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최 (성씨)

색인 최 (성씨)

외 최(崔)씨는 한국의 성씨이.

87 처지: 동주 최씨, 무신정권, 문성왕, 박 (성씨), 강릉 최씨, 강진군, 강화 최씨, 경기도, 경주 최씨, 고려, 고려 명종, 고려 충렬왕, 고려 충선왕, 고려 태조, 고려 원종, 고구려, 북위, 금마면 (익산시), 김 (성씨), 대동강, 대무신왕, 대한민국 통계청, 구재학당, 낭주 최씨, 낙랑, 당 무종, 당 소종, 당나라, 우봉 최씨, 평양직할시, 흥해 최씨, 이 (성씨), 이족, 의혜왕후, 익산시, 전라북도, 전라남도, 전주 최씨, 정 (성씨), 조위총의 난, 조선, 진성여왕, 철원 최씨, 청하 최씨, 충주 최씨, 탐진 최씨, 수나라, 수성 최씨, 수원 최씨, 영흥 최씨, ..., 영의정, 영암군, 옥저, 최리, 최립, 최만리, 최경회, 최규서, 최우, 최운해, 최흥원, 최의, 최지몽, 최충, 최충헌, 최치원, 최윤덕, 최윤의, 최사위, 최석, 최항 (1409년), 삭녕 최씨, 산둥성, 선비 (민족), 소벌도리, 통천 최씨, 해주 최씨, 해주시, 한국의 성씨, 한족, 신라, 후이족, 화순 최씨, 화순군, 화성시, 완산 최씨, 1302년.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37 더) »

동주 최씨

동주 최씨(東州 崔氏)는 강원도 철원군을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최 (성씨)와 동주 최씨 · 더보기 »

무신정권

무신정권(武臣政權)은 의종 24년(1170)부터 원종 11년(1270)까지 100년 동안 무신들에 의해 수립된 고려시대 정부를 말하며, 그 시기를 무인시대라 일컫.

새로운!!: 최 (성씨)와 무신정권 · 더보기 »

문성왕

문성왕(文聖王, ? ~ 857년, 재위:839년 ~ 857년)은 신라의 제46대 왕이.

새로운!!: 최 (성씨)와 문성왕 · 더보기 »

박 (성씨)

외 박(朴)씨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최 (성씨)와 박 (성씨) · 더보기 »

강릉 최씨

강릉 최씨(江陵 崔氏)는 강원도 강릉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최 (성씨)와 강릉 최씨 · 더보기 »

강진군

강진군(康津郡)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서남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최 (성씨)와 강진군 · 더보기 »

강화 최씨

강화 최씨(江華 崔氏)는 강화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최 (성씨)와 강화 최씨 · 더보기 »

경기도

경기도(京畿道)는 대한민국의 북서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최 (성씨)와 경기도 · 더보기 »

경주 최씨

경주 최씨(慶州 崔氏)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최 (성씨)와 경주 최씨 · 더보기 »

고려

(高麗, 918년~1392년)는 918년 태봉의 궁예를 축출하고 왕건이 즉위한 이후, 이성계에 의해 멸망하기까지 한반도 대부분을 지배하였던 국가이.

새로운!!: 최 (성씨)와 고려 · 더보기 »

고려 명종

명종(明宗, 1131년 11월 8일 (음력 10월 17일) ~ 1202년 12월 3일 (음력 11월 17일)은 고려 제19대 국왕(재위: 1170년 ~ 1197년)이다. 휘는 호(晧), 자는 지단(之旦), 묘호는 명종, 시호는 황명광효대왕(皇明光孝大王)이다. 인종과 공예태후 임씨(任氏)의 셋째 아들이며 의종의 동생이다.

새로운!!: 최 (성씨)와 고려 명종 · 더보기 »

고려 충렬왕

충렬왕(忠烈王, 1236년 4월 3일 (음력 2월 26일) ~ 1308년 7월 30일 (음력 7월 13일))은 고려 제25대 국왕(재위: 1274년 ~ 1298년, 복위:1299년 ~ 1308년)이.

