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성골과 진골

색인 성골과 진골

성골과 진골(聖骨—眞骨)은 신라시대의 신분제인 골품 제도(骨品制度)의 등급으로, 신라 사회의 최고 신분층이.

37 처지: 만명부인, 가야, 경주 김씨, 법흥왕, 고구려, 골품 제도, 보덕왕, 귀천상혼, 금관가야, 김용춘, 김용수, 김흠순, 김지정의 난, 김유신, 김서현, 김해 김씨, 두품, 요석공주, 이벌찬, 진덕여왕, 진평왕, 진흥왕, 진지왕, 지소태후, 천명공주, 태종무열왕, 혁거세 거서간, 혜공왕, 사도왕후, 삼국유사, 선덕여왕, 설총, 신라, 신라의 관등, 원효, 웅진, 화랑세기.

만명부인

만명부인(萬明夫人, 574년 ~ ?) 혹은 만명공주(萬明公主)는 신라의 명장 김유신의 어머니이.

새로운!!: 성골과 진골와 만명부인 · 더보기 »

가야

야(伽倻, 加耶, 伽耶)는 낙동강 하류 지역에 존재했던 한국의 고대 국가이.

새로운!!: 성골과 진골와 가야 · 더보기 »

경주 김씨

경주 김씨(慶州 金氏)는 경상북도 경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성골과 진골와 경주 김씨 · 더보기 »

법흥왕

법흥왕(法興王, ? ~ 540년 7월, 재위: 514년 ~ 540년)은 신라의 제23대 임금이.

새로운!!: 성골과 진골와 법흥왕 · 더보기 »

고구려

(高句麗, 기원전 37년 ~ 668년)는 한국의 고대 국가 중 하나로, 백제 및 신라와 함께 삼국 시대를 구성한 주요 국가이.

새로운!!: 성골과 진골와 고구려 · 더보기 »

골품 제도

제도(骨品制度)는 신라 사회의 신분제이.

새로운!!: 성골과 진골와 골품 제도 · 더보기 »

보덕왕

보덕왕(報德王) 또는 보덕국왕(報德國王) 고안승(高安勝, ? ~ 683년 이후, 재위: 670년 ~ 683년) 또는 고안순(高安舜)은 고구려의 유민으로 고구려 부흥운동 지도자이.

새로운!!: 성골과 진골와 보덕왕 · 더보기 »

귀천상혼

상혼(貴賤相婚, morganatic marriage)은 귀족제에서, 가문의 격이 다른 사람끼리의 결혼을 말. 귀족과 평민간의 결혼 뿐 아니라, 왕족과 비왕족 귀족 간의 결혼도 귀천상혼에 해당.

새로운!!: 성골과 진골와 귀천상혼 · 더보기 »

금관가야

야(金官伽倻), 본가야(本伽倻)는 42년부터 532년까지 존재했던 나라로, 신라에게 멸망하기 전 국명은 가락국(駕洛國)이었.

새로운!!: 성골과 진골와 금관가야 · 더보기 »

김용춘

용춘(金龍春, 578년 ~ 647년) 또는 김용수(金龍樹, 575년 ~ 632년)는 신라의 추촌왕으로, 진지왕의 아들이자, 태종무열왕 김춘추의 아버지이.

새로운!!: 성골과 진골와 김용춘 · 더보기 »

김용수

용수는 다음 사람을 가리.

새로운!!: 성골과 진골와 김용수 · 더보기 »

김흠순

흠순(金欽殉, 598년 ~ 680년)은 가야의 왕족 출신으로 신라의 군인 겸 정치가이자 외척이었.

새로운!!: 성골과 진골와 김흠순 · 더보기 »

김지정의 난

정의 난(金志貞-亂)은 선덕왕 1년(780년) 신라의 왕족 김지정(? ~ 780)이 일으킨 반란으로서, 신라 후기에 연달아 일어난 왕위쟁탈을 위한 골육상쟁의 하나이.

새로운!!: 성골과 진골와 김지정의 난 · 더보기 »

김유신

유신(金庾信, 595년 ~ 673년 8월 18일 (음력 7월 1일))은 신라의 군인 겸 정치가이자, 외척이었.

새로운!!: 성골과 진골와 김유신 · 더보기 »

김서현

서현(金舒玄, 564년 ~ ?)은 가야의 왕족이자, 신라의 군인이.

새로운!!: 성골과 진골와 김서현 · 더보기 »

김해 김씨

씨(金海 金氏)는 경상남도 김해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성골과 진골와 김해 김씨 · 더보기 »

두품

(頭品)은 신라의 골품제의 하나로, 일종의 신분제도이.

새로운!!: 성골과 진골와 두품 · 더보기 »

요석공주

요석공주(瑤石公主)는 태종무열왕(太宗武烈王)과 보희부인(寶姬夫人)의 딸로 김흠운(金歆運)과 원효(元曉)의 아내이자 설총(薛聰)의 어머니이.

