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신립

색인 신립

신립(申砬, 1546년 10월 23일 ~ 1592년 4월)은 조선의 무신이.

106 처지: 능창대군, 독립운동, 루이스 프로이스, 류자광, 류성룡, 문경새재, 백인철 (배우), 고려 태조, 고경명, 고니시 유키나가, 고인후, 고종후, 곤지암, 곽재우, 병마절도사, 광주 이씨, 광주시 (경기도), 권율, 불멸의 이순신, 김천일, 김형일 (배우), 김여물, 대간, 대한민국, 난중잡록, 노론, 논개, 니탕개의 난, 장령, 장악서, 임진왜란, 평산 신씨, 평안도, 이복남, 이이첨, 이일, 이주석, 이순신, 인조반정, 의정부, 정치인, 조총, 조상, 조헌, 조선, 조선 명종, 조선 광해군, 조선 인조, 조선 연산군, 조선 선조, ..., 조선 원종, 좌의정, 징비록 (드라마), 차기환, 충주 탄금대, 충주 탄금대 전투, 충주시, 충청북도, 추증, 판서, 파평 윤씨, 탄핵, 영규, 영의정, 예조, 최경회, 최남선, 여진, 사헌부, 선조실록, 성현, 서인, 소론, 함경남도, 한성부판윤, 신개, 신경희, 신경희 (1561년), 신경진, 신자준, 신잡, 신흠, 신익희, 신상, 신숭겸, 신성군, 왜구, 왕의 얼굴, 왕의 여자, KBS 1TV, KBS 2TV, SBS, 10월 23일, 1546년, 1567년, 1583년, 1587년, 1590년, 1592년, 1623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14년, 2015년, 4월.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56 더) »

능창대군

능창군 이전(綾昌君 李佺, 또는 증 능창대군 이전(贈 綾昌大君 李佺), 1599년 7월 16일 ~ 1615년 11월 17일)은 조선의 왕족 종실이.

새로운!!: 신립와 능창대군 · 더보기 »

독립운동

독립운동(獨立運動,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또는 해방운동(解放運動)은 어떤 국가 또는 세력의 직·간접적인 지배를 받는 지역에서 자치권 등의 권한을 얻거나, 스스로의 국가 또는 세력을 세우기 위해 벌이는 모든 행위를 말. 그러므로 국가의 독립은 기존 국가에 속한 일부 지역이나 타국의 지배하에 있던 영역이, 그 지배를 벗어나 새로운 국가로 성립하는 것을 의미.

새로운!!: 신립와 독립운동 · 더보기 »

루이스 프로이스

이스 프로이스(1532년 ~ 1597년 7월 8일)는 포르투갈의 로마 가톨릭 예수회 사제로, 선교사.

새로운!!: 신립와 루이스 프로이스 · 더보기 »

류자광

자광(柳子光, 1439년 ~ 1512년 6월)은 조선의 초기의 무신, 군인, 교육자, 유학자, 작가이.

새로운!!: 신립와 류자광 · 더보기 »

류성룡

성룡(柳成龍, 1542년 11월 7일(음력 10월 1일) ~ 1607년 5월 31일(음력 5월 6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 인문학자, 의학자, 저술가이.

새로운!!: 신립와 류성룡 · 더보기 »

문경새재

문경새재(聞慶-)는 백두대간의 조령산 마루를 넘는 재이.

새로운!!: 신립와 문경새재 · 더보기 »

백인철 (배우)

백인철(1947년 5월 23일 ~)은 대한민국의 연극배우 겸 연기자이자 연극평론가이며 본명은 이용진이.