새로운!!: 최 (성씨)와 고려 충렬왕 · 더보기 »

고려 충선왕

충선왕(忠宣王, 1275년 10월 20일 (음력 9월 30일) ~ 1325년 6월 23일 (음력 5월 13일)은 고려 제26대 국왕(재위: 1298년, 복위: 1308년~1313년)이다. 초휘는 원(願), 휘는 장(璋), 자는 중앙(仲昻), 원에서 내린 시호는 충선왕(忠宣王)이며, 공민왕이 올린 시호는 선효대왕(宣孝大王)이다. 몽골식 이름은 이지르부카()이며, 정비(正妃)는 계국대장공주이다. 고려에서 처음으로 즉위하였다가 폐위된 후 다시 복귀한 군주이기도 하다. 생애 후반에는 귀국을 기피하고 원나라에 체류하며 만권당을 세워 독서와 학문 연구, 서화 그리기 등에 전념하기도 했다.

새로운!!: 최 (성씨)와 고려 충선왕 · 더보기 »

고려 태조

조(高麗 太祖, 877년 1월 31일 (음력 1월 14일)《고려사절요》 제1권 태조 신성대왕〈고려사절요/제1권/태조 신성대왕〉"신라 헌강왕(憲康王) 3년 정유(877) 정월 14일 병술에 태조를 송악 남쪽 사제(私第)에서 낳으니" ~ 943년 7월 4일 (음력 5월 29일))는 후삼국 시대(後三國 時代) 후고구려(後高句麗)의 장군(將軍)이자 고려(高麗)의 초대 황제(재위:918년 7월 25일~943년 7월 4일)이.

새로운!!: 최 (성씨)와 고려 태조 · 더보기 »

고려 원종

원종(元宗, 1219년 4월 5일 (음력 3월 19일) ~ 1274년 7월 23일 (음력 6월 18일)은 고려 제24대 국왕(재위: 1259년~1274년)이다. 초명은 전(倎), 나중에 식(植)으로 개명하였고, 휘는 정(禎), 자는 일신(日新), 원나라에서 내린 시호는 충경왕(忠敬王)이며, 고려에서 올린 시호는 순효대왕(順孝大王)이다. 고종과 안혜태후(安惠太后) 유씨(柳氏)의 맏아들이다. 비는 김약선(金若先)의 딸인 정순왕후(靜順王后)인데, 이후 충렬왕이 순경태후(順敬太后)로 추존했다. 능은 소릉(韶陵)이다. 고려에서 마지막으로 묘호를 사용한 왕이며, 이후에는 원나라의 간섭으로 쓰지 못하였다. 그리고 왕의 시호 앞에 글자는 원나라에 대한 충성을 맹세하는 증거인 "충(忠)"자를 넣어야 했다. 그리고 이때 이후로 "짐"은 "고" 또는 "과인"으로, "폐하"는 "전하"로, "태자"는 "세자"로, "선지"는 "왕지"로 명칭이 격하되었을 뿐만 아니라, 각종 관직 용어들의 명칭들도 모두 격하되었다.

새로운!!: 최 (성씨)와 고려 원종 · 더보기 »

고구려

(高句麗, 기원전 37년 ~ 668년)는 한국의 고대 국가 중 하나로, 백제 및 신라와 함께 삼국 시대를 구성한 주요 국가이.

새로운!!: 최 (성씨)와 고구려 · 더보기 »

북위

북위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최 (성씨)와 북위 · 더보기 »

금마면 (익산시)

마면(金馬面)은 대한민국의 전라북도 익산시에 설치된 면이.

새로운!!: 최 (성씨)와 금마면 (익산시) · 더보기 »

김 (성씨)

외 김(金)씨는 성씨의 하나이.

새로운!!: 최 (성씨)와 김 (성씨) · 더보기 »

대동강

동강(大同江)은 한반도에서 다섯 번째로 큰 강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남도 대흥군의 랑림산맥의 한태령(1,356m)에서 발원하여 평양직할시·남포특별시·황해북도·황해남도를 지나 황해로 흐른.

새로운!!: 최 (성씨)와 대동강 · 더보기 »

대무신왕

무신왕(大武神王, 4년~44년)은 고구려의 제3대 왕(재위: 18년~44년)이.

