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

색인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

충청남도 유형문화재는 지방유형문화재 중에서 충청남도에 있는 문화재를 의미.

155 처지: 문수사 지장시왕탱화 및 복장유물 일괄, 개심사명 청동은입사향완, 보령 금강암 석불 및 비편, 보령 유격장군 청덕비, 공주 마곡사 대웅보전 목조삼세불상, 공주 마곡사 포교당 범종, 공주 마곡사 영산회상도, 공주 마곡사 심검당 및 고방, 공주 갑사 대적전, 공주 갑사 대웅전, 공주 갑사 삼세불도, 공주 갑사 소조삼세불, 공주 중동성당, 공주 상세동 산신도, 공주 영은사 목조관음보살좌상, 공주 영은사 청동범종, 계룡 사계고택, 부여 무량사 동종, 부여 무량사 미륵불괘불탱, 부여 무량사 극락전 후불탱, 부여 무량사 지장보살 및 시왕상 일괄, 부여 무량사 삼전패, 부여 무량사 소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부여 금사리성당, 부여 김동효 영정, 부여 정언욱 영정 및 초본, 부여 사택지적비, 부여 홍산 상천리 마애불입상, 금산 보석사 대웅전, 금산 신안사 극락전, 금산 신안사 아미타삼존불좌상, 김계휘 신도비, 김장생 문묘배향 교지, 대천 한내돌다리, 대한민국의 문화재, 남평조씨 병자일기, 논산 돈암서원 응도당, 논산 돈암서원 유경사, 논산 고정리 양천허씨정려, 논산 종학당, 논산 충헌사, 논산 상도리 마애여래입상, 논산 영사암, 당진 영탑사 약사여래상, 용서·봉계·성재공 문집 판각, 포저유서 및 송곡문집 판각, 흥학당, 이산해 초상, 전운상 영정, 전일상영정및한유도, ..., 채제공선생영정, 청양 장곡사 설선당, 청양 영모재, 청양 화정사 범종, 천안 광덕사 삼층석탑, 천안 광덕사 삼세불도, 천안 은석사 목조여래좌상, 천안 성거산 천성사명 금동보살입상, 천안 성불사 마애석가삼존 16나한상 및 불입상, 초려이유태유고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추포황신선생종가유물, 태조대왕태실, 태안 목애당, 태안 몽산리 석가여래좌상, 태안 경이정, 태안 흥주사 만세루, 오천 수영 관아, 예산 보덕사 극락전, 예산 대흥동헌 및 아문, 예산 이성만형제효제비, 예산 수덕사 삼층석탑, 예산 삼길암 목조관음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일괄, 예산 송림사 부도, 향천사 범종, 석성동헌, 세종 기룡리 효교비, 세종 비암사 영산회괘불탱, 세종 비암사 삼층석탑, 세종 비암사 소조아미타여래좌상, 서산 동문동 당간지주, 서산 동문동 오층석탑, 서산 명종대왕 태실 및 비, 서산 객사, 서산 간월암 목조보살좌상, 서산 김두징 묘비, 서산 천장사 아미타후불탱화, 서산 여미리 석불입상, 아계 이산해 유품, 아산 세심사 불설대보부모은중경판, 아산 세심사 신중도, 홍산 형방청, 홍산동헌, 홍성 고산사 소조아미타여래좌상, 홍성 용봉사 마애불, 10월 30일, 10월 31일, 10월 7일, 11월 11일, 11월 12일, 11월 19일, 11월 30일, 12월 23일, 12월 29일, 12월 30일, 12월 31일, 12월 3일, 12월 8일, 1983년, 1984년, 1985년, 1986년, 1987년, 1989년, 1990년, 1991년, 1992년, 1993년, 1995년, 1996년, 1997년, 1998년, 1월 10일, 1월 11일, 1월 20일,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2년, 2013년, 2014년, 3월 6일, 4월 10일, 4월 20일, 6월 27일, 6월 30일, 7월 10일, 7월 19일, 7월 1일, 7월 21일, 7월 25일, 7월 26일, 8월 10일, 8월 17일, 8월 3일, 8월 8일, 9월 20일, 9월 27일, 9월 29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05 더) »

