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고려 충렬왕

색인 고려 충렬왕

충렬왕(忠烈王, 1236년 4월 3일 (음력 2월 26일) ~ 1308년 7월 30일 (음력 7월 13일))은 고려 제25대 국왕(재위: 1274년 ~ 1298년, 복위:1299년 ~ 1308년)이.

65 처지: 덕흥군, 몽골, 몽골 제국, 명순원비, 무신정권, 배중손, 반주, 강양공, 고려, 고려 고종, 고려 공민왕, 고려 공양왕, 고려 우왕, 고려 창왕, 고려 충목왕, 고려 충정왕, 고려 충선왕, 고려 영종, 고려 원종, 고려의 역대 국왕, 공녀, 광평공 (고려 후기), 김방경, 김준 (고려 후기), 김약선, 국대비 왕씨, 군주, 다루가치, 임유무, 임연, 이름, 이자겸, 음력 2월 26일, 음력 7월 13일, 제국대장공주, 제주도, 제안공 (왕숙), 정동등처행중서성, 정녕원비, 정신부주, 쿠빌라이 칸, 태인 시씨, 순경태후, 숙창원비, 삼별초, 소군 왕서, 한반도, 시호, 원 무종, 원 성종, ..., 원나라, 1236년, 1260년, 1274년, 1277년, 1280년, 1290년, 1294년, 1298년, 1299년, 1307년, 1308년, 1311년, 4월 3일, 7월 30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5 더) »

덕흥군

덕흥군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고려 충렬왕와 덕흥군 · 더보기 »

몽골

몽골국(음차: 몽고(蒙古))), 약칭 몽골은 동아시아의 내륙국이다. 가장 큰 도시는 수도인 울란바토르고, 정치 체제는 의회 공화국이다. 1992년 민주주의 체제로 변경되었다. 1,564,116km2의 넓은 영토를 가진 몽골은 카자흐스탄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내륙국이나, 인구는 약 300만 명 으로 적다. 13세기 칭기즈 칸이 몽골 제국을 건국했으며, 칭기즈 칸의 손자이자 몽골 제국의 제5대 칸인 쿠빌라이 칸 시절에는 국호를 원으로 개칭하고, 이후 명나라가 중원을 탈환하게 되어서 몽골 초원지대로 물러났다. 이후 1688년 만주족이 세운 청나라에 복속하여 외몽골로 불렸다. 1911년 제1차 혁명을 일으켰으나 1920년 철폐되었고, 러시아의 10월 혁명에 영향을 받아 1921년 제2차 혁명을 일으켜 현재의 형태로 독립하였다. 북쪽으로 러시아, 남쪽으로 중화인민공화국에 접하여 있다.

새로운!!: 고려 충렬왕와 몽골 · 더보기 »

몽골 제국

몽골 제국()는 칭기스칸이 1206년에 건국한 제국이.

새로운!!: 고려 충렬왕와 몽골 제국 · 더보기 »

명순원비

명순원비(明順院妃, ? ~ 1320년 음력 8월 7일)는 고려의 왕족이.

새로운!!: 고려 충렬왕와 명순원비 · 더보기 »

무신정권

무신정권(武臣政權)은 의종 24년(1170)부터 원종 11년(1270)까지 100년 동안 무신들에 의해 수립된 고려시대 정부를 말하며, 그 시기를 무인시대라 일컫.

새로운!!: 고려 충렬왕와 무신정권 · 더보기 »

배중손

진도군 배중손 사당의 배중손 동상이다. 배중손(裵仲孫, ?~1271년)은 고려의 무신이며 삼별초의 지도자였.

새로운!!: 고려 충렬왕와 배중손 · 더보기 »

반주

반주(伴奏)는 음악에서 주선율을 화성적으로 뒷받침해주는 부분이.

새로운!!: 고려 충렬왕와 반주 · 더보기 »

강양공

강양공 왕자(江陽公 王滋, ? ~ 1308년 음력 4월 12일)는 고려의 왕족이.