새로운!!: 신립와 백인철 (배우) · 더보기 »

고려 태조

조(高麗 太祖, 877년 1월 31일 (음력 1월 14일)《고려사절요》 제1권 태조 신성대왕〈고려사절요/제1권/태조 신성대왕〉"신라 헌강왕(憲康王) 3년 정유(877) 정월 14일 병술에 태조를 송악 남쪽 사제(私第)에서 낳으니" ~ 943년 7월 4일 (음력 5월 29일))는 후삼국 시대(後三國 時代) 후고구려(後高句麗)의 장군(將軍)이자 고려(高麗)의 초대 황제(재위:918년 7월 25일~943년 7월 4일)이.

새로운!!: 신립와 고려 태조 · 더보기 »

고경명

경명(髙敬命, 1533년 ~ 1592년)은 조선의 문신·의병장이.

새로운!!: 신립와 고경명 · 더보기 »

고니시 유키나가

시 유키나가(세례명: 아우구스티노, 1555년 ~ 1600년 음력 10월 1일) 는 일본 상인(商人) 출신의 무장이.

새로운!!: 신립와 고니시 유키나가 · 더보기 »

고인후

인후(高因厚, 1561년 ~ 1592년)는 조선 중기의 문신, 의병이.

새로운!!: 신립와 고인후 · 더보기 »

고종후

종후(高從厚, 1554년 ~ 1593년)는 임진왜란 당시의 의병장이.

새로운!!: 신립와 고종후 · 더보기 »

곤지암

암(昆池岩)은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읍에 있는, 조선 선조 때의 명장인 신립 장군에 얽힌 전설이 있는 바위이.

새로운!!: 신립와 곤지암 · 더보기 »

곽재우

곽재우(郭再祐, 1552년 9월 16일(음력 8월 28일) ~ 1617년 5월 14일(음력 4월 10일))는 조선 중기의 무신, 정치인, 군인으로 임진왜란에서 크게 활약한 의병장이.

새로운!!: 신립와 곽재우 · 더보기 »

병마절도사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는 조선시대 각도의 육군을 지휘하는 책임을 맡은 종2품 무관직으로 병사.

새로운!!: 신립와 병마절도사 · 더보기 »

광주 이씨

광주 이씨(廣州 李氏)는 경기도 광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신립와 광주 이씨 · 더보기 »

광주시 (경기도)

광주시(廣州市)는 대한민국 경기도 중동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신립와 광주시 (경기도) · 더보기 »

권율

율(權慄, 1537년 ~ 1599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 군인, 정치인이.

새로운!!: 신립와 권율 · 더보기 »

불멸의 이순신

《불멸의 이순신》 (不滅의 李舜臣)은 대한민국 KBS에서 2004년 9월 4일 ~ 2005년 8월 28일까지 충무공 이순신의 삶을 소재로 하여 방영한 드라마이.

새로운!!: 신립와 불멸의 이순신 · 더보기 »

김천일

일(金千鎰, 1537년 ~ 1593년)은 임진왜란 당시의 의병장이다. 자는 사중, 호는 건재(健齋), 본관은 언양이며, 시호는 문렬(文烈)이다.

새로운!!: 신립와 김천일 · 더보기 »

김형일 (배우)

형일(金炯逸, 1960년 12월 28일 ~)은 대한민국의 연기자이.

새로운!!: 신립와 김형일 (배우) · 더보기 »

김여물

여물(金汝岉, 1548년 ~ 1592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신립와 김여물 · 더보기 »

대간

(臺諫)은 관리의 감찰과 간언을 하는 벼슬아치를 이르는 말이.

새로운!!: 신립와 대간 · 더보기 »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신립와 대한민국 · 더보기 »

난중잡록

중잡록(亂中雜錄)은 전라북도 남원시 주천면에 있는, 임진왜란 당시 의병장으로 활약했던 조경남이 13세인 선조 15년(1585)부터 인조 15년(1637)까지 57년간의 국내의 중요한 사실을 기록한 책이.

