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

색인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

충청남도 문화재자료는 문화재자료 중에서 충청남도 내에 있는 문화재자료를 의미.

97 처지: 덕산향교, 도강영당, 망해정, 모덕사, 백화정, 박물관 석탑, 가교비, 결성향교, 보령 보령리 오층석탑, 보령 성주사지 석계단, 보령향교, 보령성곽, 광성부원군 사우, 부여 동남리 석탑, 부여 동사리 석탑, 부여 천왕사지 석조여래입상, 부여 삼충사, 부여동매, 부석사 (서산시), 부성사, 비인읍성, 비인향교, 김거익의 묘, 김복한묘, 김좌진장군묘, 김좌진장군비, 대흥향교, 대한민국의 문화재, 대원군 척화비, 군창지, 두릉산성, 남포향교, 낙화암, 용암영당, 우산성, 이색 신도비, 의열사, 정혜사 (청양군), 정산향교, 조신의 묘, 창강서원, 청양 계봉사 오층석탑, 청양 삼층석탑, 청양향교, 칠산서원, 유경종묘내의유물, 유의각, 팔각정, 태안향교, 수현사, ..., 영일루, 오천향교, 예산 대연사 삼층석탑, 예산 대연사 원통보전, 예산 장복리 삼층석탑, 예산 수덕사 칠층석탑, 예산 향천사 구층석탑, 예산 향천사 천불전, 예산 석곡리 삼층석탑, 예산읍 삼층석탑, 예산향교, 최고운 유적, 표절사 (청양군), 선조대왕 태실비, 성삼문 선생 유허비, 서천 문헌서원, 서천 봉남리 삼층석탑, 서천 지현리 삼층석탑, 서천 지석리 삼층석탑, 서천 수암리 삼층석탑, 서천읍성, 서천향교, 서산 개심사 명부전, 서산 일락사 대웅전, 서산 일락사 삼층석탑, 서산향교, 해미향교, 한산읍성, 한산향교, 홍가신청난비, 홍주향교, 홍주성 수성비, 홍성 광경사지 삼층석탑, 홍성 광경사지 석조여래좌상, 홍성 대교리 석조미륵보살입상, 홍성 용봉사 승탑, 홍성 용봉사지 석조(마애,석구,석조), 황일호의 묘, 화암서원, 12월 23일, 12월 29일, 1984년, 1989년, 1996년, 1997년, 2월 2일, 5월 17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47 더) »

덕산향교

덕산향교(德山鄕校)는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에 있는 조선시대의 향교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덕산향교 · 더보기 »

도강영당

강영당(道江影堂)은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관북리에 있는, 홍가신·허목·채제공의 영정을 봉안하고 제사를 모시는 곳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도강영당 · 더보기 »

망해정

망해정(望海亭)은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에 있던 건축물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망해정 · 더보기 »

모덕사

모덕사(慕德祠)은 충청남도 청양군 목면 나분동에 있는 조선시대의 사당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모덕사 · 더보기 »

백화정

백화정(百花亭)은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쌍북리에 속해 있는 낙화암 위에 건립된 정자로 삼천궁녀의 원혼을 달래기 위해 1929년 세워진 정자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백화정 · 더보기 »

박물관 석탑

박물관 석탑(博物館 石塔)은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국립부여박물관 앞마당에 있는 고려시대의 석탑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박물관 석탑 · 더보기 »

가교비

비(架橋碑)는 충청남도 부여군 옥산면 상기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비석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가교비 · 더보기 »

결성향교

성향교(結城鄕校)는 충청남도 홍성군 결성면 읍내리에 있는 향교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결성향교 · 더보기 »

보령 보령리 오층석탑

보령리 오층석탑(保寧里 五層石塔)은 충청남도 보령시 주포면, 보령중학교에 있는 고려시대의 오층석탑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보령 보령리 오층석탑 · 더보기 »

보령 성주사지 석계단

보령 성주사지 석계단(保寧 聖住寺址 石階段)은 충청남도 보령시 성주면 성주사지에 있는 석계단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보령 성주사지 석계단 · 더보기 »

보령향교

보령향교(保寧鄕校)는 충청남도 보령시 주포면에 있는 조선시대의 향교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보령향교 · 더보기 »

보령성곽

보령성곽(保寧城郭)은 충청남도 보령시 주포면 보령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성곽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보령성곽 · 더보기 »

광성부원군 사우

광성부원군 사우(光城府院君 祠宇)은 충청남도 보령시 청소면 재정리에 있는 사당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광성부원군 사우 · 더보기 »

부여 동남리 석탑

부여 동남리 석탑(扶餘 東南里 石塔)은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관북리, 국립부여박물관에 있는 고려시대의 탑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부여 동남리 석탑 · 더보기 »

