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채수

색인 채수

채수(蔡壽, 1449년 ~ 1515년)는 조선의 문신이.

27 처지: 갑자사화, 강성민 (배우), 관찰사, 금오신화, 김안로, 대사헌, 나재 채수 신도비, 폐비 윤씨, 인천 채씨, 인수대비 (드라마), 정국공신, 정희왕후, 조선, 조선 성종, 좌찬성, 중종반정, 참판, 충청도, 호조, 표연말, 설공찬전, 시호, 홍길동전, 왕과 비, 1449년, 1475년, 1515년.

갑자사화

갑자사화 (甲子士禍)는 1504년(연산군 10년) 연산군의 어머니 폐비 윤씨의 복위 문제로 인하여 일어난 사화이.

새로운!!: 채수와 갑자사화 · 더보기 »

강성민 (배우)

강성민(康星民, 1979년 7월 23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채수와 강성민 (배우) · 더보기 »

관찰사

사(觀察使)는, 중국 당대(唐代)에서 비롯하여 훗날 한국의 조선(朝鮮), 나아가 헤이안 시대(平安時代) 초기 일본에도 설치되었던 지방행정 감찰을 맡은 관직이.

새로운!!: 채수와 관찰사 · 더보기 »

금오신화

오신화(16세기 조선중기 문신 윤춘년이 필사한 필사본) 《금오신화(金鰲新話)》는 조선 전기의 시인, 작가, 이며 생육신의 한 사람인 김시습(金時習, 1435-1493)이 금오산에서 지은 것으로 추정되는 조선 최초의 한문 단편소설집이.

새로운!!: 채수와 금오신화 · 더보기 »

김안로

안로(金安老, 1481년 ~ 1537년 10월 27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 외척이.

새로운!!: 채수와 김안로 · 더보기 »

대사헌

사헌(大司憲)은 도헌(都憲) 또는 대헌(大憲)이.

새로운!!: 채수와 대사헌 · 더보기 »

나재 채수 신도비

재채수신도비(懶齋蔡壽神道碑)은 경상북도 상주시에 있는 조선시대의 신도비이.

새로운!!: 채수와 나재 채수 신도비 · 더보기 »

폐비 윤씨

비 윤씨(廢妃 尹氏, 1455년 7월 15일 (음력 윤 6월 1일)폐비 윤씨 태실의 태지에 기록된 내용이다. 현재 폐비 윤씨 태실 등은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소장 중이며, 관련 내용을 국립중앙박물관의 전시 자료 에서 일부 확인 가능하다. ~ 1482년 8월 29일 (음력 8월 16일))는 봉상시 판사(奉常寺 判事) 윤기견(尹起畎, 또는 윤기무, 尹起畝) 와 고령 신씨(申氏)의 딸로 조선의 제9대 임금 성종의 계비이자 둘째부인으로 투기와 남편인 성종의 용안에 상처를 내어 폐위되었.

새로운!!: 채수와 폐비 윤씨 · 더보기 »

인천 채씨

인천 채씨(仁川 蔡氏)는 인천광역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채수와 인천 채씨 · 더보기 »

인수대비 (드라마)

《인수대비》는 JTBC의 텔레비전 드라마로, 조선 문종 시대부터 연산군 시대까지의 인물인 소혜왕후의 삶을 다루었.

새로운!!: 채수와 인수대비 (드라마) · 더보기 »

정국공신

정국공신(靖國功臣)은 조선 중종 때인 1506년 중종 반정에 공을 세운 사람들에게 내린 작위이.

새로운!!: 채수와 정국공신 · 더보기 »

정희왕후

정희왕후 윤씨(貞熹王后 尹氏, 1418년 12월 8일 (음력 11월 11일) ~ 1483년 5월 6일 (음력 3월 30일))는 조선 세조의 왕비이.

새로운!!: 채수와 정희왕후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채수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성종

조선 성종(成宗, 1457년 8월 19일 (음력 7월 30일) ~ 1495년 1월 19일 (음력 1494년 12월 24일), 재위 1469년 ~ 1494년)은 조선의 제9대 왕이며 시인, 유학자이.

