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충렬사 (강화군)

색인 충렬사 (강화군)

충렬사(忠烈祠)은 인천광역시 강화군 선원면에 있는 사우이.

29 처지: 민성, 방위, 강화도, 강화군, 경기도, 경기도의 유형문화재 (제1호 ~ 제100호), 병자호란, 권순장, 김익겸, 김상용, 김상용 (1561년), 김수남, 우의정, 이상길, 인천광역시, 인천광역시의 유형문화재, 조선, 윤계, 윤전, 윤집, 어재연, 선원면, 홍익한, 황선신, 1642년, 1972년, 1995년, 3월 1일, 5월 4일.

민성

민성(1979년 4월 29일 ~)은 대한민국의 가수이.

새로운!!: 충렬사 (강화군)와 민성 · 더보기 »

방위

방위(方位)는 방향을 임의의 기준으로 나누는 방법이.

새로운!!: 충렬사 (강화군)와 방위 · 더보기 »

강화도

강화도(江華島)는 대한민국 경기만에 있는 섬이.

새로운!!: 충렬사 (강화군)와 강화도 · 더보기 »

강화군

강화군(江華郡)은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서북부의 군이.

새로운!!: 충렬사 (강화군)와 강화군 · 더보기 »

경기도

경기도(京畿道)는 대한민국의 북서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충렬사 (강화군)와 경기도 · 더보기 »

경기도의 유형문화재 (제1호 ~ 제100호)

경기도의 유형문화재는 지방유형문화재 중에서 경기도에 있는 문화재를 의미.

새로운!!: 충렬사 (강화군)와 경기도의 유형문화재 (제1호 ~ 제100호) · 더보기 »

병자호란

병자호란(丙子胡亂)은 1636년 12월 28일(음력 12월 2일)부터 1637년 2월 24일(음력 1월 30일)까지 조선과 청나라 사이에 벌어진 전쟁이.

새로운!!: 충렬사 (강화군)와 병자호란 · 더보기 »

권순장

순장(權順長, 1607년 ~ 1637년 1월 22일)은 조선의 문신(文臣)이자 충신(忠臣)이며 의병장(義兵將)이.

새로운!!: 충렬사 (강화군)와 권순장 · 더보기 »

김익겸

익겸(金益兼, 1614년 ~ 1636년 12월)은 조선의 문신(文臣) 겸 시인이자 정치운동가(政治運動家)이며 사회운동가(社會運動家)이.

새로운!!: 충렬사 (강화군)와 김익겸 · 더보기 »

김상용

상용은 다음 사람을 가리.

새로운!!: 충렬사 (강화군)와 김상용 · 더보기 »

김상용 (1561년)

선원 김상용 김상용(金尙容, 1561년 ~ 1637년 1월 22일)은 조선시대 중·후기의 문인, 시인, 정치가, 서예가로 선조 때 문과에 급제하여 관작은 보국숭록대부 의정부우의정, 판돈녕부사에 이르렀고, 병자호란 때 강화도가 함락되자 문루에 화약을 쌓고 불을 붙여 자폭하였.

새로운!!: 충렬사 (강화군)와 김상용 (1561년) · 더보기 »

김수남

수남 (金秀南, 1959년 12월 29일 ~)은 대한민국의 제41대 검찰총장을 역임한 법조인이.

새로운!!: 충렬사 (강화군)와 김수남 · 더보기 »

우의정

우의정(右議政)은 의정부 3의정 가운데 하나로 조선시대 정1품 관직이.

새로운!!: 충렬사 (강화군)와 우의정 · 더보기 »

이상길

이상길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충렬사 (강화군)와 이상길 · 더보기 »

인천광역시

인천광역시(仁川廣域市)는 대한민국의 서해안에 있는 광역시이.

새로운!!: 충렬사 (강화군)와 인천광역시 · 더보기 »

인천광역시의 유형문화재

인천광역시의 유형문화재는 유형문화재 중에서 인천광역시 내에 있는 문화재를 의미.

새로운!!: 충렬사 (강화군)와 인천광역시의 유형문화재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충렬사 (강화군)와 조선 · 더보기 »

윤계

윤계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충렬사 (강화군)와 윤계 · 더보기 »

윤전

윤전(尹烇, 1575(선조 8)∼1637(인조 15). 조선 중기의 문신. 초명은 찬(燦). 본관은 파평(坡平). 자는 회숙(晦叔), 호는 후촌(後村). 병사(兵使)선지(先智)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돈(暾)이고, 아버지는 증참판 창세(昌世)이며, 어머니는 청주 경씨(淸州慶氏)로 부제학(副提學) 혼(渾)의 딸이다. 황(煌)의 아우이다. 성혼(成渾)의 문인이다.

새로운!!: 충렬사 (강화군)와 윤전 · 더보기 »

윤집

윤집(尹集, 1606년 ~ 1637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충렬사 (강화군)와 윤집 · 더보기 »

어재연

신미양요에서 전사한 어재연 장군의 장군기가 미해군 콜로라도함에 실려있다. 어재연 장군기는 136년이 지난 2007년에 대한민국에 임대되는 형식으로 돌아왔다. 어재연(魚在淵, 1823년 ~ 1871년)은 조선 말기의 무신이.

새로운!!: 충렬사 (강화군)와 어재연 · 더보기 »

선원면

선원면(仙源面)은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강화군의 면이.

새로운!!: 충렬사 (강화군)와 선원면 · 더보기 »

홍익한

홍익한(洪翼漢, 1586년 ~ 1637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충렬사 (강화군)와 홍익한 · 더보기 »

황선신

황선신(黃善身, 1570년~1637년)은 조선 중기의 무신이.

새로운!!: 충렬사 (강화군)와 황선신 · 더보기 »

1642년

1642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충렬사 (강화군)와 1642년 · 더보기 »

1972년

1972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충렬사 (강화군)와 1972년 · 더보기 »

1995년

1995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충렬사 (강화군)와 1995년 · 더보기 »

3월 1일

3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60번째(윤년일 경우 6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충렬사 (강화군)와 3월 1일 · 더보기 »

5월 4일

5월 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24번째(윤년일 경우 12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충렬사 (강화군)와 5월 4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충렬사 (강화).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