문수사 지장시왕탱화 및 복장유물 일괄

문수사 지장시왕탱화 및 복장유물 일괄(文殊寺 地藏十王幀畵 및 腹藏遺物 一括)은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사천시, 수덕사 근역성보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탱화 및 복장유물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문수사 지장시왕탱화 및 복장유물 일괄 · 더보기 »

개심사명 청동은입사향완

심사명 청동은입사향완(開心寺銘 靑銅銀入絲香垸)은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사천리, 수덕사 근역성보관에 소장된 개심사의 향로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개심사명 청동은입사향완 · 더보기 »

보령 금강암 석불 및 비편

보령 금강암 석불 및 비편(保寧 金剛庵 石佛 및 碑片)은 충청남도 보령시 금강암에 있는 석불과 비편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보령 금강암 석불 및 비편 · 더보기 »

보령 유격장군 청덕비

보령 유격장군 청덕비(保寧 遊擊將軍 淸德碑)는 충청남도 보령시에 있는, 1598년 4월에 세운 유격장군(遊擊將軍) 계금(季金)의 청덕비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보령 유격장군 청덕비 · 더보기 »

공주 마곡사 대웅보전 목조삼세불상

공주 마곡사 대웅보전 목조삼세불상(公州 麻谷寺 大雄寶殿 木造三世佛像)은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마곡사 대웅보전에 봉안되어 있는 조선시대의 불상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공주 마곡사 대웅보전 목조삼세불상 · 더보기 »

공주 마곡사 포교당 범종

공주 마곡사 포교당 범종(公州 麻谷寺 布敎堂 梵鐘)은 충청남도 공주시, 마곡사 포교당에 있는 조선시대의 범종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공주 마곡사 포교당 범종 · 더보기 »

공주 마곡사 영산회상도

공주 마곡사 영산회상도(公州 麻谷寺 靈山會上圖)은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마곡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탱화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공주 마곡사 영산회상도 · 더보기 »

공주 마곡사 심검당 및 고방

공주 마곡사 심검당 및 고방(公州 麻谷寺 尋劍堂 및 庫房)은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마곡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공주 마곡사 심검당 및 고방 · 더보기 »

공주 갑사 대적전

공주 갑사 대적전(公州 甲寺 大寂殿)은 충청남도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갑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공주 갑사 대적전 · 더보기 »

공주 갑사 대웅전

공주 갑사 대웅전(公州 甲寺 大雄殿)은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갑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공주 갑사 대웅전 · 더보기 »

공주 갑사 삼세불도

공주갑사삼세불도(公州甲寺三世佛圖)은 충청남도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갑사에 있는 불화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공주 갑사 삼세불도 · 더보기 »

공주 갑사 소조삼세불

갑사 소조삼세불(甲寺 塑造三世佛)은 충청남도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갑사에 있는 불상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공주 갑사 소조삼세불 · 더보기 »

공주 중동성당

공주 중동성당(公州 中洞聖堂)은 충청남도 공주시에 있는 일제강점기의 건축물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공주 중동성당 · 더보기 »

공주 상세동 산신도

공주 상세동 산신도(公州 上細洞 山神圖)은 충청남도 공주시 상세동 마을회에서 소장하고 있는 산신도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공주 상세동 산신도 · 더보기 »

공주 영은사 목조관음보살좌상

공주 영은사 목조관음보살좌상(公州 靈隱寺 木造觀音菩薩坐像)은 공주 공산성(사적 제12호) 내의 영은사 원통전에 있는 목조관음보살좌상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공주 영은사 목조관음보살좌상 · 더보기 »

공주 영은사 청동범종

공주 영은사 청동범종(公州 靈隱寺 靑銅梵鐘)은 충청남도 공주시 영은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법종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공주 영은사 청동범종 · 더보기 »

계룡 사계고택

룡 사계고택(鷄龍 沙溪古宅)은 충청남도 계룡시에 있는, 김장생(1548∼1631)이 말년에 살았던 사랑채 건물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계룡 사계고택 · 더보기 »

부여 무량사 동종

부여 무량사 동종(扶餘 無量寺 銅鐘)은 충청남도 부여군에 있는 동종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부여 무량사 동종 · 더보기 »