새로운!!: 최 (성씨)와 대무신왕 · 더보기 »

대한민국 통계청

통계청(統計廳, Statistics Korea, 약칭: KOSTAT)은 통계의 기준설정과 인구조사 및 각종 통계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

새로운!!: 최 (성씨)와 대한민국 통계청 · 더보기 »

구재학당

재학당(九齋學堂)은 고려 때 사학(私學)의 하나로서, 문헌공도(文憲公徒)라고 불리.

새로운!!: 최 (성씨)와 구재학당 · 더보기 »

낭주 최씨

낭주 최씨(朗州 崔氏)는 전라남도 영암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최 (성씨)와 낭주 최씨 · 더보기 »

낙랑

낙랑은 다음을 가리.

새로운!!: 최 (성씨)와 낙랑 · 더보기 »

당 무종

당 무종(唐武宗, 814년 - 846년)은 당나라의 제15대 황제(재위: 841년 - 846년)이.

새로운!!: 최 (성씨)와 당 무종 · 더보기 »

당 소종

당 소종 이엽(昭宗 李曄, 867년-904년)은 중국 당나라의 제19대 황제(재위 888년-900년, 901년 ~ 904년)이.

새로운!!: 최 (성씨)와 당 소종 · 더보기 »

당나라

당(唐, 618년 ~ 907년)은 수나라 멸망 뒤 건국된 중국의 정통왕조이.

새로운!!: 최 (성씨)와 당나라 · 더보기 »

우봉 최씨

우봉 최씨(牛峰崔氏)는 황해도 금천군 우봉면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최 (성씨)와 우봉 최씨 · 더보기 »

평양직할시

평양직할시(平壤直轄市)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새로운!!: 최 (성씨)와 평양직할시 · 더보기 »

흥해 최씨

흥해 최씨(興海 崔氏)는 경상북도 포항시 흥해읍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최 (성씨)와 흥해 최씨 · 더보기 »

이 (성씨)

외 이(李, 異, 伊)씨는 동아시아의 성씨이.

새로운!!: 최 (성씨)와 이 (성씨) · 더보기 »

이족

이족(彝族, Yízú)은 중국의 소수민족의 하나로, 2000년 제5차 전국인구조사 통계에서는 인구는 7,762,286명으로 중국정부가 공인하는 56개의 민족 중에서 8번째로 많. 중국 외에도 태국, 베트남에도 소수가 거주하고 있.

새로운!!: 최 (성씨)와 이족 · 더보기 »

의혜왕후

의혜왕후 최씨(懿惠王后 崔氏, ?~?)는 조선 환조(桓祖·추존)의 왕후로 태조의 어머니이.

새로운!!: 최 (성씨)와 의혜왕후 · 더보기 »

익산시

익산시(益山市)는 대한민국 전라북도 서북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최 (성씨)와 익산시 · 더보기 »

전라북도

전라북도(全羅北道)는 대한민국의 서남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최 (성씨)와 전라북도 · 더보기 »

전라남도

전라남도(全羅南道)는 대한민국의 서남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최 (성씨)와 전라남도 · 더보기 »

전주 최씨

전주 최씨(全州 崔氏)는 전라북도 전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최 (성씨)와 전주 최씨 · 더보기 »

정 (성씨)

정(鄭, 丁, 程, 井)씨는 성씨의 하나이.

새로운!!: 최 (성씨)와 정 (성씨) · 더보기 »

조위총의 난

조위총의 난은 명종 4년(1174년)에서 6년(1176년)까지 서경 유수 조위총이 무신정권에 반발하여 정중부·이의방을 치고자 일으킨 난이.

새로운!!: 최 (성씨)와 조위총의 난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최 (성씨)와 조선 · 더보기 »

진성여왕

성여왕(眞聖女王, ? ~ 897년 12월 31일 (음력 12월 4일), 재위:887년 ~ 897년 음력 6월 1일)은 신라의 제51대 여왕이.

새로운!!: 최 (성씨)와 진성여왕 · 더보기 »

철원 최씨

원 최씨(鐵原 崔氏)는 강원도 철원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최 (성씨)와 철원 최씨 · 더보기 »

청하 최씨

청하 최씨(淸河 崔氏)는 주나라 건국공신 강태공의 자손 중 하나가 산동성 청하 최읍(崔邑)에 살면서 그 땅 이름에서 씨를 따다 씀으로써 시작되었으며, 이후 본관을 청하로 하였.

