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최동

색인 최동

동(崔棟, 일본식 이름: 山佳棟, 1896년 2월 16일 ~ 1973년 7월 30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의학자이.

71 처지: 도쿄, 도호쿠 대학, 동양지광, 만주, 문정창, 미 군정, 미국, 민족문제연구소,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개화당, 박창암, 박영효, 박사, 가톨릭, 법의학, 병리학, 계연수, 기생충학, 대동아공영권, 대한민국,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우생학, 장도빈, 이범석 (1900년), 이광수, 이용설, 이유립, 이영준 (1896년), 일본, 일제 강점기, 전라남도, 정인보, 조선, 조선임전보국단, 중국, 캐나다,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순천, 순천시 (전라남도), 영국, 최남선, 연세대학교, 연세대학교 의료원, 선거관리위원회, 서재필, 토론토 대학교, 해부학, 해주 최씨, 한민족, 한성부, ..., 안창호, 안호상, 신채호, 황인, 1896년, 1921년, 1929년, 1931년, 1936년, 1938년, 1941년, 1945년, 1948년, 1955년, 1966년, 1968년, 1973년, 2008년, 2월 16일, 3월, 7월 30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21 더) »

도쿄

신주쿠의 마천루들 도쿄()는 일본의 혼슈 동부에 있는, 메이지 시대 이후 사실상 일본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새로운!!: 최동와 도쿄 · 더보기 »

도호쿠 대학

호쿠 대학(東北大学, Tohoku University)은 일본 미야기현 센다이 시 아오바 구 가타히라 2쵸메 1-1에 본부를 두고있는 일본의 국립 대학이.

새로운!!: 최동와 도호쿠 대학 · 더보기 »

동양지광

《동양지광》(東洋之光)은 일제 강점기 말기에 발행된 월간지이.

새로운!!: 최동와 동양지광 · 더보기 »

만주

붉은색은 둥베이(랴오닝 성, 지린 성, 헤이룽장 성) 지방이고, 조금 연한 부분은 내몽골 자치구 동부 지역, 가장 연한 부분은 외만주이다. 만주()는 동북아시아 압록강 북쪽의 광활한 지역을 일컫.

새로운!!: 최동와 만주 · 더보기 »

문정창

문정창(文定昌, 일본식 이름: 文山定昌, 1899년, 부산 ~ 1980년)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며, 대한민국의 재야 역사학자이.

새로운!!: 최동와 문정창 · 더보기 »

미 군정

미 군정(美軍政, 米軍政)은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최동와 미 군정 · 더보기 »

미국

미합중국(美合衆國,, U.S.A.), 약칭 합중국(U.S.) 또는 미국(美國)은 주 50개와 특별구 1개로 이루어진 연방제 공화국이.

새로운!!: 최동와 미국 · 더보기 »

민족문제연구소

민족문제연구소(民族問題硏究所)는 재야운동가 임종국의 유지를 잇는다는 명분으로 설립된 단체로서, 1991년 2월 27일 '반민족문제연구소'로 시작하여 1995년 '민족문제연구소'로 개칭한 민간 단체이.

새로운!!: 최동와 민족문제연구소 · 더보기 »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이 문서는 민족문제연구소가 2009년 11월 8일에 편찬한 친일인명사전에 수록된 자들에 관한 명단을.

새로운!!: 최동와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 더보기 »

개화당

화당(開化黨)은 1874년(고종 11년) 경 김옥균(金玉均), 박영교(朴泳敎), 박영효(朴泳孝), 서광범(徐光範) 등이 중심이 되어 만들어졌.

새로운!!: 최동와 개화당 · 더보기 »

박창암

박창암(朴蒼巖, 1923년 5월 15일 ~ 2003년 11월 10일)은 만주군 간도특설대 하사관 출신의 대한민국 육군 군인·정치가·역사가·언론인·저술가이.