부여 무량사 미륵불괘불탱

부여 무량사 미륵불괘불탱(扶餘 無量寺 彌勒佛掛佛幀)은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무량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탱화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부여 무량사 미륵불괘불탱 · 더보기 »

부여 무량사 극락전 후불탱

부여 무량사 극락전 후불탱(扶餘 無量寺 極樂殿 後佛幀)은 충청남도 부여군, 무량사 극락전에 있는 불화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부여 무량사 극락전 후불탱 · 더보기 »

부여 무량사 지장보살 및 시왕상 일괄

부여 무량사 지장보살 및 시왕상 일괄(扶餘 無量寺 地藏菩薩 및 十王像 一括)은 충청남도 부여군, 무량사 명부전에는 중앙 불단 위에 있는 불상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부여 무량사 지장보살 및 시왕상 일괄 · 더보기 »

부여 무량사 삼전패

부여 무량사 삼전패(扶餘 無量寺 三殿牌)는 충청남도 부여군, 무량사에 소장되어 있는 나무로 만든 전패 3기로, 규모는 높이 150cm, 폭 53.5cm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부여 무량사 삼전패 · 더보기 »

부여 무량사 소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부여 무량사 소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扶餘 無量寺 塑造阿彌陀如來三尊坐像)은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무량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상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부여 무량사 소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 더보기 »

부여 금사리성당

부여 금사리성당(扶餘 金寺里聖堂)은 충청남도 부여군 구룡면에 있는 대한제국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부여 금사리성당 · 더보기 »

부여 김동효 영정

부여 김동효 영정(扶餘 金東孝 影幀)은 충청남도 부여군에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인 연당 김동효 선생의 초상화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부여 김동효 영정 · 더보기 »

부여 정언욱 영정 및 초본

부여 정언욱 영정 및 초본은 충청남도 부여군에 있는, 정언욱의 63세 때 모습을 이유덕이 영조51년(1775년) 비단에 그린 초상화이다 2007년 10월 30일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93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부여 정언욱 영정 및 초본 · 더보기 »

부여 사택지적비

사택지적비(砂宅智積碑)는 백제 의자왕 때 사택지적(砂宅智積)이 세운 비석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부여 사택지적비 · 더보기 »

부여 홍산 상천리 마애불입상

부여 상천리 마애불입상(扶餘 上川里 磨崖佛立像)은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상천리구산 중턱에 있는 고려시대의 마애여래입상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부여 홍산 상천리 마애불입상 · 더보기 »

금산 보석사 대웅전

산 보석사 대웅전(錦山 寶石寺 大雄殿)은 충청남도 금산군에 있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규모의 다포식 맞배지붕 건물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금산 보석사 대웅전 · 더보기 »

금산 신안사 극락전

산 신안사 극락전(錦山 身安寺 極樂殿)은 충청남도 금산군 신안사에 있는 정면 3칸, 측면 3칸 규모의 겹처마 맞배지붕 건물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금산 신안사 극락전 · 더보기 »

금산 신안사 아미타삼존불좌상

산 신안사 아미타삼존불좌상(錦山 身安寺 阿彌陀三尊佛坐像)은 충청남도 금산군 제원면 신안리에 있는 조선 초기의 삼존불상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금산 신안사 아미타삼존불좌상 · 더보기 »

김계휘 신도비

휘 신도비(金繼輝 神道碑)는 충청남도 논산시에 있는, 조선 중기의 문신인 김계휘 선생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것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김계휘 신도비 · 더보기 »

김장생 문묘배향 교지

장생 문묘배향 교지(金長生 文廟配享 敎旨)는 충청남도 논산시에 있는, 조선 중기의 대학자인 사계 김장생(1548∼1631) 선생을 문묘에 제사지내도록 숙종 43년(1717)에 내린 교지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김장생 문묘배향 교지 · 더보기 »

대천 한내돌다리

리(大川 한내돌다리)는 충청남도 보령시 대천천 하류에 있었던 다리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대천 한내돌다리 · 더보기 »