새로운!!: 최 (성씨)와 청하 최씨 · 더보기 »

충주 최씨

충주 최씨(忠州崔氏)는 충청북도 충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최 (성씨)와 충주 최씨 · 더보기 »

탐진 최씨

씨(耽津 崔氏)는 전라남도 강진군을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최 (성씨)와 탐진 최씨 · 더보기 »

수나라

수나라와 그 외 국가 형세 수(隋, 581년 3월 4일 ~ 619년 5월 23일)는 중국 남북조 시대의 혼란을 진정시키고, 서진이 멸망한 후 분열되었던 중국을 약 300년 만에 재통일한 국. 그러나 제2대 황제인 양제 때 폭정으로 인해 약간의 혼란기를 거친 후 멸망하였고, 그 후 당나라가 중국을 재통일하였.

새로운!!: 최 (성씨)와 수나라 · 더보기 »

수성 최씨

수성 최씨(隋城 崔氏)는 경기도 수원시를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최 (성씨)와 수성 최씨 · 더보기 »

수원 최씨

수원최씨(水原崔氏)는 경기도 수원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최 (성씨)와 수원 최씨 · 더보기 »

영흥 최씨

영흥 최씨(永興 崔氏)는 함경남도 영흥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최 (성씨)와 영흥 최씨 · 더보기 »

영의정

영의정(領議政)은 의정부 3정승 가운데 하나로 정1품에 해당하는 조선 최고의 중앙관직이었.

새로운!!: 최 (성씨)와 영의정 · 더보기 »

영암군

영암군(靈岩郡)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남서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최 (성씨)와 영암군 · 더보기 »

옥저

옥저(沃沮)는 함경남도 영흥 이북에서 두만강 유역 일대에 걸쳐 있었던 종족과 읍락 집단을 가리.

새로운!!: 최 (성씨)와 옥저 · 더보기 »

최리

리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최 (성씨)와 최리 · 더보기 »

최립

립(崔岦, 1539년 5월 20일(음력 5월 3일)~ 1612년 8월 9일(음력 7월 13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문인 겸 문신이.

새로운!!: 최 (성씨)와 최립 · 더보기 »

최만리

만리(崔萬理, ? ~ 1445년 10월 23일)는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정치인, 유학자이자 철학자, 법학자이.

새로운!!: 최 (성씨)와 최만리 · 더보기 »

최경회

경회(崔慶會, 1532년 ~ 1593년)는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임진왜란 당시의 의병장이.

새로운!!: 최 (성씨)와 최경회 · 더보기 »

최규서

서(崔奎瑞, 1650년 ~ 1735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최 (성씨)와 최규서 · 더보기 »

최우

우(崔瑀, 1166년 ~ 1249년 12월 10일 (음력 11월 5일))는 고려 중기, 후기의 무신(武臣), 권신(權臣), 정치가(政治家)이.

새로운!!: 최 (성씨)와 최우 · 더보기 »

최운해

운해 (崔雲海, 1347년 - 1404년)은 고려말, 조선초기의 무신이.

새로운!!: 최 (성씨)와 최운해 · 더보기 »

최흥원

흥원(崔興源, 1529년 ∼ 1603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최 (성씨)와 최흥원 · 더보기 »

최의

의(崔竩, 1233년 ~ 1258년)는 고려 시대 후기의 무신, 권신 겸 정치가이자 최항(崔沆)의 서자(庶子)이.

새로운!!: 최 (성씨)와 최의 · 더보기 »

최지몽

몽(崔知夢, 906년 ~ 987년)은 고려의 관료이.

새로운!!: 최 (성씨)와 최지몽 · 더보기 »

최충

충(崔沖, 984년 ~ 1068년 10월 13일(음력 9월 15일))은 고려 전기의 문신(文臣)이자 유학자이.

새로운!!: 최 (성씨)와 최충 · 더보기 »

최충헌

충헌(崔忠獻, 1149년~1219년 10월 29일 (음력 9월 20일))은 고려 시대의 무신이자 군인, 정치가이.

새로운!!: 최 (성씨)와 최충헌 · 더보기 »

최치원

원(崔致遠, 857년 ~ 908년 이후)은 신라 말기의 문신, 유학자, 문장가이.