새로운!!: 최동와 박창암 · 더보기 »

박영효

박영효(朴泳孝, 1861년 ~ 1939년 양력 9월 21일)는 조선 말기의 문신, 정치인, 사상가로 급진개화파이.

새로운!!: 최동와 박영효 · 더보기 »

박사

박사(博士, Doctor)는 대학교나 학술전문연구기관에서 가장 높은 학위를 소지한자 또는 특정 분야(이를테면 철학박사)의 전문가를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최동와 박사 · 더보기 »

가톨릭

릭(Catholic)은 공통적, 보편적, 보편된, 공번적, 일반적, 널리 알려진 등의 뜻을 가진 단어로 코이네 그리스어 형용사 '카톨리코스'(καθολικός)에서 유래했으며 기독교에서 '교회'와 함께 주로 사용되어 왔. 영어로는 라틴어 어원에서 온 동일한 의미 단어인 'universal'로 번역.

새로운!!: 최동와 가톨릭 · 더보기 »

법의학

부검 도구들. 법의학 (法醫學)은 법과 관련된 의학적 문제를 연구하는 과이.

새로운!!: 최동와 법의학 · 더보기 »

병리학

병리학 (病理學, pathology, patho− + -logy)은 질병의 본질적 성질을 연구하는 의학의 한 분야로서, 특히 병을 일으킨 신체의 조직이나 기관의 기질적 변화 및 기능적 변화를 연구하는 학문이.

새로운!!: 최동와 병리학 · 더보기 »

계연수

연수(桂延壽, ? ~ 1920년)는 한국의 종교인이며 사학자로 알려져 있으나 실존 인물인지는 의심되고 있. 자는 인경(仁卿), 호는 운초(雲樵), 세거선천(世居宣川), 일시당(一始堂)이.

새로운!!: 최동와 계연수 · 더보기 »

기생충학

생충학(寄生蟲學)은 다른 생물에 기생하여 사는 기생물에 관한 연구를 하는 생물학의 한 분야이.

새로운!!: 최동와 기생충학 · 더보기 »

대동아공영권

1942년 일본제국의 최대판도 대동아공영권()은 쇼와 시대 일본 제국 정부와 일본군에 의해 고안, 점령지의 아시아인들에게 동아시아보다 더 큰 영역에서의 동북아시아, 동남아시아, 오세아니아의 문화적, 경제적 통합이라고 선전된 개념이.

새로운!!: 최동와 대동아공영권 · 더보기 »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최동와 대한민국 · 더보기 »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1948년 5월 10일에 실시된 남한 총선거의 벽보용 선거 홍보물. 낱장 칼라본. 전면에 태극기를 가로질러 건 독립문과 당시 군정청 건물로 선거하러 가는 인물들이 그려지고, 상단에 총선거 일시(5월 10일)가 표시됨. 중앙에 ‘총선거로 독립문이 열린다’, ‘중앙정부수립’, 좌우로 ‘기권은 국민의 수치’, ‘투표는 애국민의 의무’라는 표어가 인쇄됨.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또는 9.99 총선거는 1999년 9월 9일에 제헌 국회를 구성할 국회의원을 선출하기 위해 실시된 대한민국 최초의 민주적 선거이.

새로운!!: 최동와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 더보기 »

우생학

우생학 (優生學) 은 종의 개량을 목적으로 인간의 선발육종을 찬성하는 생각이.

새로운!!: 최동와 우생학 · 더보기 »

장도빈

장도빈(張道斌, 1888년 10월 22일 ~ 1963년 9월 12일)은 한민족의 독립운동가이자 국학자이.

새로운!!: 최동와 장도빈 · 더보기 »

이범석 (1900년)

이범석(李範奭, 1900년 10월 20일 ~ 1972년 5월 11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겸 군인이자 대한민국의 정치가 겸 저술가이.