새로운!!: 신립와 난중잡록 · 더보기 »

노론

(老論)은 서인과 같이 성리학적 명분론을 신봉하였지만 숙종 때 서인에서 노론과 소론으로 나뉜 붕당으로 알려져 있. 서인에서 송시열을 중심으로 하는 사람들은 노론, 윤증을 중심으로 하는 사람들은 소론이 되었으며 숙종 이후 조선의 주요 집권 세력이었.

새로운!!: 신립와 노론 · 더보기 »

논개

(論介, 1574년 9월 3일 ~ 1593년) 또는 주논개(朱論介)는 조선 선조 시대의 열녀이.

새로운!!: 신립와 논개 · 더보기 »

니탕개의 난

탕개의 난(尼湯介 ── 亂)은 1583년 조선 6진에서 야인여진의 니탕개가 일으킨 난이.

새로운!!: 신립와 니탕개의 난 · 더보기 »

장령

장령(掌令)은 조선시대 사헌부의 정4품 관직이.

새로운!!: 신립와 장령 · 더보기 »

장악서

장악원(掌樂院) 터. 서울 중구 명동, 외환은행 본점 앞에 있다. 장악서(掌樂署)는 고려와 조선 시대 음악에 관한 일을 맡아 보던 관청이.

새로운!!: 신립와 장악서 · 더보기 »

임진왜란

임진왜란(壬辰倭亂)은 1592년(선조 25) 일본이 조선을 침략하면서 시작되어 1598년(선조 31)까지 이어진 전쟁이.

새로운!!: 신립와 임진왜란 · 더보기 »

평산 신씨

평산 신씨(平山 申氏)는 황해도 평산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신립와 평산 신씨 · 더보기 »

평안도

조선후기 평안도 평안도(平安道)는 조선 시대의 행정 구역이.

새로운!!: 신립와 평안도 · 더보기 »

이복남

이복남(李福男, 1555년 6월 28일 ~ 1597년 8월 16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무신, 군인이며, 본관은 우계(羽溪)로 자(字)는 수보(綏甫), 시호는 충장(忠壯)이.

새로운!!: 신립와 이복남 · 더보기 »

이이첨

이이첨(李爾瞻, 1560년 ~ 1623년 3월 14일)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신립와 이이첨 · 더보기 »

이일

이일(李鎰, 1538년 ~ 1601년)은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본관은 용인(龍仁)이며, 자는 중경(重卿), 시호는 장양(壯襄)이.

새로운!!: 신립와 이일 · 더보기 »

이주석

이주석(1962년 10월 19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신립와 이주석 · 더보기 »

이순신

광화문 광장의 이순신 동상 이순신(李舜臣, 1545년 4월 28일 ~ 1598년 12월 16일 (음력 11월 19일))은 조선 중기의 무신이.

새로운!!: 신립와 이순신 · 더보기 »

인조반정

인조반정(仁祖反正)은 1623년 4월 11일(음력 3월 12일) 서인 일파가 광해군 및 대북을 몰아내고 능양군 이종을 옹립한 사건을 말.

새로운!!: 신립와 인조반정 · 더보기 »

의정부

의정부(議政府)는 조선의 법제상 최고 정무기관이.

새로운!!: 신립와 의정부 · 더보기 »

정치인

G20 정상회담 정치인(政治人)은 정치에 활발히 참여하거나 매우 밀접한 관련을 갖는 직업을 가진 사람을 말. 정치가(政治家).

새로운!!: 신립와 정치인 · 더보기 »

조총

조총(鳥銃)은 전근대 조선과 중국에서 사용된 아쿼버스급 화승총이.

새로운!!: 신립와 조총 · 더보기 »

조상

조상(祖上)은 자손의 반대 개념이.

새로운!!: 신립와 조상 · 더보기 »

조헌

조헌(趙憲, 1544년 ~ 1592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유학자이자 경세사상가, 의병장이.

새로운!!: 신립와 조헌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신립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명종

명종(明宗, 1534년 7월 3일 (음력 5월 22일)~ 1567년 8월 2일 (음력 6월 28일))은 조선의 제13대 임금이.

