불교의 한 종파이.

새로운!!: 지눌와 조계종 · 더보기 »

조계산

조계산(曹溪山)은 전라남도 순천시에 있는 높이 884m의 산이.

새로운!!: 지눌와 조계산 · 더보기 »

조선 숙종

숙종(肅宗, 1661년 10월 7일(음력 8월 15일) ~ 1720년 7월 12일(음력 6월 8일))은 조선의 제19대 왕이.

새로운!!: 지눌와 조선 숙종 · 더보기 »

중생

중생(衆生)은 산스크리트어 사트바(sattva)의 번역어로 유정(有情)이.

새로운!!: 지눌와 중생 · 더보기 »

지리산

리산(智異山)은 대한민국의 경상남도 함양군, 산청군, 하동군과 전라북도 남원시, 전라남도 구례군에 걸쳐 있는 산이.

새로운!!: 지눌와 지리산 · 더보기 »

창평군

창평군(昌平郡)은 지금의 전라남도 담양군 창평면을 중심으로 1914년까지 있었던 군(郡)이.

새로운!!: 지눌와 창평군 · 더보기 »

초발심자경문

《초발심자경문》(初發心自警文)은 불교 입문서로 세 가지 글로 이루어진 책이.

새로운!!: 지눌와 초발심자경문 · 더보기 »

육조단경

육조단경은 육조혜능의 설법을 제자인 하택신회(荷澤神會: 685~760)가 책으로 편찬한 것이.

새로운!!: 지눌와 육조단경 · 더보기 »

팔공산

공산(八公山)은 대구광역시 동구와 경상북도 영천시, 군위군, 칠곡군, 경산시에 걸쳐 있는 산이.

새로운!!: 지눌와 팔공산 · 더보기 »

순천 송광사 보조국사 감로탑

순천 송광사 보조국사 감로탑(順天 松廣寺 普照國師 甘露塔)은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신평리, 송광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승탑이.

새로운!!: 지눌와 순천 송광사 보조국사 감로탑 · 더보기 »

순천 송광사 보조국사비

순천 송광사 보조국사비(順天 松廣寺 普照國師碑)는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 절내에 자리하고 있는 비석이.

새로운!!: 지눌와 순천 송광사 보조국사비 · 더보기 »

혜능

혜능(慧能: 638~713)은 당나라(618~907) 시대의 선승이며 선종(禪宗)의 제6조이자 남종선(南宗禪)의 시조이.

새로운!!: 지눌와 혜능 · 더보기 »

혜심

혜심(慧諶: 1178년~1234년 7월 23일(음력 6월 26일))은 고려의 승려이.

새로운!!: 지눌와 혜심 · 더보기 »

예천군

예천군(醴泉郡)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서북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지눌와 예천군 · 더보기 »

선 (불교)

선정(禪定)에 든 고타마 붓다 (석굴암) 선(禪)이란, 중국 대륙에서 5세기에 발전하기 시작한 대승불교의 한 조류이.

새로운!!: 지눌와 선 (불교) · 더보기 »

성철

성철(性徹, 1912년 음력 2월 19일(양력 4월 6일)~1993년 11월 4일)은 대한민국의 승려이.

새로운!!: 지눌와 성철 · 더보기 »

서흥군

범안리양어장 서흥군(瑞興郡)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황해북도 중부에 위치한 군이.

새로운!!: 지눌와 서흥군 · 더보기 »

송광사

송광사(松廣寺)는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신평리 조계산 북쪽 기슭에 자리잡은 사찰로 대한불교 조계종 제21교구 본사이.

새로운!!: 지눌와 송광사 · 더보기 »

한국의 불교 사상

본 문서 한국의 불교 사상은, 한국에 전래된 불교에서 전개된 사상을 설명.

새로운!!: 지눌와 한국의 불교 사상 · 더보기 »

학가산

학가산은 경상북도 예천군 보문면, 안동시 북후면, 서후면의 경계에 위치해 있는 산이.

새로운!!: 지눌와 학가산 · 더보기 »

원돈성불론

《원돈성불론(圓頓成佛論)》은 고려의 승려 보조국사 지눌(知訥: 1158-1210)의 저서로 화엄 사상의 대의를 밝힌 책이.

새로운!!: 지눌와 원돈성불론 · 더보기 »

황해도

조선후기 황해도 황해도(黃海道)는 1417년부터 1954년까지 존속한 한반도의 중서부에 있는 도(道)로, 1954년 이후로는 황해남도와 황해북도로 분리되었.

새로운!!: 지눌와 황해도 · 더보기 »

화엄경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 줄여서 《화엄경(華嚴經)》() 또는 《잡화경(雜華經)》()은 초기 대승불교의 가장 중요한 경전 중 하나로,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성전 > 6001 > 화엄경,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화엄경: 華嚴經 원명은 부다아바탐사카 나마 마하바이풀랴 수트라(Buddha­avatamsaka­nama­mahavaipulya­sutra)이고 자세하게 말해서 이라 부른.

새로운!!: 지눌와 화엄경 · 더보기 »

화엄종

화엄종(華嚴宗)은 《화엄경(華嚴經)》을 소의 경전으로 하는 불교 종파이.

새로운!!: 지눌와 화엄종 · 더보기 »

115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지눌와 1158년 · 더보기 »

118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지눌와 1182년 · 더보기 »

118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지눌와 1185년 · 더보기 »

118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지눌와 1188년 · 더보기 »

119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지눌와 1190년 · 더보기 »

119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지눌와 1197년 · 더보기 »

120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지눌와 1200년 · 더보기 »

120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지눌와 1204년 · 더보기 »

121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지눌와 1210년 · 더보기 »

130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지눌와 1301년 · 더보기 »

138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지눌와 1382년 · 더보기 »

1678년

1678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지눌와 1678년 · 더보기 »

4월 22일

4월 2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12번째(윤년일 경우 11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지눌와 4월 22일 · 더보기 »

82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지눌와 821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보조국사, 보조국사 지눌, 보조지눌, 불일보조, 불일보조국사, 지눌국사.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