새로운!!: 최동와 이범석 (1900년) · 더보기 »

이광수

이광수(李光洙), 1892년 3월 4일 평안북도 정주군 ~ 1950년 10월 25일)는 조선,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소설가, 언론인, 시인, 문학평론가, 작가, 반민족행위자이다. 본관은 전주이며, 조선 목조의 장남 안원대군의 후손이다. 사상가, 기자, 번역가, 자유주의 운동가이기도 했다. 일제 강점기에 한민족 독립 운동에 참여, 신한청년당, 상하이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참여하였고, 임정 사료편찬위원회 그리고 신한청년당의 독립운동지 신한청년(新韓靑年)에도 주필로서 참여하였다. 그는 아시아 근대 문학과 지성의 태동기에서 대한의 재생과 광복을 꿈꾸고 기획하였으며, 여성 해방과 자유 연애론을 주장하기도 했다. 언론인 활동으로 일제 강점기에서 동아일보 편집국장과 조선일보 부사장을 지냈고 또한 문학 번역가로도 활동하며 영미권의 작품을 한글로 번안하여 국내에 소개하기도 했다. 1909년 첫 작품 사랑인가를 발표한 이후 일본 유학 중에 소설과 시, 논설 등을 발표하였고, 귀국 후 오산학교에서 교편을 잡다가 망명, 1919년 도쿄(東京)의 조선인 유학생의 2·8 독립 선언을 주도했으며, 2·8 독립 선언서를 기초한 후 3·1 운동 전후 상하이로 건너가 상하이 임시정부에 참가하고 그후 독립운동지 신한청년 등에서 주필을 역임하였다. 또한 임시정부의 일원으로 활동하며 대한제국의 독립의 정당성과 의지를 세계에 알리는데 노력했다. 또한 임시정부에서 발간하는 기관지인 《독립신문사》 사장을 맡아 활동했다. 하지만 허영숙이 상하이로 찾아와 귀국을 종용하자 상하이에서 독립운동을 접고 1921년 3월 귀국하여 허영숙과 결혼하였다. 종학원에서 철학, 윤리, 심리, 종교 등을 강의했고 경성학교와 경신학교에서 영어를 가르쳤다. 잡지《개벽》에 《소년에게》를 발표하여 출판법위반으로 입건되었다가 석방되었으며 1922년 5월 개벽지(誌)에 《민족개조론》을 발표하여 우리민족이 쇠퇴한 것은 도덕적 타락 때문이라고 했다. 1923년 《동아일보》에 입사하여 편집국장을 지내고, 1933년 《조선일보》 부사장을 거치는 등 언론계에서 활약하면서 《재생(再生)》, 《마의태자(麻衣太子)》, 《단종애사(端宗哀史)》, 《흙》 등 많은 작품을 쓰는 등 독립운동을 계속해서 전개하였다. 1937년 수양동우회(修養同友會) 사건으로 투옥되었다가 반 년 만에 병보석되었는데, 이때부터 본격적인 친일 행위로 기울어져 1939년에는 친일어용단체인 조선문인협회(朝鮮文人協會) 회장이 되었으며 같은 달 20일 조선문인협회 회장으로 협회 주체 전선(戰線) 병사 위문대·위문문 보내기 행사를 주도하였다. 