새로운!!: 신립와 조선 명종 · 더보기 »

조선 광해군

광해군(光海君, 1575년 6월 4일 (음력 4월 26일) ~ 1641년 8월 7일 (음력 7월 1일))은 조선의 제15대 임금이.

새로운!!: 신립와 조선 광해군 · 더보기 »

조선 인조

인조(仁祖, 1595년 12월 7일 (음력 11월 7일) ~ 1649년 6월 17일 (음력 5월 8일), 재위 기간: 1623년 ~ 1649년)는 조선의 제16대 임금이.

새로운!!: 신립와 조선 인조 · 더보기 »

조선 연산군

연산군(燕山君, 1476년 11월 23일 (음력 11월 7일) ~ 1506년 11월 20일 (음력 11월 6일), 재위 1494년 ~ 1506년)은 조선의 제10대 왕이.

새로운!!: 신립와 조선 연산군 · 더보기 »

조선 선조

선조(宣祖, 1552년 11월 26일 (음력 11월 11일) ~ 1608년 3월 16일 (음력 2월 1일))는 조선의 제14대 임금 (재위 1567년~1608년)이.

새로운!!: 신립와 조선 선조 · 더보기 »

조선 원종

원종(元宗, 1580년 8월 2일/음력 6월 22일 ~ 1619년 음력 12월 29일)은 조선 시대 중기의 왕자, 공신, 왕족이자 추존왕으로 대원군에서 왕으로 추존된 인물이.

새로운!!: 신립와 조선 원종 · 더보기 »

좌의정

좌의정(左議政)은 의정부 3의정의 하나인 정 1품 관직이.

새로운!!: 신립와 좌의정 · 더보기 »

징비록 (드라마)

《징비록》은 KBS 1TV에서 2015년 2월 14일부터 2015년 8월 2일까지 방송된 대하드라마이.

새로운!!: 신립와 징비록 (드라마) · 더보기 »

차기환

환(1960년 7월 16일 ~)은 대한민국의 남성 연극배우, 영화배우, 연기자이.

새로운!!: 신립와 차기환 · 더보기 »

충주 탄금대

충주 탄금대(忠州 彈琴臺)는 충청북도 충주시 칠금동에 있는 명승이.

새로운!!: 신립와 충주 탄금대 · 더보기 »

충주 탄금대 전투

충주 탄금대 전투(忠州彈琴臺戰鬪)는 임진왜란 당시 신립이 이끄는 조선군이 충주 탄금대에서 전멸한 전투이.

새로운!!: 신립와 충주 탄금대 전투 · 더보기 »

충주시

충주시(忠州市)는 대한민국 충청북도 북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신립와 충주시 · 더보기 »

충청북도

충청북도(忠淸北道)는 대한민국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도이.

새로운!!: 신립와 충청북도 · 더보기 »

추증

증(追贈)이란 관료의 사후에 직급을 높이는 일, 또는 관직 없이 죽은 사람에게 사후 관직을 내리는 일을 말.

새로운!!: 신립와 추증 · 더보기 »

판서

서(判書)는 조선의 정 2품 당상관직이며, 행정을 맡아보는 주요 관서인 육조의 우두머리 관직이.

새로운!!: 신립와 판서 · 더보기 »

파평 윤씨

평 윤씨(坡平尹氏)는 경기도 파주시 파평면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신립와 파평 윤씨 · 더보기 »

탄핵

핵(彈劾, Impeachment)은 일반적인 절차에 따른 파면이 곤란하거나 검찰 기관에 의한 소추(訴追)가 사실상 어려운 대통령·국무위원·법관 등 고위공무원을 국회에서 소추하여 해임하거나 처벌하는 행위 혹은 제도이.