대한민국의 문화재

민국의 문화재는 건물·조각·악보·악기·공예품·서적·서예·고문서 등의 유물·유적 가운데 역사적·예술적 가치가 높거나 역사 연구에 자료가 되는 유형문화재, 민속문화재(민속자료), 기념물, 연주·무용·공예·기술 등에서 역사적·예술적 가치가 높은 무형문화재 등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대한민국의 문화재 · 더보기 »

남평조씨 병자일기

평조씨 병자일기(南平曺氏 丙子日記)는, 조선(朝鮮) 인조(仁祖) 때 좌의정(左議政)을 지낸 남이웅(南以雄)의 부인인 남평 조씨(1574~1645)가 쓴 일기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남평조씨 병자일기 · 더보기 »

논산 돈암서원 응도당

산 돈암서원 응도당(論山 遯岩書院 凝道堂)은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논산 돈암서원 응도당 · 더보기 »

논산 돈암서원 유경사

산 돈암서원 유경사(論山 遯岩書院 惟敬祠)는 충청남도 논산시에 있는, 인조 12년(1634)에 세웠진 조선시대 사립교육기관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논산 돈암서원 유경사 · 더보기 »

논산 고정리 양천허씨정려

산 고정리 양천허씨정려(論山 高井里 陽川許氏旌閭)는 충청남도 논산시에 있는, 김장생의 7대 할머니인 허씨의 정려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논산 고정리 양천허씨정려 · 더보기 »

논산 종학당

산 종학당(論山 宗學堂)은 충청남도 논산시에 있는, 파평 윤씨 문중의 자녀와 내외척, 처가의 자녀들이 모여 합숙교육을 받던 교육도장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논산 종학당 · 더보기 »

논산 충헌사

산 충헌사(論山 忠憲祠)은 충청남도 논산시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논산 충헌사 · 더보기 »

논산 상도리 마애여래입상

산 상도리 마애여래입상(論山 上道里 磨崖如來立像)은 충청남도 논산시 상도리에 있는, 마애불 입상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논산 상도리 마애여래입상 · 더보기 »

논산 영사암

산 영사암(論山 永思庵)은 충청남도 논산시에 있는, 조선 세조(재위 1455∼1468) 때 좌의정을 지낸 김국광과 김겸광 형제가 부모님이 돌아가신 후 3년간 무덤을 지키던 자리에 세운 암자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논산 영사암 · 더보기 »

당진 영탑사 약사여래상

당진 영탑사 약사여래상(唐津 靈塔寺 藥師如來像)은 충청남도 당진시 면천면 상왕산 영탑사(靈塔寺)의 우뚝 선 암벽에 돋을새김 한 높이 3.5m의 불상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당진 영탑사 약사여래상 · 더보기 »

용서·봉계·성재공 문집 판각

용서·봉계·성재공 문집 판각(龍西·鳳溪·省齋公 文集 板刻)은 충청남도 논산시에 있는, 조선조 학자 용서 윤원거(尹元擧)(1601∼1672), 봉계 윤유(1647∼1721), 성재공 민준의 문집들을 새긴 목판으로, 모두 150매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용서·봉계·성재공 문집 판각 · 더보기 »

포저유서 및 송곡문집 판각

저유서 및 송곡문집 판각(浦渚遺書 및 松谷文集 板刻)은 충청남도 공주시 마곡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문신인 포저 조익(趙翼,1579∼1655)과 그의 셋째 아들 송곡 조복양(趙復陽,1609∼1661)의 시문집을 새긴 목판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포저유서 및 송곡문집 판각 · 더보기 »

흥학당

흥학당은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흥학당 · 더보기 »

이산해 초상

이산해 초상(李山海 肖像)은 조선 후기의 문신인 이산해를 그린 초상화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이산해 초상 · 더보기 »

전운상 영정

전운상 영정(田雲祥 影幀)은 충청남도 홍성군에 있는, 조선 후기의 무신인 전운상(1694∼1760) 선생의 초상화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전운상 영정 · 더보기 »

전일상영정및한유도

전일상 영정 및 한유도(田日 祥影幀 및 閒遊圖)는 충청남도 예산군에 있는, 조선시대의 무신인 석천 전일상(1700∼1753) 선생의 초상화 1점과 선생이 한가로이 더위를 피하고 있는 풍경을 그린 한유도 1점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전일상영정및한유도 · 더보기 »