1940년 2월 15일자 『매일신보』에 「국민문학의 의의」를 게재하고 황민화운동을 지지하였으며, 2월 20일자 『매일신보』의 「창씨(創氏)와 나」에서는 자신의 이름을 향산광랑(香山光郞)으로 바꾼 이유를 밝히고, 일제의 창씨개명 정책을 지지하기도 하였다. 3월부터 7월까지 『녹기(綠旗)』에 「진정 마음이 만나서야말로」를 연재하였으며, 9월 직접 작사한 노래 「지원병 장행가(壯行歌)」가 경성중앙방송국 제2방송에서 방송되었다. 12월에는 『국민총력』에 지원병훈련소 참관기인 「지원병훈련소의 하루」를 발표하였고, 황도학회 발기인으로 참여하였다. 1941년 일본어 산문집 『동포에 부침』이 박문서관(博文書館)에서 간행되었다. 8월 임전대책협의회의 발기인으로 참여하였고, 1941년 9월 3∼5일자 『매일신보』에 「반도민중의 애국운동」을 게재해 일본의 대동아공영권(大東亞共榮圈)을 지지하였다. 12월 조선임전보국단 전시생활부장으로, 영미타도대강연회에서 ‘사상 함께 영미를 격멸하라’라는 주제로 강연을 하기도 하였다. 1942년 5월 조선임전보국단이 주최한 징병제도 연설회에서는 ‘획기적 대선물’이라는 제목으로 연설하였으며, 『신시대』 1942년 4월호 「징병과 여성」을 게재해 징병제 실시를 환영하는 입장을 보였다. 6월 조선문인협회 주최의 ‘일본 군인이 되는 마음가짐’을 듣는 좌담회, 11월 도쿄에서 열린 제1회 대동아문학자대회에 참가하였다. 1943년 4월 조선문인보국회 이사로 선출되었고, 11월 임시특별지원병제도 경성익찬회 종로위원회 실행위원과 연사로 활동하였다. 같은 달 최남선 등과 함께 일본 내 한국인 유학생들의 입대를 권유하는 ‘선배 격려대’에 참여하였다. 1944년 6월 조선문인보국회 평의원, 결전태세즉응(決戰態勢卽應) 재선(在鮮) 문학자 총궐기대회 의장을 맡았다. 8월 적국항복 문인대강연회에서 ‘전쟁과 문학’이란 제목으로 강연을하였으며, 11월 제3회 대동아문학자대회에 참석하였다. 1945년 2월 대화동맹 준비위원 겸 이사, 6월 조선언론보국회 명예회원과 대의당(大義黨) 위원이 되었다. 해방 이후로 백범일지의 교정, 윤문과 안창호의 일대기 집필을 직접 맡아 주관하기도 했다. 1949년 반민특위에 기소가 제기됐으나 석방되었고, 1950년 6월 한국 전쟁때는 서울에 있다가 북한 인민군에게 납북되었다. 그간 생사불명이다가 1950년 만포(滿浦)에서 병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순한글체 소설을 쓰는 등 소설 문학의 새로운 역사를 개척하기도 하였다. 소설가로는 구한 말과 일제 강점기 시대 동안 '만인의 연인'이라는 별명과 함께 청소년 남녀 문인들의 우상이었고, 최남선, 홍명희와 더불어 조선의 3대 천재로 대표되었던 인물이었다. 자는 보경(寶鏡), 호는 춘원(春園)·고주(孤舟)·외배·올보리·장백산인(長白山人)이며, 필명으로 춘원생, 경서학인(京西學人), 노아자닷뫼당백, Y생, 장백, 장백산인 등을 썼다.