새로운!!: 신립와 탄핵 · 더보기 »

영규

갑사 영규대사비 영규(靈圭, 생년 미상 ~ 1592년)는 조선 중기의 승병장으로 임진왜란 당시 의병장 조헌(趙憲)과 함께 활약하였.

새로운!!: 신립와 영규 · 더보기 »

영의정

영의정(領議政)은 의정부 3정승 가운데 하나로 정1품에 해당하는 조선 최고의 중앙관직이었.

새로운!!: 신립와 영의정 · 더보기 »

예조

예조(禮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신립와 예조 · 더보기 »

최경회

경회(崔慶會, 1532년 ~ 1593년)는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임진왜란 당시의 의병장이.

새로운!!: 신립와 최경회 · 더보기 »

최남선

선(崔南善, 1890년 4월 26일 ~ 1957년 10월 10일)은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된 친일 문학가이자 대한민국의 문화운동가이.

새로운!!: 신립와 최남선 · 더보기 »

여진

여진()은 중국의 랴오닝 성, 지린 성, 헤이룽장 성과 한반도의 함경도, 러시아의 연해주, 하바롭스크 지방, 아무르 주에서 거주했던 퉁구스계 민족이.

새로운!!: 신립와 여진 · 더보기 »

사헌부

사헌부는 고려와 조선의 종이품아문 S 조선 최대의 거리, '육조거리' 행정기관이.

새로운!!: 신립와 사헌부 · 더보기 »

선조실록

《선조소경대왕실록》(宣祖昭敬大王實錄) 또는 《선조실록》(宣祖實錄)은 1567년 음력 7월부터 1608년 음력 2월까지 조선 선조 시대의 사실을 기록한 실록이.

새로운!!: 신립와 선조실록 · 더보기 »

성현

성현(成俔, 1439년∼1504년 2월 4일(음력 1월 19일)/1월 25일(음력 1월 9일))은 조선 전기의 대표적인 관료 문인이.

새로운!!: 신립와 성현 · 더보기 »

서인

서인(西人)은 조선 시대 붕당정치 초기의 당파로, 1575년(선조 8)의 동서분당(東西分黨)으로 생긴 당파의 하나이.

새로운!!: 신립와 서인 · 더보기 »

소론

소론(少論)은 조선 붕당정치의 한 당파이.

새로운!!: 신립와 소론 · 더보기 »

함경남도

경남도(咸鏡南道)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동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신립와 함경남도 · 더보기 »

한성부판윤

성부판윤(漢城府判尹)은 조선 시대 한성부를 다스리던 정2품의 관직으로서, 품계는 자헌대부 이상의 품계에 해당되었.

새로운!!: 신립와 한성부판윤 · 더보기 »

신개

신개(申槩, 1374년(공민왕 23년) ∼ 1446년(세종 28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신립와 신개 · 더보기 »

신경희

신경희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신립와 신경희 · 더보기 »

신경희 (1561년)

신경희(申景禧, 1561(명종 16) ∼ 1615(광해군 7)는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이다. 신경희의 옥사로 사형당했다. 신잡의 아들이자 신립의 조카이며, 신경진, 신경인의 사촌 형이다. 해공 신익희에게는 12대 방조가 된다. 본관은 평산. 음보(蔭補)로 벼슬에 나아가 여러 관직을 지내다가 1615년(광해군 7) 정원군의 차남 능창군을 왕위에 옹립하려 했다는 혐의로 의금부에서 국문을 받던 중 장살되었다. 1623년(인조 1) 인조 반정 이후 신원, 복권되었다.

새로운!!: 신립와 신경희 (1561년) · 더보기 »

신경진

신경진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신립와 신경진 · 더보기 »

신자준

신자준(申自準, 생몰년 미상)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이.

새로운!!: 신립와 신자준 · 더보기 »

신잡

신잡(申磼, 1541년~1609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신립와 신잡 · 더보기 »

신흠

신흠(申欽, 1566년 ∼ 1628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신립와 신흠 · 더보기 »

신익희

신익희(申翼熙, 1892년 6월 9일 ~ 1956년 5월 5일)는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며, 교육자, 정치인이.