채제공선생영정

제공선생영정(蔡濟恭先生影幀)은 충청남도 청양군에 있던 조선시대의 채제공선생의 영정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채제공선생영정 · 더보기 »

청양 장곡사 설선당

청양 장곡사 설선당(靑陽 長谷寺 說禪堂)은 충청남도 청양군 장곡사에 있는 하대웅전 왼쪽에 동향하여 세워진 스님들이 거처하는 건물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청양 장곡사 설선당 · 더보기 »

청양 영모재

청양 영모재(靑陽 永慕齋)는 충청남도 청양군에 있는, 현종 9년(1668)에 함평 이씨 문중회의를 통해 지어진 청양 함평 이씨 재사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청양 영모재 · 더보기 »

청양 화정사 범종

청양 화정사 범종(靑陽 和鼎寺 梵鐘)은 충청남도 청양군 화정사에 있는 범종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청양 화정사 범종 · 더보기 »

천안 광덕사 삼층석탑

안 광덕사 삼층석탑(天安 廣德寺 三層石塔)은 충청남도 천안시 광덕사에 있는 삼층석탑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천안 광덕사 삼층석탑 · 더보기 »

천안 광덕사 삼세불도

안 광덕사 삼세불도(天安 廣德寺 三世佛圖)는 충청남도 천안시, 광덕사 대웅전의 후불탱화로 조성된 조선시대의 삼세불화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천안 광덕사 삼세불도 · 더보기 »

천안 은석사 목조여래좌상

안 은석사 목조여래좌상(天安 銀石寺 木造如來坐像)은 충청남도 천안시 은석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상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천안 은석사 목조여래좌상 · 더보기 »

천안 성거산 천성사명 금동보살입상

안 성거산 천성사명 금동보살입상(天安 聖居山 千聖寺銘 金銅菩薩立像)은 충청남도 천안시, 만일사 대웅전에 있는 모셔진 관음상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천안 성거산 천성사명 금동보살입상 · 더보기 »

천안 성불사 마애석가삼존 16나한상 및 불입상

안 성불사 마애석가삼존 16나한상 및 불입상(天安 成佛寺 磨崖釋迦三尊 16羅漢像 및 佛立像)은 충청남도 천안시, 성불사 대웅전 뒤편 산자락 끝에 우뚝 서있는 바위의 양측면에 새겨진 마애불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천안 성불사 마애석가삼존 16나한상 및 불입상 · 더보기 »

초려이유태유고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이유태유고(草廬李惟泰遺稿)는 충청남도 공주시 공주대학교박물관에 있는, 이유태(1607∼1684) 선생이 남긴 문집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초려이유태유고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 더보기 »

추포황신선생종가유물

황신선생종가유물(秋浦黃愼先生宗家遺物)은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용정리의 조선 중기의 문신 황신 종가에 보관되어 전해 오는 문서와 유물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추포황신선생종가유물 · 더보기 »

태조대왕태실

조대왕태실(太祖大王胎室)은 충청남도 금산군에 있는,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의 태(胎)를 안치했던 곳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태조대왕태실 · 더보기 »

태안 목애당

안 목애당(泰安 牧愛堂)은 충청남도 태안군에 있는 조선시대의 지방 관아건물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태안 목애당 · 더보기 »

태안 몽산리 석가여래좌상

안 몽산리 석가여래좌상(泰安 夢山里 釋迦如來坐像)은 충청남도 태안군 청계산 기슭에 위치한 죽사(竹寺)의 절터에 있는 불상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태안 몽산리 석가여래좌상 · 더보기 »

태안 경이정

안 경이정(泰安 憬夷亭)은 충청남도 태안군에 있는, 조선시대 관청건물의 일부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태안 경이정 · 더보기 »

태안 흥주사 만세루

안 흥주사 만세루(泰安 興住寺 萬歲樓)는 충청남도 태안군 태안읍의 뒷산 백화산 줄기의 동남편 산중턱에 자리한 고려시대 절인 흥주사의 중문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태안 흥주사 만세루 · 더보기 »

오천 수영 관아

오천수영관아(鰲川水營官衙)는 충청남도 보령시에 있는 조선시대 충청수영청의 관청 건물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오천 수영 관아 · 더보기 »

