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청자 음각연화문 유개매병

색인 청자 음각연화문 유개매병

청자 음각연화문 유개매병(靑磁 陰刻蓮花文 有蓋梅甁)은 음각으로 연꽃 무늬를 새겨넣은, 고려청자 뚜껑 있는 매병매병이란 병의 아가리가 좁고 몸의 어깨는 넓으며 아래로 갈수록 홀쭉해지는 병을 말. 이. 1990년 5월 21일 대한민국의 국보 제254호로 지정되었.

11 처지: 강진군, 고려, 고려청자, 부조, 대한민국의 국보, 서울특별시, 서초구, 1157년, 12세기, 1990년, 5월 21일.

강진군

강진군(康津郡)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서남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청자 음각연화문 유개매병와 강진군 · 더보기 »

고려

(高麗, 918년~1392년)는 918년 태봉의 궁예를 축출하고 왕건이 즉위한 이후, 이성계에 의해 멸망하기까지 한반도 대부분을 지배하였던 국가이.

새로운!!: 청자 음각연화문 유개매병와 고려 · 더보기 »

고려청자

청자칠보투각향로(국보95호) 고려청자(高麗靑磁)는 고려 문종(文宗) 전후에 송(宋)의 화남 절강성 월주요(華南浙江省越州窯)의 영향을 받고 일어난 것으로서 그 변천은 청자의 발생에서 쇠퇴까지 각 기간을 3기, 300년으로 구분하는 것이 가장 타당한 방법으로 알려지고 있. 그리고 이러한 시대 구분과 해당 기간 중의 청자의 특색과는 밀접한 연관을 갖. 초기의 청자는 매우 소박한 데서 출발하여 점차 기술이 숙련됨에 따라 예종(睿宗)·인종(仁宗) 때에 이르러 이른바 비색청자시대(翡色靑磁時代)를 이루며 고려청자의 진면목을 보이는 상감청자를 낳는데 이는 순전히 고려인의 창의력에 의한 것이.

새로운!!: 청자 음각연화문 유개매병와 고려청자 · 더보기 »

부조

이란 탕게 사바시에 있는 페르시아 제국 카자르 왕조 시대 반부조 부조(浮彫) 또는 돋을새김()은 평면 재료 위에 높낮이를 만들어 표현하는 조각 기법이.

새로운!!: 청자 음각연화문 유개매병와 부조 · 더보기 »

대한민국의 국보

숭례문(국보 제1호) 대한민국의 국보(大韓民國 國寶)는 대한민국에서, 건축물이나 유물 등의 유형 문화재 가운데에 중요한 가치를 가져 보물로 지정될 만한 문화재 가운데 인류문화적으로 가치가 크고 유례가 드문 것, 독특하고 희귀한 것 등으로 인정되어 따로 지정된 문화유산을 말. 국보와 보물을 나눈 기준은 특별히 엄격하지 않으며 다만 제작 연도가 오래되었고 그 시대의 표준이 될 수 있는 것이나 제작 기술이 특별히 우수한 것 등을 국보로 지정하였.

새로운!!: 청자 음각연화문 유개매병와 대한민국의 국보 · 더보기 »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는 대한민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새로운!!: 청자 음각연화문 유개매병와 서울특별시 · 더보기 »

서초구

서초구(瑞草區)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남부에 있는 구이.

새로운!!: 청자 음각연화문 유개매병와 서초구 · 더보기 »

115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청자 음각연화문 유개매병와 1157년 · 더보기 »

12세기

12세기는 1101년부터 1200년까지이.

새로운!!: 청자 음각연화문 유개매병와 12세기 · 더보기 »

1990년

1990년 10월 3일. 동독의 다섯 주가 서독으로 편입되면서 41년간 분단되었던 '''독일'''이 '''통일'''되었다. 1990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청자 음각연화문 유개매병와 1990년 · 더보기 »

5월 21일

5월 2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41번째(윤년일 경우 14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청자 음각연화문 유개매병와 5월 21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청자 음각 연화문 유개 매병, 청자 음각 연화문 유개매병, 청자음각연화절지문매병.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