새로운!!: 고려 충렬왕와 강양공 · 더보기 »

고려

(高麗, 918년~1392년)는 918년 태봉의 궁예를 축출하고 왕건이 즉위한 이후, 이성계에 의해 멸망하기까지 한반도 대부분을 지배하였던 국가이.

새로운!!: 고려 충렬왕와 고려 · 더보기 »

고려 고종

종(高宗, 1192년 2월 3일 (음력 1월 18일) ~ 1259년 7월 21일 (음력 6월 30일)은 고려 제23대 국왕(재위: 1213년 ~ 1259년)이다. 휘는 철(皞), 자는 천우(天祐), 묘호는 고종(高宗), 원에서 내린 시호는 충헌왕(忠憲王)이며 고려에서 올린 시호는 안효대왕(安孝大王)이다. 강종과 원덕태후(元德太后) 문화 류씨(柳氏)의 맏아들이다. 비(妃)는 희종의 딸 안혜태후(安惠太后) 류씨(柳氏)이다.

새로운!!: 고려 충렬왕와 고려 고종 · 더보기 »

고려 공민왕

공민왕(恭愍王, 1330년 5월 23일 (음력 5월 6일) ~ 1374년 10월 27일 (음력 9월 22일), 재위: 1351년 ~ 1374년)은 고려의 제31대 국왕이.

새로운!!: 고려 충렬왕와 고려 공민왕 · 더보기 »

고려 공양왕

공양왕(恭讓王, 1345년 3월 9일 (음력 2월 5일) ~ 1394년 5월 17일 (음력 4월 17일), 재위: 1389년 ~ 1392년)은 고려의 제34대 국왕이자 마지막 임금이.

새로운!!: 고려 충렬왕와 고려 공양왕 · 더보기 »

고려 우왕

우왕(禑王, 1365년 7월 25일 (음력 7월 7일) ~ 1389년 12월 31일 (음력 12월 14일))은 고려 제32대 국왕(재위: 1374년 ~ 1388년)이.

새로운!!: 고려 충렬왕와 고려 우왕 · 더보기 »

고려 창왕

창왕(昌王, 1380년 9월 6일 (음력 8월 7일) ~ 1389년 12월 31일 (음력 12월 14일)은 고려 제33대 국왕(재위: 1388년 ~ 1389년)이다.

새로운!!: 고려 충렬왕와 고려 창왕 · 더보기 »

고려 충목왕

충목왕(忠穆王, 1337년 5월 15일 (음력 4월 15일) ~ 1348년 12월 25일 (음력 12월 5일)은 고려 제29대 국왕(재위: 1344년~1348년)이다. 휘는 흔(昕), 몽골 이름은 파드마도르지(), 원에서 내린 시호는 충목왕(忠穆王)이며 공민왕이 올린 시호는 현효대왕(顯孝大王)이다. 충혜왕와 덕녕공주(德寧公主) 사이에서 태어났다. 원나라에 볼모로 끌려가 있다가 8세에 원나라에 의하여 즉위하였으나 후사없이 요절한다. 1344년부터 1348년까지 재위하는 동안 그의 모후인 덕녕공주(德寧公主)가 섭정을 하였다.

새로운!!: 고려 충렬왕와 고려 충목왕 · 더보기 »

고려 충정왕

충정왕(忠定王, 1338년 1월 ~ 1352년 3월 23일 (음력 3월 7일))은 고려 제30대 국왕(재위: 1348년 ~ 1351년)이.

새로운!!: 고려 충렬왕와 고려 충정왕 · 더보기 »

고려 충선왕

충선왕(忠宣王, 1275년 10월 20일 (음력 9월 30일) ~ 1325년 6월 23일 (음력 5월 13일)은 고려 제26대 국왕(재위: 1298년, 복위: 1308년~1313년)이다. 초휘는 원(願), 휘는 장(璋), 자는 중앙(仲昻), 원에서 내린 시호는 충선왕(忠宣王)이며, 공민왕이 올린 시호는 선효대왕(宣孝大王)이다. 몽골식 이름은 이지르부카()이며, 정비(正妃)는 계국대장공주이다. 고려에서 처음으로 즉위하였다가 폐위된 후 다시 복귀한 군주이기도 하다. 생애 후반에는 귀국을 기피하고 원나라에 체류하며 만권당을 세워 독서와 학문 연구, 서화 그리기 등에 전념하기도 했다.