예산 보덕사 극락전

예산 보덕사 극락전(禮山 報德寺 極樂殿)은 충청남도 예산군에 있는, 앞면 3칸·옆면 2칸의 규모의 조선시대 건축물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예산 보덕사 극락전 · 더보기 »

예산 대흥동헌 및 아문

예산 대흥동헌 및 아문(禮山 大興東軒 및 衙門)은 충청남도 예산군에 있는 조선시대의 관아 건물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예산 대흥동헌 및 아문 · 더보기 »

예산 이성만형제효제비

예산 이성만형제효제비(禮山 李成萬兄弟孝悌碑)는 충청남도 예산군에 있는, 고려 전기의 사람인 이성만·이순 형제의 효행과 형제의 의를 기리기 위해 세운 비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예산 이성만형제효제비 · 더보기 »

예산 수덕사 삼층석탑

예산 수덕사 삼층석탑(禮山 修德寺 三層石塔)은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수덕사 대웅전 앞에 자리한 고려시대의 삼층석탑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예산 수덕사 삼층석탑 · 더보기 »

예산 삼길암 목조관음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일괄

예산 삼길암 목조관음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일괄(禮山 三吉庵 木造觀音菩薩坐像 및 腹藏遺物 一括)은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수덕사 근역성보관에 있는 나무로 만든 관음보살좌상 및 복장유물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예산 삼길암 목조관음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일괄 · 더보기 »

예산 송림사 부도

예산 송림사 부도(禮山 松林寺 浮屠)는 충청남도 예산군 송림사에 있는 고려시대 승탑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예산 송림사 부도 · 더보기 »

향천사 범종

향천사 범종(香泉寺 梵鐘)은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사천리, 수덕사 근역성보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범종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향천사 범종 · 더보기 »

석성동헌

부여 석성동헌(扶餘 石城東軒)은 충청남도 부여군에 있는, 조선시대의 지방 관아건물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석성동헌 · 더보기 »

세종 기룡리 효교비

세종 기룡리 효교비(世宗 起龍里 孝橋碑)는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기룡리에 있는 비(碑)로, 효성이 지극했던 홍씨 집안을 기리기 위해 후손들이 세운 것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세종 기룡리 효교비 · 더보기 »

세종 비암사 영산회괘불탱

세종 비암사 영산회괘불탱(世宗 卑岩寺 靈山會掛佛幀)은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비암사 사찰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화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세종 비암사 영산회괘불탱 · 더보기 »

세종 비암사 삼층석탑

세종 비암사 삼층석탑((世宗 碑岩寺 三層石塔)은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비암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삼층석탑이다. 2012년 12월 31일 세종특별자치시의 유형문화재 제3호로 지정되었다.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세종 비암사 삼층석탑 · 더보기 »

세종 비암사 소조아미타여래좌상

세종 비암사 소조아미타여래좌상((世宗 碑岩寺 塑造阿彌陀如來坐像)은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비암사 극락보전 안에 봉안되어 있는 아미타불좌상이다. 2012년 12월 31일 세종특별자치시의 유형문화재 제13호로 지정되었다. 세종특별자치시 고시 제2012-63호, 《세종특별자치시 지정문화재 및 문화재자료 지정 고시》, 세종특별자치시장, 2012-12-31.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세종 비암사 소조아미타여래좌상 · 더보기 »

서산 동문동 당간지주

서산 동문동 당간지주(瑞山 東門洞 幢竿支柱)는 충청남도 서산시 동문동에 있는 고려시대의 당간지주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서산 동문동 당간지주 · 더보기 »

서산 동문동 오층석탑

서산동문동오층석탑(瑞山東門洞五層石塔)은 충청남도 서산시 동문동에 있는 고려시대의 오층석탑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서산 동문동 오층석탑 · 더보기 »

서산 명종대왕 태실 및 비

서산 명종대왕 태실 및 비(瑞山 明宗大王 胎室 및 碑)는 충청남도 서산시에 있는, 조선 제 13대 왕인 명종의 태를 묻었던 곳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서산 명종대왕 태실 및 비 · 더보기 »