부여 동사리 석탑

부여 동사리 석탑(扶餘 東寺里 石塔)은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국립부여박물관에 있는 고려시대의 석탑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부여 동사리 석탑 · 더보기 »

부여 천왕사지 석조여래입상

부여 천왕사지 석조여래입상(부여 천왕사지 石造如來立像)은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국립부여박물관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상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부여 천왕사지 석조여래입상 · 더보기 »

부여 삼충사

부여 삼충사(扶餘 三忠祠)는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에 있는, 백제 시대의 충신이었던 성충, 흥수, 계백을 기리기 위해 지은 사당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부여 삼충사 · 더보기 »

부여동매

부여동매(扶餘冬梅)는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진변리에 있는 매화나무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부여동매 · 더보기 »

부석사 (서산시)

부석사(浮石寺)는 충청남도 서산시 부석면 취평리 도비산 기슭에 있는 사찰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부석사 (서산시) · 더보기 »

부성사

부성사(富城祠)는 충청남도 서산시 지곡면 산성리에 있는, 신라 후기 학자이자 문장가였던 최치원(857∼?)선생의 영정을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사당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부성사 · 더보기 »

비인읍성

비인읍성(庇仁邑城)은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성내리에 있는 읍성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비인읍성 · 더보기 »

비인향교

비인향교(庇仁鄕校)는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에 있는 조선시대의 향교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비인향교 · 더보기 »

김거익의 묘

익의묘(金居翼의墓)는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중정리에 있는, 고려 후기 문신이었던 김거익 선생의 묘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김거익의 묘 · 더보기 »

김복한묘

복한묘(金福漢墓)는 충청남도 홍성군 서부면 이호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의병장인 지산(志山) 김복한(1860∼1924)의 묘소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김복한묘 · 더보기 »

김좌진장군묘

좌진장군묘(金佐鎭將軍墓)는 충청남도 보령시 청소면 재정리에 있는 한국의 독립운동가 백야 김좌진의 묘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김좌진장군묘 · 더보기 »

김좌진장군비

좌진장군비(金佐鎭將軍碑)는 충청남도 홍성군 갈산면 행산리에 있는, 김좌진 장군의 업적을 기념하기 위해 세운 비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김좌진장군비 · 더보기 »

대흥향교

흥향교(大興鄕校)는 충청남도 예산군 대흥면에 있는 조선시대의 향교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대흥향교 · 더보기 »

대한민국의 문화재

민국의 문화재는 건물·조각·악보·악기·공예품·서적·서예·고문서 등의 유물·유적 가운데 역사적·예술적 가치가 높거나 역사 연구에 자료가 되는 유형문화재, 민속문화재(민속자료), 기념물, 연주·무용·공예·기술 등에서 역사적·예술적 가치가 높은 무형문화재 등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대한민국의 문화재 · 더보기 »

대원군 척화비

원군척화비는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대원군 척화비 · 더보기 »

군창지

창지(軍倉址)는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부소산성에 있는, 백제 때 군대에서 쓸 식량을 비축해 두었던 창고터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군창지 · 더보기 »

두릉산성

릉산성(豆陵山城)은 충청남도 청양군 정산면에 있는 백제의 산성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두릉산성 · 더보기 »

남포향교

향교(藍捕鄕校)는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에 있는 조선시대의 향교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남포향교 · 더보기 »

낙화암

낙화암(落花岩)은 충청남도 부여군 부소산에 있는 바위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낙화암 · 더보기 »

용암영당

용암영당(龍岩影堂)은 충청남도 보령시 미산면 용수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사당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용암영당 · 더보기 »

우산성

우산성(牛山城)은 충청남도 청양군 청양읍에 있는 백제의 산성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우산성 · 더보기 »

이색 신도비

이색 신도비(李穡 神道碑)는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영모리에 있는 고려시대의 비석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이색 신도비 · 더보기 »

의열사

의열사(義烈祠)는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에 있는, 백제의 성충·흥수·계백과 고려 후기의 충신 이존오를 위해 부여현감 홍가신이 세운 사당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의열사 · 더보기 »

정혜사 (청양군)

정혜사(定慧寺)는 충청남도 청양군 장평면 화산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절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정혜사 (청양군) · 더보기 »

정산향교

정산향교(定山鄕校)는 충청남도 청양군 정산면에 있는 조선시대의 향교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정산향교 · 더보기 »

조신의 묘

조신의 묘(趙愼의 墓)는 충청남도 부여군 장암면 점상리에 있는, 고려 후기의 학자이자 충절인 조신 선생의 묘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조신의 묘 · 더보기 »

창강서원

창강서원(滄江書院)은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저석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서원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창강서원 · 더보기 »

청양 계봉사 오층석탑

청양 계봉사 오층석탑(靑陽 鷄鳳寺 五層石塔)은 충청남도 청양군 목면, 계봉사의 정원 가운데 서 있는 고려시대의 오층석탑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청양 계봉사 오층석탑 · 더보기 »