새로운!!: 최동와 이광수 · 더보기 »

이용설

이용설(李容卨, 일본식 이름: 미야모토 조세쓰 宮本容卨, 1895년 10월 12일 평북 희천 ~ 1993년 3월 8일)은 대한민국의 내과 의사, 교육자이.

새로운!!: 최동와 이용설 · 더보기 »

이유립

이유립(李裕岦, 1907년~1986년 4월 18일)은 한국의 종교인으로 태백교라고 하는 소수종교의 교주이자, 민족운동가로 알려져 있. 하지만 일각에서는 친일 의혹이 제.이문영, 《만들어진 한국사》, 파란미디어, 2010 본관은 고성(固城), 자는 채영(采英)·중정(中正), 호는 한암당(寒闇堂)·정산초인(靜山樵人)·단하산인(檀下山人)·호상포객(湖上逋客)·단학동인(檀鶴洞人)이.

새로운!!: 최동와 이유립 · 더보기 »

이영준 (1896년)

이영준(李榮俊, 1896년 서울 ~ 1968년 8월 18일)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최동와 이영준 (1896년) · 더보기 »

일본

일본국(닛폰코쿠), 약칭 일본(日本,, 닛폰)은 동아시아에 있는 국. 국토는 태평양에 있는 일본 열도의 네 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홋카이도, 혼슈, 시코쿠, 규슈를 중심으로 주변에 산재한 작은 섬으로 구성되어 있. 총 면적은 37만 7835 km2인데 이는 노르웨이(스발바르 제도와 얀마옌을 포함한 경우)보다 작으며 독일보.

새로운!!: 최동와 일본 · 더보기 »

일제 강점기

일제강점기(1910년 8월 29일 ~ 1945년 8월 15일)는 한국의 역사에서 한국의 근현대사를 시대별로 나누었을 때 주요 시대 중 하나로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가 일본 제국의 식민 지배 아래 놓였던 시기이.

새로운!!: 최동와 일제 강점기 · 더보기 »

전라남도

전라남도(全羅南道)는 대한민국의 서남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최동와 전라남도 · 더보기 »

정인보

정인보(鄭寅普, 음력 1893년 5월 6일/양력 1893년 6월 19일 ~ 1950년 9월 7일)는 일제 강점기의 한학자·역사학자·작가이며, 대한민국의 언론인·정치인·작가이.

새로운!!: 최동와 정인보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최동와 조선 · 더보기 »

조선임전보국단

조선임전보국단(朝鮮臨戰保國團)은 일제 강점기 말기인 1941년 9월에 태평양 전쟁 지원을 위해 여러 단체들이 통합되어 조직된 연합 단체이.

새로운!!: 최동와 조선임전보국단 · 더보기 »

중국

중국()은 동아시아와 중앙아시아, 그리고 태평양 서부 연안의 도서 지방을 포괄하는 지명이.

새로운!!: 최동와 중국 · 더보기 »

캐나다

()는 북아메리카 북부의 연방 국가이.

새로운!!: 최동와 캐나다 · 더보기 »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UC 버클리 캠퍼스 풍경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UC 버클리)는 미국 캘리포니아 주 버클리에 위치한 세계적인 명문 대학교이며 미국을 대표하는 공립대학교이.

새로운!!: 최동와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 더보기 »

순천

순천은 다음 뜻으로 쓰인.

새로운!!: 최동와 순천 · 더보기 »

순천시 (전라남도)

순천시(順天市)는 대한민국 전라남도 동부에 있는 시로, 전라남도청 동부청사가 있. 1995년 승주군과 통합하여 도농복합시가 되었.

새로운!!: 최동와 순천시 (전라남도) · 더보기 »

영국

이트 브리튼 북아일랜드 연합왕국(-聯合王國), 약칭 브리튼() 또는 연합왕국(聯合王國,, UK) 혹은 영국(英國)은 유럽 북서부 해안의 브리튼 제도에 위치한 주권국이자 섬나라로, 북해, 영국 해협, 아일랜드 해 및 대서양에 접하여 있으며 그레이트 브리튼 섬의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 및 아일랜드 섬 북부의 북아일랜드로 네 개의 구성국으로 이루어져 있는 연합국가이.

새로운!!: 최동와 영국 · 더보기 »

최남선

선(崔南善, 1890년 4월 26일 ~ 1957년 10월 10일)은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된 친일 문학가이자 대한민국의 문화운동가이.

새로운!!: 최동와 최남선 · 더보기 »

연세대학교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Yonsei University)는 1885년에 설립된 대한민국의 개신교 계통 사립 종합 대학이.

새로운!!: 최동와 연세대학교 · 더보기 »

연세대학교 의료원

1928년의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 연세대학교 의료원(延世大學校 醫療院)은 1885년에 설립된 대한민국의 병원 단지로서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병원을 총칭.