새로운!!: 최 (성씨)와 최치원 · 더보기 »

최윤덕

윤덕(崔閏德, 1376년 ~ 1445년)은 조선의 무신이.

새로운!!: 최 (성씨)와 최윤덕 · 더보기 »

최윤의

윤의(崔允儀, 1102년 ~ 1162년)는 고려 중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해주(海州)이며 초명은 최천우(崔天祐)이.

새로운!!: 최 (성씨)와 최윤의 · 더보기 »

최사위

사위(崔士威, 961년 ~ 1041년)는 고려 전기의 문신이.

새로운!!: 최 (성씨)와 최사위 · 더보기 »

최석

석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최 (성씨)와 최석 · 더보기 »

최항 (1409년)

항(崔恒, 1409년 ~ 1474년)은 조선의 문신이자 학자이.

새로운!!: 최 (성씨)와 최항 (1409년) · 더보기 »

삭녕 최씨

삭녕 최씨(朔寧 崔氏)는 경기도 연천군과 강원도 철원군(鐵原郡) 일대를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최 (성씨)와 삭녕 최씨 · 더보기 »

산둥성

산둥 성(산동성)은 중화인민공화국 동부의 성이.

새로운!!: 최 (성씨)와 산둥성 · 더보기 »

선비 (민족)

샨베이 벨트 버클 3-4세기 선비(기원전 1세기 ~ 6세기)는 몽골과 중국 화북 지방에서 살았던 유목 민족으로, 튀르크족의 조상 중 하나이.

새로운!!: 최 (성씨)와 선비 (민족) · 더보기 »

소벌도리

소벌도리(蘇伐道理 또는 蘇伐都利, ? ~ ?)는 신라 초기의 신화적인 인물로 서라벌 6촌 중 돌산고허촌(突山高墟村)의 촌장이었.

새로운!!: 최 (성씨)와 소벌도리 · 더보기 »

통천 최씨

통천 최씨(通川 崔氏)는 강원도 통천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최 (성씨)와 통천 최씨 · 더보기 »

해주 최씨

주 최씨(海州 崔氏)는 황해도 해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최 (성씨)와 해주 최씨 · 더보기 »

해주시

주시(海州市)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남도 중남부에 있는 시이자 황해남도청 소재지 그리고 황해남도의 유일한 시이.

새로운!!: 최 (성씨)와 해주시 · 더보기 »

한국의 성씨

국의 성씨(姓氏)는 전통적으로 270여 개가 있. 1486년(성종) 《동국여지승람(東國與地勝覽)》에 277개, 1766년(영조) 《도곡총설(陶谷叢說)》에 298개, 1908년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에 496개, 1960년 대한민국 국세조사에서는 258개의 성씨.

새로운!!: 최 (성씨)와 한국의 성씨 · 더보기 »

한족

족()은 중국의 대표적인 민족집단으로, 중화인민공화국과 중화민국 인구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동남아시아, 북아메리카 등 세계 각지에서도 거주하고 있. 2008년 기준으로 한족 인구는 약 12억명으로 중화인민공화국 인구의 약 92%를 차지하는 중화인민공화국 최대의 민족집단이.

새로운!!: 최 (성씨)와 한족 · 더보기 »

신라

신라(新羅, 기원전 57년 ~ 935년)는 고구려, 백제와 함께 고대 한반도의 삼국 시대를 구성하였던 국가로, 세계적으로 오래 존속한 왕조들 중 하나로 꼽힌.

새로운!!: 최 (성씨)와 신라 · 더보기 »

후이족

후이족(샤오얼징: حُوِ ذَو/حواريون)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소수 민족으로, 중화인민공화국 최대의 무슬림 민족 집단이.

새로운!!: 최 (성씨)와 후이족 · 더보기 »

화순 최씨

화순 최씨(和順 崔氏)는 전라남도 화순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최 (성씨)와 화순 최씨 · 더보기 »

화순군

화순군(和順郡)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중앙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최 (성씨)와 화순군 · 더보기 »

화성시

화성시(華城市)는 대한민국 경기도 서남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최 (성씨)와 화성시 · 더보기 »

완산 최씨

완산 최씨(完山 崔氏)는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최 (성씨)와 완산 최씨 · 더보기 »

130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최 (성씨)와 1302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최씨.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