청양 삼층석탑

청양 삼층석탑(靑陽 三層石塔)은 충청남도 청양군, 용암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삼층석탑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청양 삼층석탑 · 더보기 »

청양향교

청양향교(靑陽鄕校)는 충청남도 청양군 청양읍에 있는 조선시대의 향교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청양향교 · 더보기 »

칠산서원

산서원(七山書院)은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칠산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서원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칠산서원 · 더보기 »

유경종묘내의유물

유경종묘내의유물(柳慶宗墓內의遺物)은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국립부여박물관에 있는 유물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유경종묘내의유물 · 더보기 »

유의각

유의각(遺衣閣)은 충청남도 청양군 운곡면 위라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사당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유의각 · 더보기 »

팔각정

각정(八角井)은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쌍북리에 있는, 삼국시대의 백제 왕궁에서 이용하였다고 전해지는 우물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팔각정 · 더보기 »

태안향교

안향교(泰安鄕校)는 충청남도 태안군 태안읍에 있는 조선시대의 향교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태안향교 · 더보기 »

수현사

수현사(水鉉祠)는 고려 후기의 명신 염제신과 그의 아들 염국보의 위패를 모시고 있는 사당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수현사 · 더보기 »

영일루

영일루(迎日樓)는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쌍북리, 부소산 동쪽 봉우리에 자리잡고 있는 누각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영일루 · 더보기 »

오천향교

오천향교(鰲川鄕校)는 대한민국 충청남도 보령시 오천면 교성에 있는 조선시대의 향교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오천향교 · 더보기 »

예산 대연사 삼층석탑

연사 삼층석탑(大蓮寺 三層石塔)은 충청남도 예산군 광시면의 대연사(大蓮寺)에 있는 고려시대의 삼층석탑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예산 대연사 삼층석탑 · 더보기 »

예산 대연사 원통보전

예산 대연사 원통보전(禮山 大蓮寺 圓通寶殿)은 충청남도 예산군 광시면 동산리, 대연사에 있는 원통보전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예산 대연사 원통보전 · 더보기 »

예산 장복리 삼층석탑

예산 장복리 삼층석탑(禮山 長福里 三層石塔)은 충청남도 예산군 대술면 장복리에 있는, 고려시대의 삼층석탑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예산 장복리 삼층석탑 · 더보기 »

예산 수덕사 칠층석탑

예산 수덕사 칠층석탑(禮山 修德寺 七層石塔)은 충청남도 예산군 수덕사에 있는, 일제강점기의 칠층석탑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예산 수덕사 칠층석탑 · 더보기 »

예산 향천사 구층석탑

예산 향천사 구층석탑(禮山 香泉寺 九層石塔)은 충청남도 예산군 예산읍, 향천사 나한전 앞에 있는 삼국시대의 구층석탑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예산 향천사 구층석탑 · 더보기 »

예산 향천사 천불전

예산 향천사 천불전(禮山 香泉寺 千佛殿)은 충청남도 예산군 예산읍 향천리, 향천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예산 향천사 천불전 · 더보기 »

예산 석곡리 삼층석탑

예산 석곡리 석탑(禮山 石谷里 石塔)은 충청남도 예산군 고덕면 석곡리에 있는 석탑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예산 석곡리 삼층석탑 · 더보기 »

예산읍 삼층석탑

예산읍 삼층석탑(禮山邑 三層石塔)은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보덕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삼층석탑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예산읍 삼층석탑 · 더보기 »

예산향교

예산향교(禮山鄕校)는 충청남도 예산군 예산읍에 있는 조선시대의 향교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예산향교 · 더보기 »

최고운 유적

운 유적(崔孤雲 遺蹟)은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월전리에 있는 통일신라의 유적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최고운 유적 · 더보기 »

표절사 (청양군)

절사(表節祠)는 충청남도 청양군 운곡면 모곡리에 있는 사당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표절사 (청양군) · 더보기 »

선조대왕 태실비

선조대왕 태실비(宣祖大王 胎室碑)는 충청남도 부여군 충화면 오덕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조선 선조의 태실비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선조대왕 태실비 · 더보기 »

성삼문 선생 유허비

성삼문 선생 유허비(成三問 先生 遺墟碑)는 충청남도 홍성군 홍북면 노은리에 있는, 조선시대 성삼문(1418∼1456) 선생의 공적을 적은 비석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성삼문 선생 유허비 · 더보기 »

서천 문헌서원

문헌서원(文獻書院)은 고려 말의 학자인 가정 이곡과 목은 이색을 배향하기 위해 만든 조선시대의 서원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서천 문헌서원 · 더보기 »

서천 봉남리 삼층석탑

봉남리 삼층석탑(峰南里 三層石塔)은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에 있는 고려시대의 삼층석탑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서천 봉남리 삼층석탑 · 더보기 »