새로운!!: 채수와 조선 성종 · 더보기 »

좌찬성

좌찬성(左贊成)은 의정부 2찬성 가운데 하나로 종1품에 해당되는 조선조 의정부의 관직이었.

새로운!!: 채수와 좌찬성 · 더보기 »

중종반정

중종반정(中宗反正)은 1506년 9월 18일(음력 9월 2일) 연산군이 폐위되고 진성대군 이역(李懌)이 옹립된 사건을 말.

새로운!!: 채수와 중종반정 · 더보기 »

참판

(參判)은 조선의 종2품 당상관직으로 각 조의 수장인 판서를 보좌하는 역할을 하였.

새로운!!: 채수와 참판 · 더보기 »

충청도

조선후기 충청도 충청도(忠淸道)는 충청남도, 충청북도와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일대를 관할했던 행정구역으로 호서 지방(湖西地方)에 해당.

새로운!!: 채수와 충청도 · 더보기 »

호조

호조(戶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채수와 호조 · 더보기 »

표연말

연말(表沿沫, 1449년 ~ 1498년)은 조선의 문신이다. 본관은 신창(新昌). 자(字)는 소유(少游), 호(號)는 남계(藍溪). 아버지는 상주교수(尙州敎授) 표계(表繼)이다. 1469년(예종 1) 생원시와 진사시에 합격하고, 1472년(성종 3) 식년 문과에 급제하여 예문관 봉교(藝文館奉敎)를 거쳐 1484년 공조 좌랑(工曹佐郞)을 역임하였다. 과거시험에서 서거정(徐居正)의 문생이 된 인연으로 《필원잡기(筆苑雜記)》의 서문을 쓰기도 하였다. 1485년 장례원 사의(掌隷院司議)로서 《동국통감》 찬수에 참여하였다. 1486년(성종 17년) 중시 문과에 다시 급제한 뒤, 조봉대부(朝奉大夫) 수 사헌부 장령(守司憲府掌令)이 되었다. 1490년 이조참의, 대사성, 1492년 홍문관 응교(弘文館應敎), 대제학을 역임하고, 1493년 봉렬대부(奉列大夫)로 사간원 사간(司諫院司諫)이 되었다. 1494년(연산군 즉위년) 홍문관 직제학(弘文館直提學)을 역임하였다.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서 소릉(昭陵) 추복(追復)에 관한 사실을 사초(史草)에 적은 것과 김종직의 행장(行狀)을 미화(美化)해 썼다는 이유로 1498년(연산군 4년) 무오사화에 연루되어 경원(慶源)으로 유배가던 중 객사하였다. 1504년(연산군 10) 갑자사화 때 조위(曺偉), 정여창(鄭汝昌) 등과 함께 부관참시(剖棺斬屍)당하였다. 1507년(중종 2) 신원(伸寃)되어 함양의 남계서원(藍溪書院), 함창의 임호서원(臨湖書院)에 제향되었다. 1517년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새로운!!: 채수와 표연말 · 더보기 »

설공찬전

설공찬전(薛公瓚傳)은 1511년(조선 중종 5년) 무렵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채수(蔡壽)가 쾌재정에서 지은 고소설(古小說)로, 한문에서 한글로 번역된 최초의 국문번역본 소설이.

새로운!!: 채수와 설공찬전 · 더보기 »

시호

시호(諡號)는 죽은 인물에게 국가에서 내려주거나 죽은 군주에게 다음 군주가 올리는 특별한 이름으로, 동양의 군주제 국가에서 시행되었.

새로운!!: 채수와 시호 · 더보기 »

홍길동전

국립중앙도서관이 소장하고 있는 홍길동전 첫 쪽 국립한글박물관에 전시된 홍길동전 《홍길동전》(洪吉童傳)은 1612년 허균이 지은 것으로 알려진 한글 소설이.

새로운!!: 채수와 홍길동전 · 더보기 »

왕과 비

《왕과 비(王과 妃)》는 한국방송공사에서 방영한 드라마이.

새로운!!: 채수와 왕과 비 · 더보기 »

144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채수와 1449년 · 더보기 »

147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채수와 1475년 · 더보기 »

151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채수와 1515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채 수.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