서산 객사

서산 객사(瑞山 客舍)는 충청남도 서산시에 있는 조선시대의 지방 관아건물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서산 객사 · 더보기 »

서산 간월암 목조보살좌상

서산 간월암 목조보살좌상(瑞山 看月庵 木造菩薩坐像)은 충청남도 서산시 간월암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상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서산 간월암 목조보살좌상 · 더보기 »

서산 김두징 묘비

서산 김두징 묘비(瑞山 金斗徵 墓碑)는 충청남도 서산시에 있는, 조선시대 중기 사람인 김두징(1646∼1678) 선생의 묘비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서산 김두징 묘비 · 더보기 »

서산 천장사 아미타후불탱화

서산 천장사 아미타후불탱화(瑞山 天臧寺 阿彌陀後佛幀畫)은 충청남도 서산시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화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서산 천장사 아미타후불탱화 · 더보기 »

서산 여미리 석불입상

서산 여미리 석불입상(瑞山 余美里 石佛立像)은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여미리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상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서산 여미리 석불입상 · 더보기 »

아계 이산해 유품

아계 이산해유품(鵝溪 李山海遺品)은 충청남도 예산군, 한산 이씨 아계공파 종회에서 소장하고 있는 초서족자 1점, 문집 책판 224장, 초서 병풍목판 6장으로 구성되어 있. 2009년 1월 20일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98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아계 이산해 유품 · 더보기 »

아산 세심사 불설대보부모은중경판

아산 세심사 불설대보부모은중경판(牙山 洗心寺 佛說大報父母恩重經板)은 충청남도 아산시 세심사에 있는 불경 경판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아산 세심사 불설대보부모은중경판 · 더보기 »

아산 세심사 신중도

아산 세심사 신중도(牙山 洗心寺 神衆圖)는 충청남도 아산시, 세심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화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아산 세심사 신중도 · 더보기 »

홍산 형방청

홍산 형방청(鴻山 刑房廳)은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에 있는 조선시대의 관아 건물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홍산 형방청 · 더보기 »

홍산동헌

홍산동헌(鴻山東軒)은 충청남도 부여군에 있는 조선시대의 지방 관아건물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홍산동헌 · 더보기 »

홍성 고산사 소조아미타여래좌상

홍성 고산사 소조아미타여래좌상(洪城 高山寺 塑造阿彌陀如來坐像)은 충청남도 홍성군, 고산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상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홍성 고산사 소조아미타여래좌상 · 더보기 »

홍성 용봉사 마애불

홍성 용봉사 마애불(洪城 龍鳳寺 磨崖佛)은 충청남도 홍성군 홍북읍 신경리 용봉사(龍鳳寺) 입구의 서쪽에 서 있는 바위에 돋을새김한 불상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홍성 용봉사 마애불 · 더보기 »

10월 30일

10월 3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03번째(윤년일 경우 30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10월 30일 · 더보기 »

10월 31일

10월 3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04번째(윤년일 경우 30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10월 31일 · 더보기 »

10월 7일

10월 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80번째(윤년일 경우 28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10월 7일 · 더보기 »

11월 11일

11월 1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15번째(윤년일 경우 31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11월 11일 · 더보기 »

11월 12일

11월 1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16번째(윤년일 경우 31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11월 12일 · 더보기 »

11월 19일

11월 1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23번째(윤년일 경우 32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11월 19일 · 더보기 »

11월 30일

11월 3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34번째(윤년일 경우 33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11월 30일 · 더보기 »

12월 23일

12월 2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57번째(윤년일 경우 35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12월 23일 · 더보기 »

12월 29일

12월 2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63번째(윤년일 경우 36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12월 29일 · 더보기 »

12월 30일

12월 3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64번째(윤년일 경우 36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12월 30일 · 더보기 »

12월 31일

12월 3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65번째(윤년일 경우 366번째) 날에 해당하며, 한 해의 마지막 날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12월 31일 · 더보기 »

12월 3일

12월 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37번째(윤년일 경우 33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12월 3일 · 더보기 »

12월 8일

12월 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42번째(윤년일 경우 34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12월 8일 · 더보기 »

1983년

1983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1983년 · 더보기 »