새로운!!: 고려 충렬왕와 고려 충선왕 · 더보기 »

고려 영종

영종 왕창(高麗英宗 王淐, 1223년 8월 ~ 몰년 미상 10월)은 고려 중기의 왕이자 왕족이며, 즉위 전 작위는 안경공(安慶公)이.

새로운!!: 고려 충렬왕와 고려 영종 · 더보기 »

고려 원종

원종(元宗, 1219년 4월 5일 (음력 3월 19일) ~ 1274년 7월 23일 (음력 6월 18일)은 고려 제24대 국왕(재위: 1259년~1274년)이다. 초명은 전(倎), 나중에 식(植)으로 개명하였고, 휘는 정(禎), 자는 일신(日新), 원나라에서 내린 시호는 충경왕(忠敬王)이며, 고려에서 올린 시호는 순효대왕(順孝大王)이다. 고종과 안혜태후(安惠太后) 유씨(柳氏)의 맏아들이다. 비는 김약선(金若先)의 딸인 정순왕후(靜順王后)인데, 이후 충렬왕이 순경태후(順敬太后)로 추존했다. 능은 소릉(韶陵)이다. 고려에서 마지막으로 묘호를 사용한 왕이며, 이후에는 원나라의 간섭으로 쓰지 못하였다. 그리고 왕의 시호 앞에 글자는 원나라에 대한 충성을 맹세하는 증거인 "충(忠)"자를 넣어야 했다. 그리고 이때 이후로 "짐"은 "고" 또는 "과인"으로, "폐하"는 "전하"로, "태자"는 "세자"로, "선지"는 "왕지"로 명칭이 격하되었을 뿐만 아니라, 각종 관직 용어들의 명칭들도 모두 격하되었다.

새로운!!: 고려 충렬왕와 고려 원종 · 더보기 »

고려의 역대 국왕

의 역대 황제는 흔히 조, 종의 묘호로 부르나, 원나라의 내정간섭이 시작된 충렬왕 이후부터는 묘호를 사용하지 못하여 시호를 통칭으로 사용하며, 우왕과 창왕은 성명이 통용.

새로운!!: 고려 충렬왕와 고려의 역대 국왕 · 더보기 »

공녀

공녀(貢女)는 약소국이 강대국에 조공의 하나로 여자를 바치는 것을 의미.

새로운!!: 고려 충렬왕와 공녀 · 더보기 »

광평공 (고려 후기)

광평공(廣平公, ? ~ 1285년)은 고려 말기의 왕족, 문신으로 본관은 개성(開城)이며 초명은 순(恂), 이름은 혜(譓)이.

새로운!!: 고려 충렬왕와 광평공 (고려 후기) · 더보기 »

김방경

방경(金方慶, 1212년 ~ 1300년)은 고려 말기의 원종 때부터 봉공한 무신이자 문신이.

새로운!!: 고려 충렬왕와 김방경 · 더보기 »

김준 (고려 후기)

준(金俊, ? ~ 1268년 12월)은 고려 고종 때의 무신(武臣) 권신(權臣) 정치가(政治家)이.

새로운!!: 고려 충렬왕와 김준 (고려 후기) · 더보기 »

김약선

약선(金若先)은 고려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고려 충렬왕와 김약선 · 더보기 »

국대비 왕씨

국대비 왕씨(國大妃 王氏, 생몰년 미상)는 고려 후기의 왕족이.

새로운!!: 고려 충렬왕와 국대비 왕씨 · 더보기 »

군주

주(君主)는 군주제 국가의 국가원수이.