새로운!!: 성골과 진골와 요석공주 · 더보기 »

이벌찬

이벌찬(伊伐湌)은 신라의 17관등(官等)의 제1등으로 이찬의 위이.

새로운!!: 성골과 진골와 이벌찬 · 더보기 »

진덕여왕

경주 진덕여왕릉 (사적 24호)진덕여왕(眞德女王, ? ~ 654년, 재위: 647년 ~ 654년) 또는 진덕왕(眞德王) 은 신라 제28대 왕이며 두번째 여왕이.

새로운!!: 성골과 진골와 진덕여왕 · 더보기 »

진평왕

평왕(眞平王, ? ~ 632년, 재위 579년 ~ 632년)은 신라의 제26대 왕이.

새로운!!: 성골과 진골와 진평왕 · 더보기 »

진흥왕

흥왕(眞興王, 526년~576년, 재위: 540년~576년)은 신라의 제24대 임금이.

새로운!!: 성골과 진골와 진흥왕 · 더보기 »

진지왕

왕(眞智王, ? ~ 579년 8월 24일 (음력 7월 17일), 재위: 576년~579년)은 신라의 제25대 임금이.

새로운!!: 성골과 진골와 진지왕 · 더보기 »

지소태후

소태후(只召太后, ? ~ 574년이후)는 신라 제24대 왕 진흥왕의 모후로, 법흥왕과 보도왕후 김씨의 딸이자, 입종 갈문왕의 부인이.

새로운!!: 성골과 진골와 지소태후 · 더보기 »

천명공주

명공주(天明公主)는 신라 상대(上代)시기의 왕족이.

새로운!!: 성골과 진골와 천명공주 · 더보기 »

태종무열왕

종무열왕(太宗武烈王, 603년~661년 음력 6월)은 신라(新羅)의 제29대 임금(재위: 654년~661년)이.

새로운!!: 성골과 진골와 태종무열왕 · 더보기 »

혁거세 거서간

혁거세 거서간(赫(爀)居世 居西干, 기원전 69년~기원후 4년, 재위: 기원전 57년~기원후 4년)은 신라의 초대 국왕이.

새로운!!: 성골과 진골와 혁거세 거서간 · 더보기 »

혜공왕

혜공왕(惠恭王, 758년 8월 31일(음력 7월 23일) ~ 780년, 재위: 765년 ~ 780년)은 신라의 제36대 국왕이.

새로운!!: 성골과 진골와 혜공왕 · 더보기 »

사도왕후

사도왕후 박씨(思道王后 朴氏, ? ~ 614년 2월)는 신라 진흥왕의 왕후로, 동륜태자와 진지왕의 어머니이.

새로운!!: 성골과 진골와 사도왕후 · 더보기 »

삼국유사

《삼국유사》(三國遺事)는 고려의 승려인 일연(一然)이 고려 충렬왕 7년(1281년) 에 인각사(麟角寺)에서 편찬한 삼국 시대의 역사서이.

새로운!!: 성골과 진골와 삼국유사 · 더보기 »

선덕여왕

선덕여왕(善德女王, ? ~ 647년 2월 17일(음력 1월 8일), 재위: 632년 ~ 647년) 또는 선덕왕(善德王) 은 신라의 제27대 왕이며 한국사 최초의 여왕이.

새로운!!: 성골과 진골와 선덕여왕 · 더보기 »

설총

설총(薛聰, 658년? ~ ?)은 신라 시대의 대표적인 학자이.

새로운!!: 성골과 진골와 설총 · 더보기 »

신라

신라(新羅, 기원전 57년 ~ 935년)는 고구려, 백제와 함께 고대 한반도의 삼국 시대를 구성하였던 국가로, 세계적으로 오래 존속한 왕조들 중 하나로 꼽힌.

새로운!!: 성골과 진골와 신라 · 더보기 »

신라의 관등

신라의 관직 제도는 법흥왕 때 완성된 경위(京位) 17 관등과 외위(外位) 11관등으로 구성되었는데, 지방인에게 주는 11위는 통일신라 이후인 674년(문무왕 14년)에 지방세력가들을 지배체제 속에 포섭하기 위해서 지방 출신에게도 일률적으로 경위를 주게 됨에 따라 자연히 폐지되었.

새로운!!: 성골과 진골와 신라의 관등 · 더보기 »

원효

원효(元曉, 617년 ~ 686년 4월 28일(음력 3월 30일), 경상북도 경산시)는 삼국시대와 신라의 고승이자 철학자, 작가, 시인, 정치가이.

새로운!!: 성골과 진골와 원효 · 더보기 »

웅진

웅진(熊津)은 곰나루, 고마나루 또는 고마나리로도 불리며 475년부터 538년까지 백제의 수도였.

새로운!!: 성골과 진골와 웅진 · 더보기 »

화랑세기

《화랑세기》(花郞世記)는 김대문에 의해 저술된 신라시대 화랑도의 우두머리인 풍월주의 역사를 기록한 책이.

새로운!!: 성골과 진골와 화랑세기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대원신통, 진골, 진골정통, 성골, 신라의 왕족.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