1984년

1984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1984년 · 더보기 »

1985년

1985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1985년 · 더보기 »

1986년

1986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1986년 · 더보기 »

1987년

1987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1987년 · 더보기 »

1989년

1989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1989년 · 더보기 »

1990년

1990년 10월 3일. 동독의 다섯 주가 서독으로 편입되면서 41년간 분단되었던 '''독일'''이 '''통일'''되었다. 1990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1990년 · 더보기 »

1991년

1991년 9월 17일.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비롯한 많은 국가들이 '''유엔'''에 '''동시 가입'''했다. (사진은 유엔 본사) 1991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1991년 · 더보기 »

1992년

보스니아 내전으로 파괴된 도서관에서 한 첼리스트가 연주를 하고 있다. 1992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1992년 · 더보기 »

1993년

8월 7일 ~ 11월 7일 동안 열린 '''대전엑스포'''를 기념하기 위해 건립된 상징 조형물인 '''한빛탑'''. 1993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1993년 · 더보기 »

1995년

1995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1995년 · 더보기 »

1996년

1996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1996년 · 더보기 »

1997년

1997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1997년 · 더보기 »

1998년

1998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1998년 · 더보기 »

1월 10일

1월 1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0번째(윤년일 경우도 1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1월 10일 · 더보기 »

1월 11일

1월 1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1번째(윤년일 경우도 1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1월 11일 · 더보기 »

1월 20일

1월 2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0번째(윤년일 경우도 2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1월 20일 · 더보기 »

2000년

2000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며, 이 해는 20세기와 제2천년기의 마지막 해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2000년 · 더보기 »

2001년

9·11 테러로 세계무역센터가 불타는 장면 2001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며, 이 해는 21세기와 제3천년기의 첫 번째 해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2001년 · 더보기 »

2002년

2002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며, 이 해는 21세기의 첫 대규모 행사의 해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2002년 · 더보기 »

2003년

2003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2003년 · 더보기 »

2004년

2004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2004년 · 더보기 »

2005년

2005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2005년 · 더보기 »

2006년

2006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2006년 · 더보기 »

2007년

2007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2007년 · 더보기 »

2008년

2008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2008년 · 더보기 »

2009년

2009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2009년 · 더보기 »

2012년

2012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며, 이 해는 2002년 이후 10년만에 대규모 행사의 해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2012년 · 더보기 »

2013년

2013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2013년 · 더보기 »

2014년

2014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2014년 · 더보기 »

3월 6일

3월 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65번째(윤년일 경우 6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3월 6일 · 더보기 »

4월 10일

4월 1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00번째(윤년일 경우 10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4월 10일 · 더보기 »

4월 20일

4월 2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10번째(윤년일 경우 11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4월 20일 · 더보기 »

6월 27일

6월 2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78번째(윤년일 경우 17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6월 27일 · 더보기 »

6월 30일

6월 3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81번째(윤년일 경우 18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6월 30일 · 더보기 »

7월 10일

7월 1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91번째(윤년일 경우 19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7월 10일 · 더보기 »

7월 19일

7월 1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00번째(윤년일 경우 20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7월 19일 · 더보기 »

7월 1일

7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82번째(윤년일 경우 18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7월 1일 · 더보기 »

7월 21일

7월 2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02번째(윤년일 경우 20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7월 21일 · 더보기 »

7월 25일

7월 2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06번째(윤년일 경우 20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7월 25일 · 더보기 »

7월 26일

7월 2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07번째(윤년일 경우 20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7월 26일 · 더보기 »

8월 10일

8월 1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22번째(윤년일 경우 22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8월 10일 · 더보기 »

8월 17일

8월 1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29번째(윤년일 경우 23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8월 17일 · 더보기 »

8월 3일

8월 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15번째(윤년일 경우 21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8월 3일 · 더보기 »

8월 8일

8월 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20번째(윤년일 경우 22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8월 8일 · 더보기 »

9월 20일

9월 2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63번째(윤년일 경우 26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9월 20일 · 더보기 »

9월 27일

9월 2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70번째(윤년일 경우 27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9월 27일 · 더보기 »

9월 29일

9월 2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72번째(윤년일 경우 27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와 9월 29일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