새로운!!: 고려 충렬왕와 군주 · 더보기 »

다루가치

()는 원(元)의 행정·군사면에 있어서의 중요한 관직명이.

새로운!!: 고려 충렬왕와 다루가치 · 더보기 »

임유무

임유무(林惟茂, 1248년 ~ 1270년)는 고려의 무신, 권신 겸 정치가이며 무신정권의 마지막 집권자였.

새로운!!: 고려 충렬왕와 임유무 · 더보기 »

임연

임연(林衍, 1220년?~1270년)은 고려 고종·원종 때의 무신(武臣), 권신(權臣), 정치가(政治家)이.

새로운!!: 고려 충렬왕와 임연 · 더보기 »

이름

왕족 이름을 뜻한다. 이름은 "이르다"의 명사형으로, 물건, 사람, 장소, 생각, 개념 등을 다른 것과 구별하기 위해 부르는 말이.

새로운!!: 고려 충렬왕와 이름 · 더보기 »

이자겸

이자겸(李資謙, ? ~ 1127년 1월 19일/1126년 음력 12월 5일 중앙일보 2009년 12월 22일)은 고려시대 중기의 문신이자 정치인, 섭정이자 시인이었.

새로운!!: 고려 충렬왕와 이자겸 · 더보기 »

음력 2월 26일

음력 2월 26일은 음력 2월의 26번째 날이.

새로운!!: 고려 충렬왕와 음력 2월 26일 · 더보기 »

음력 7월 13일

음력 7월 13일은 음력 7월의 13번째 날이.

새로운!!: 고려 충렬왕와 음력 7월 13일 · 더보기 »

제국대장공주

제국대장공주(齊國大長公主, 1259년 7월 22일(음력 6월 28일)~1297년 6월 11일(음력 5월 21일『고려사』 권31, 「세가」31, 충렬왕 23년(1297) 5월 21일(임오)))는 고려의 제25대 왕 충렬왕의 제1비이.

새로운!!: 고려 충렬왕와 제국대장공주 · 더보기 »

제주도

제주도(濟州島, Jeju-do)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큰 섬으로, 제주특별자치도에 속하며, 한반도 남쪽 바다 건너에 있. 섬의 면적은 1833.2 km²인데 이는 대한민국 면적의 1.83%에 해당.

새로운!!: 고려 충렬왕와 제주도 · 더보기 »

제안공 (왕숙)

제안공 왕숙(齊安公 王淑, 1238년 ~ 1312년)는 고려시대의 왕족이.

새로운!!: 고려 충렬왕와 제안공 (왕숙) · 더보기 »

정동등처행중서성

정동등처행중서성(征東等処行中書省)는 원나라가 고려와 30년간의 긴 전쟁에 강화하여 원나라 지배기 때 설치한 출선기관으로 원나라의 행정 기관인 행중서성 중 하나였.

새로운!!: 고려 충렬왕와 정동등처행중서성 · 더보기 »

정녕원비

정녕원비(靖寧院妃, 생몰년 미상)는 고려의 왕족이.

새로운!!: 고려 충렬왕와 정녕원비 · 더보기 »

정신부주

정신부주 왕씨(貞信府主 王氏, ? ~ 1319년 음력 4월 14일《고려사》권34〈세가〉권34 - 충숙왕 6년 4월 - 정신부주 왕씨가 죽다) 또는 정화궁주(貞和宮主), 정화원비(貞和院妃)는 고려의 제25대 왕 충렬왕의 왕비이.

새로운!!: 고려 충렬왕와 정신부주 · 더보기 »

쿠빌라이 칸

원 세조 쿠빌라이 칸(元 世祖 忽必烈, 1215년 9월 23일 ~ 1294년 2월 18일)은 몽골 제국의 제5대 대칸(재위: 1260년 ~ 1294년)이자 원의 초대 황제이며, 칭기즈 칸의 손자이.