서천 지현리 삼층석탑

현리 삼층석탑(芝峴里 三層石塔)은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에 있는 고려시대의 삼층석탑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서천 지현리 삼층석탑 · 더보기 »

서천 지석리 삼층석탑

석리 삼층석탑(支石里 三層石塔)은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에 있는 조선시대의 삼층석탑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서천 지석리 삼층석탑 · 더보기 »

서천 수암리 삼층석탑

수암리 삼층석탑(水岩里 三層石塔)은 충청남도 서천군 문산면에 있는 조선시대의 삼층석탑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서천 수암리 삼층석탑 · 더보기 »

서천읍성

서천읍성(舒川邑城)은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에 있는 조선시대의 읍성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서천읍성 · 더보기 »

서천향교

서천향교(舒川鄕校)는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에 있는 조선시대의 향교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서천향교 · 더보기 »

서산 개심사 명부전

심사명부전(開心寺冥府殿)은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개심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서산 개심사 명부전 · 더보기 »

서산 일락사 대웅전

서산 일락사 대웅전(瑞山 日樂寺 大雄殿)은 충청남도 서산시 해미면 일락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대웅전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서산 일락사 대웅전 · 더보기 »

서산 일락사 삼층석탑

서산 일락사 삼층석탑(瑞山 日樂寺 三層石塔)은 충청남도 서산시 해미면 일락사에 있는 삼층석탑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서산 일락사 삼층석탑 · 더보기 »

서산향교

서산향교(瑞山鄕校)는 충청남도 서산시 동문동에 있는 조선시대의 향교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서산향교 · 더보기 »

해미향교

미향교(海美鄕校)는 충청남도 서산시 해미면에 있는 조선시대의 향교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해미향교 · 더보기 »

한산읍성

산읍성(韓山邑城)은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에 있는 읍성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한산읍성 · 더보기 »

한산향교

산향교(韓山鄕校)는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에 있는 조선시대의 향교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한산향교 · 더보기 »

홍가신청난비

홍가신청난비(洪可臣淸亂碑)는 충청남도 홍성군 홍성읍 월산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홍가신청난비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홍가신청난비 · 더보기 »

홍주향교

홍주향교(洪州鄕校)는 충청남도 홍성군 홍성읍에 있는 향교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홍주향교 · 더보기 »

홍주성 수성비

홍주성 수성비(洪州城 修城碑)는 충청남도 홍성군 홍성읍 오관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비석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홍주성 수성비 · 더보기 »

홍성 광경사지 삼층석탑

홍성 광경사지 삼층석탑(洪城 廣景寺址 三層石塔)은 충청남도 홍성군, 홍성여자중학교 내에 있는 삼층석탑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홍성 광경사지 삼층석탑 · 더보기 »

홍성 광경사지 석조여래좌상

홍성 광경사지 석조여래좌상(洪城 廣景寺址 石造如來坐像)은 충청남도 홍성군에 있는 석불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홍성 광경사지 석조여래좌상 · 더보기 »

홍성 대교리 석조미륵보살입상

홍성 대교리 석조미륵보살입상(禮山 大橋里 石造彌勒菩薩立像)은 충청남도 홍성군 홍성읍 대교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석조 미륵보살 입상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홍성 대교리 석조미륵보살입상 · 더보기 »

홍성 용봉사 승탑

홍성 용봉사 승탑(洪城 龍鳳寺 僧塔)은 충청남도 홍성군 홍북면 신경리, 용봉사에 있는 승탑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홍성 용봉사 승탑 · 더보기 »

홍성 용봉사지 석조(마애,석구,석조)

홍성 용봉사지 석조(마애,석구,석조)(洪城 龍鳳寺址 石造(碼애,石臼,石槽))는 충청남도 홍성군 용봉사지에 있는 석조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홍성 용봉사지 석조(마애,석구,석조) · 더보기 »

황일호의 묘

황일호의묘(黃一晧의墓)는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가증리에 있는, 조선 중기의 문신이며 충절인 지소(芝所) 황일호(1588∼1641) 선생의 묘소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황일호의 묘 · 더보기 »

화암서원

화암서원은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화암서원 · 더보기 »

12월 23일

12월 2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57번째(윤년일 경우 35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12월 23일 · 더보기 »

12월 29일

12월 2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63번째(윤년일 경우 36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12월 29일 · 더보기 »

1984년

1984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1984년 · 더보기 »

1989년

1989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1989년 · 더보기 »

1996년

1996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1996년 · 더보기 »

1997년

1997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1997년 · 더보기 »

2월 2일

2월 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3번째(윤년일 경우도 3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2월 2일 · 더보기 »

5월 17일

5월 1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37번째(윤년일 경우 13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01호 ~ 제200호)와 5월 17일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