새로운!!: 최동와 연세대학교 의료원 · 더보기 »

선거관리위원회

선거관리위원회(選擧管理委員會)는 선거와 국민투표의 공정한 관리, 정당 및 정치자금에 관한 사무를 처리하기 위하여 설치된 국가기관으로 국회ㆍ정부ㆍ법원ㆍ헌법재판소와 같은 지위를 갖는 독립된 합의제헌법기관이.

새로운!!: 최동와 선거관리위원회 · 더보기 »

서재필

서재필(徐載弼, 1864년 1월 7일 ~ 1951년 1월 5일, 미국 귀화명은 필립 제이슨(Philip Jaisohn))은 조선의 무신, 대한제국의 정치인, 언론인이자 미국 국적의 한국 독립운동가, 의사였.

새로운!!: 최동와 서재필 · 더보기 »

토론토 대학교

학교(University of Toronto, U of T)는 캐나다 온타리오 주 토론토에 있는 연구 중심 공립 대학이.

새로운!!: 최동와 토론토 대학교 · 더보기 »

해부학

렘브란트의 해부실험 해부학(解剖學)은 생명체의 구조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이.

새로운!!: 최동와 해부학 · 더보기 »

해주 최씨

주 최씨(海州 崔氏)는 황해도 해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최동와 해주 최씨 · 더보기 »

한민족

민족(韓民族)은 한반도와 그 주변의 만주, 연해주 등지에 살면서 공동 문화권을 형성하고 한국어를 사용하는 아시아계 민족이.

새로운!!: 최동와 한민족 · 더보기 »

한성부

경복궁 앞 근정문 근정전 어좌의 모습 한성(漢城)은 조선의 도읍지(수도)였.

새로운!!: 최동와 한성부 · 더보기 »

안창호

안창호(安昌浩, 1878년 11월 9일 ~ 1938년 3월 10일)는 대한제국의 교육개혁운동가 겸 애국계몽운동가이자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교육자, 정치가이.

새로운!!: 최동와 안창호 · 더보기 »

안호상

안호상(安浩相, 1902년 1월 23일 ~ 1999년 2월 21일)은 대한민국의 민족사학자, 철학자, 파시스트, 대종교인, 정치가이.

새로운!!: 최동와 안호상 · 더보기 »

신채호

신채호(申采浩, 1880년 12월 8일 ~ 1936년 2월 21일)는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사회주의적 아나키스트, 사학자이.

새로운!!: 최동와 신채호 · 더보기 »

황인

황인종 중 하나인 일본 여성들 황인(黃人)은 황색 또는 갈색의 피부색에 직상모를 가지고, 평평한 얼굴과 광대뼈의 신체적 특징을 지닌 인종으로 황인종(黃人種)이.

새로운!!: 최동와 황인 · 더보기 »

1896년

1896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최동와 1896년 · 더보기 »

1921년

1921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최동와 1921년 · 더보기 »

1929년

1929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최동와 1929년 · 더보기 »

1931년

1931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최동와 1931년 · 더보기 »

1936년

1936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최동와 1936년 · 더보기 »

1938년

1938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최동와 1938년 · 더보기 »

1941년

1941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최동와 1941년 · 더보기 »

1945년

1945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최동와 1945년 · 더보기 »

1948년

1948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최동와 1948년 · 더보기 »

1955년

1955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최동와 1955년 · 더보기 »

1966년

1966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최동와 1966년 · 더보기 »

1968년

1968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최동와 1968년 · 더보기 »

1973년

1973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최동와 1973년 · 더보기 »

2008년

2008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최동와 2008년 · 더보기 »

2월 16일

2월 1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47번째(윤년일 경우도 4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최동와 2월 16일 · 더보기 »

3월

3월(三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세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북반구에서는 3월이 되면서 날씨가 풀리기 때문에, 대체로 이 달을 봄의 시작으로 본. 남반구는 가을이.

새로운!!: 최동와 3월 · 더보기 »

7월 30일

7월 3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11번째(윤년일 경우 21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최동와 7월 30일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