새로운!!: 고려 충렬왕와 쿠빌라이 칸 · 더보기 »

태인 시씨

인 시씨(泰仁 柴氏)는 전라북도 정읍시 태인면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충렬왕와 태인 시씨 · 더보기 »

순경태후

정순왕후 김씨(靜順王后 金氏, ~ 1237년 음력 7월 29일), 또는 순경태후(順敬太后)는 고려 원종의 왕비이.

새로운!!: 고려 충렬왕와 순경태후 · 더보기 »

숙창원비

숙창원비 김씨(淑昌院妃 金氏, 생몰년 미상) 또는 숙비 김씨(淑妃 金氏)는 고려의 제25대 왕 충렬왕의 제3비이자 충선왕의 후궁이.

새로운!!: 고려 충렬왕와 숙창원비 · 더보기 »

삼별초

삼별초(三別抄)는 몽골 침략기에 그에 대항하던 고려의 무장 세력이며, 원래는 하나의 단일한 단체가 아니었.

새로운!!: 고려 충렬왕와 삼별초 · 더보기 »

소군 왕서

소군 왕서(小君 王湑, ? - ?)는 고려시대의 왕족 종실이.

새로운!!: 고려 충렬왕와 소군 왕서 · 더보기 »

한반도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한반도의 모양 한반도(韓半島)는 정치지리학적으로 동아시아에 위치해 있으며, 지형학적으로 유라시아 대륙의 동북쪽 끝에 있는 반도이.

새로운!!: 고려 충렬왕와 한반도 · 더보기 »

시호

시호(諡號)는 죽은 인물에게 국가에서 내려주거나 죽은 군주에게 다음 군주가 올리는 특별한 이름으로, 동양의 군주제 국가에서 시행되었.

새로운!!: 고려 충렬왕와 시호 · 더보기 »

원 무종

원 무종 카이산(元 武宗 海山, 1281년 8월 4일 ~ 1311년 1월 27일)은 원나라의 제3대 황제(재위: 1307년 ~ 1311년)이다. 묘호는 무종(武宗), 시호는 인혜선효황제(仁惠宣孝皇帝). 존호는 통천계성흠문영무대장효황제(統天繼經欽文英武大章孝皇帝)이다. 휘는 보르지긴 카이샨()이다. 또 다른 호칭은 퀼리그 칸(曲律汗), 그는 황손 다르마발라와 다기의 아들이었다.

새로운!!: 고려 충렬왕와 원 무종 · 더보기 »

원 성종

원 성종 테무르(元 成宗 鐵穆耳, 1265년 10월 15일 ~ 1307년 2월 10일)은 원나라의 제2대 황제(재위: 1294년 ~ 1307년)이다. 시호는 흠명광효황제(欽明光孝皇帝)이며, 휘는 보르지긴 테무르()이다. 또 다른 호칭은 올제이투 칸(完澤篤汗)으로 불리기도 하다. 쿠빌라이 칸의 손자로, 충렬왕비 제국대장공주의 친정 조카이자 충선왕의 외사촌형이다.

새로운!!: 고려 충렬왕와 원 성종 · 더보기 »

원나라

원나라(元朝)은 13세기 몽골 제국이 세운 국가이.

새로운!!: 고려 충렬왕와 원나라 · 더보기 »

123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충렬왕와 1236년 · 더보기 »

126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충렬왕와 1260년 · 더보기 »

127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충렬왕와 1274년 · 더보기 »

127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충렬왕와 1277년 · 더보기 »

128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충렬왕와 1280년 · 더보기 »

129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충렬왕와 1290년 · 더보기 »

129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충렬왕와 1294년 · 더보기 »

129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충렬왕와 1298년 · 더보기 »

129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충렬왕와 1299년 · 더보기 »

130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충렬왕와 1307년 · 더보기 »

130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충렬왕와 1308년 · 더보기 »

131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충렬왕와 1311년 · 더보기 »

4월 3일

4월 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93번째(윤년일 경우 9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고려 충렬왕와 4월 3일 · 더보기 »

7월 30일

7월 3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11번째(윤년일 경우 21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고려 충렬왕와 7월 30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충렬왕, 왕거.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