새로운!!: 신립와 신익희 · 더보기 »

신상

신상은 다음과 같은 뜻으로 쓰인.

새로운!!: 신립와 신상 · 더보기 »

신숭겸

신숭겸(申崇謙, 전라남도 곡성군 용산재, ? ~ 927년 9월?)은 후삼국시대 태봉 말기 및 고려 초기의 무신으로, 고려의 개국 공신으로, 궁예의 부장이었으나 918년 왕건을 추대하여 고려 건국에 기여하였으며 927년 공산 전투에서 왕건의 갑옷을 바꾸어 입고 대신 전사하였.

새로운!!: 신립와 신숭겸 · 더보기 »

신성군

신성군 이후(信城君 李珝, 1579년 1월 6일/1578년 음력 12월 10일 ~ 1592년 12월 8일/음력 11월 5일)는 조선 중기의 왕족 종실이자 선조의 넷째아들(인빈 김씨 소생)이며 오강군 이건의 양자이.

새로운!!: 신립와 신성군 · 더보기 »

왜구

16세기 왜구들의 활동 범위 왜구들의 약탈을 그린 회화 (16세기) 왜구(倭寇)는 통상적으로 고려와 원나라의 연합군이 일본 열도 침략에 실패한 이후인 13세기부터 16세기에 걸쳐 한반도와 중국 대륙의 연안부나 일부 내륙 지역을 약탈하고 밀무역을 행하던 무리를 가리.

새로운!!: 신립와 왜구 · 더보기 »

왕의 얼굴

《왕의 얼굴》은 2014년 11월 19일부터 2015년 2월 5일까지 KBS 2TV에서 방영된 특별기획 드라마이.

새로운!!: 신립와 왕의 얼굴 · 더보기 »

왕의 여자

《왕의 여자》(王의 女子)는 2003년 10월 6일부터 2004년 3월 2일까지 방영되었던 SBS의 42부작 월화 드라마이.

새로운!!: 신립와 왕의 여자 · 더보기 »

KBS 1TV

KBS 1TV(정식명칭은 KBS 제1텔레비전)는 KBS에서 방송되는 TV 채널로서, KBS 2TV와 달리 뉴스·교양·다큐멘터리·스포츠 프로그램 등을 방송.

새로운!!: 신립와 KBS 1TV · 더보기 »

KBS 2TV

KBS 2TV(정식명칭: KBS 제2텔레비전)는 한국방송공사에서 운영·방송되는 텔레비전 채널로서 KBS 1TV와 달리 엔터테인먼트·드라마·어린이 프로그램 등을 주로 방송.

새로운!!: 신립와 KBS 2TV · 더보기 »

SBS

SBS는 다음과 같은 뜻을 가지고 있.;방송.

새로운!!: 신립와 SBS · 더보기 »

10월 23일

10월 2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96번째(윤년일 경우 29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신립와 10월 23일 · 더보기 »

154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신립와 1546년 · 더보기 »

156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신립와 1567년 · 더보기 »

1583년

1583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신립와 1583년 · 더보기 »

1587년

1587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신립와 1587년 · 더보기 »

1590년

1590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신립와 1590년 · 더보기 »

1592년

1592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신립와 1592년 · 더보기 »

1623년

1623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신립와 1623년 · 더보기 »

2003년

2003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신립와 2003년 · 더보기 »

2004년

2004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신립와 2004년 · 더보기 »

2005년

2005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신립와 2005년 · 더보기 »

2014년

2014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신립와 2014년 · 더보기 »

2015년

2015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신립와 2015년 · 더보기 »

4월

4월(四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네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 대한민국에서는 4월이 과학의 달이.

새로운!!: 신립와 4월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충장공 신립, 충장공 신입, 입지 신립, 신 입, 신입.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